본문 바로가기

경진출판251

북한시의 사적 전개과정 북한시의 서사, 서정을 파헤치다. 산비탈 바위 우에 청년 하나이 버쩍 올라선다 후리후리한 키꼴에 흰 두루마기 자락이 대공으로 솟아오르려는 거센 나래 같이 퍼덕이는데 온몸과 팔과 다리- 모두 다 약진의 서슬에 불붙고 서릿발 칼날의 시선으로 싸움터를 단번에 쭉- 가르며 “한 놈도 남기지 말라” 그는 부르짖었다 - , 18~19쪽 숨은 마음 사람마다 그 마음 간직하고 사람마다 그 길을 걷기에 수수한 작업복에 흔히 보는 보통사람 저만이 간직한 속 깊은 마음 다 알 수 없어도 나에겐 생각되여라 그 모두 시대의 숨은 영웅인듯 꽃은 피여도 소리없이 피고 피여나는 것도 볼 수 없듯이 함께 일하고 이웃에 살면서도 우리 미처 모르고 지내는 숨은 영웅 -김석주, 북한시의 문학적 가치, 민족주의와의 상관관계, 정치적 선전도구.. 2021. 4. 13.
한글 고문서 연구 한글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사람들의 삶 엿볼 수 있어 앞으로 좀 더 미시적으로 한국어 변천사와 특성을 규명해야 할 것 개별 언어란 항상 주변 언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발전한다. 중국의 한어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몽골어나 만주어와 유구어와 같은 주변 국가 언어의 영향도 받아 왔다. 또한 일제강점기를 경유하면서 일본어와 영어는 한국어에 많은 영향을 주고받아 왔다. 지난 한 세기 동안 많은 학자들이 한국어 변천사의 큰 그림을 그려냈다면 앞으로는 좀 더 미시적으로 한국어의 변천사와 특성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언어는 문화 사회 발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언어를 통해 당대의 지식 체계를 이해하고 또 사람들이 살아온 일상생활의 미시사에 접근할 수가 있다. 앞으로는 한국어.. 2021. 4. 9.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 교과서(국어교육사 1)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은 조선교육령에 따라 조선총독부가 주관하였다. 일본이 우리에게 주입시키려 했던 이데올로기는 무엇인가? 일본의 조선어과 교과서는 우리나라 국어교과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이제 그 비밀이 이 책을 통해 밝혀진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라고 하였다. 그러나 과거의 역사가 오늘의 토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역사 연구가 필요하다. 사실 우리 사회에서는 당연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당연하지 않은 일들이 매우 많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서이다. 1895년 근대식 학제가 도입된 이후 교과서의 개발은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에 대한 역사적 흐름에 대한 고찰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있다. 교과서는.. 2021. 4. 8.
고조선 문자 2: 고조선 문자 계통도 우리 문자의 원형을 찾는 그 두 번째 수사기록! 우리 한글의 기원은 어디일까? 흔히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라고 알고 있지만, 세종대왕 본인 스스로 새로이 만든 신제(新製)라고 하셨습니다. 저자는 신제에 상대하여 그 이전의 구제(舊製)의 존재를 명도전 위의 ‘고조선 문자’라고 밝혔었다. 이 고조선 문자는 한글이기도 하고 상형문자이기도 한 혼합 문자이다. 이 글은 그 후속편으로 명도전 이전의 첨수도(尖首刀), 또 그 이전의 침수도(針首刀) 문자를 살펴보는 수사 보고서이다. 주로 첨수도와 침수도를 심도 깊게 다루고, 다음으로 고조선 문자로부터 현대 한글에 이르는 과정을 도표로 완성해 그 의미를 알아보기 쉽게 하였다. 수사 참고자료에서는 문자의 연원이 고조선을 넘어 환웅 시대-신석기 시대-의 바위 문자와 토기문자.. 2021. 3. 30.
고조선 문자 잃어버렸던 고조선 옛글자를 찾아 나선 수사 기록! 2년 동안의 연구로 연나라 화폐로 알려졌던 명도전이 고조선의 화폐이며, 그 뒷면에 새겨진 글자가 한글의 시초가 된 고조선의 문자임을 밝혀낸 저자는 그 연구 과정을 수사 기록 일지를 적어 나가듯 현장감 있는 문체로 적어 나갔다. 1부에서는 명도전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된 배경과 수사 자료를 찾는 과정을, 2부에서는 본격적인 해석 과정을 이야기하면서, 초기에 잘못 해석했던 내용과 그 이유에 대한 고찰을, 3부에서는 문자의 구체적 해석을 담았다. 특히, 의 예시글자를 거의 찾았다는 점, 고조선 문자를 표음문자와 표의문자 양쪽의 시각으로 해석했다는 점, 한글 외에 갑골문, 제(齊)・연(燕)・진(晋)・초(楚)・진(秦) 한자, 티베트어, 범자(梵字 : 브라흐미 문자).. 2021. 3. 29.
