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화21

담화로서의 뉴스(News as discourse by van Dijk)__거시언어학14 뉴스 기사를 하나의 담화로 다루다 뉴스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만 주로 언론의 이데올로기와 그 실현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고 뉴스를 하나의 담화로서 다루는 연구는 쉽게 찾을 수 없었다. 또한 뉴스 담화를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 그 방법론 역시 명확하지 않았다. 이 책에서는 뉴스 기사를 하나의 담화로 다루면서 그 구조를 분석하고 뉴스의 생산과 이해에 작용하는 인지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연구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1장에서는 뉴스에 대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를 소개한다. 뉴스에 대한 많은 연구는 일화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 연구들은 종종 저널리스트였던 이들에 의해 쓰였는데 그들은 자신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며 미디어와 뉴스에 대해 우호적으로 충고하거나 가혹하게 비평한다. 이러한 .. 2024. 3. 26.
담화와 권력(Discourse and Power (First edition)) 거시언어학 13 담화와 권력 Discourse and Power (First edition) 담화와 사회, 인지의 접합면과 관련된 이론적 얼개를 제시 이 책은 성별과 계층, 인종에 바탕을 둔 사회적 불평등의 다양한 형태들이 담화에 의해 구성되고 정당화되고 있음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술적인 움직임으로써 비판적 담화 연구를 위해서, 그리고 그런 연구의 개념적 토대를 굳건하게 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개념들을 명확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비판적 담화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물로서 이 책에서는 인종차별주의와 관련되는 기본적인 사회 문제를 다루는데,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대중 