파성 설창수 문학의 이해(지역문학총서 14) 설창수 문학을 조망한 지역문학 연구서 발간 지역사랑과 문학실천의 마음으로 꾸준하게 연구하고 지역문학 총서를 펴내고 있는 연구자 6인이 설창수 문학의 연구서를 펴내 눈길을 끈다. 파성 설창수(1916~1998)는 광복 이후 경남 진주에 터를 두고 경남․부산 지역문학과 우리 근대문학 전개에 독특한 풍모를 일궈 낸 문학인이다. 그는 지역문학의 핵심 주창자였고, 열혈 언론인이었으며, 강직한 예술문화 실천가였다. 하지만 그의 이채로운 삶은 역사의 수혜자면서도 아울러 피해자라는 이중적 면모에 가려져 있었다. 그 결정적인 매듭이 1960년 경자시민의거(4월혁명)와 그 뒤에 있었던 군부쿠데타였다. 쿠데타 세력에 의해 반민주행위자로 몰려 1962년부터 공민권 제한을 받았던 것이다. 공을 들여 다듬어왔던 영남문학회와 문예.. 2021. 3. 26.
통감시대 어문 교육과 교과서 침탈의 역사(국어교육사 2) A Textbook Policy and Korean Language Textbook in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경술국치 100년이 되는 2010년. 일제강점기, 조선어과 교육을 제외한 모든 교육을 어떻게 일본어로 이루어진 교과서만 사용할 수 있었을까? 통감부의 학정 잠식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어떠했을까? 이제 그 문제에 대한 해답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올해(2010년)는 경술국치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10년 8월 29일 일제는 통감시대를 마감하고 조선총독부를 설치하여 본격적인 식민 지배를 시작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일제 36년’ 또는 ‘조선총독부’를 일컬으면서 과거 청산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일제의 강점은 이미 을사늑.. 2021. 3. 22.
주체의 환영: 북한 문예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북한문학예술 2) 북한 체제에 대한 면밀하고 성실한 검토는 분단 현실의 극복이나 통일시대 준비를 위한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북한 문화예술에 대한 검토는 소통과 융합을 위한 실천적 토대와 대안을 제시해 줄 것!!! 이 책은 1970년대에서 1990년대 초반까지 북한에서 김정일의 이름으로 발표된 문예이론 텍스트들의 체계와 논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글들을 한 데 묶은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김정일은 권력부상 초기인 1960년대 말부터 문예 분야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1972년 당중앙위원회에 진입하기 전에 그는 당 문학예술부 부부장으로 활동하면서 이른바 주체사상의 확립을 위한 선전, 선동의 도구로서 문학예술의 활용법을 체득했다. 문예 분야에 대한 관심은 그가 권력 핵심에 진입한 이후에도 변함없이 유지됐다. 김정일 시대 북한.. 2021. 3. 19.
국어형태론 오랫동안 연구한 결과에 자료를 더하고 더해 ‘국어형태론’을 간행하다. 이 책의 지은이 김승곤 교수는 여러 차례 수정증보판의 ‘국어형태론’을 간행하다가 고치고 더하여 왔다. 그러나 다시 검토하여 보니 여전히 부족한 데가 있어 한글학회에서 간행한 ≪우리말 사전≫을 뒤지고 뒤져 많은 좋은 자료를 구하였다. 그 자료들을 바탕으로 대명사를 많이 추가하여 설명하였고, 의존명사를 모두 찾아 분류하여 다시 썼고, 관형사도 새롭게 추가 설명하였으며 시제법도 새로운 체계로 수정하였으며, 감탄사도 모두 찾아 분류하여 기록하였다. 그리고 문법용어도 현행 학교문법에 쓰이고 있는 학술용어로 모두 바꾸었다. [ 목차 ] 1장 총설 1. 문법이란? 2. 형태소와 단어 3. 품사 분류 2장 조어법 1. 조어법이란? 2. 파생법 3. .. 2021.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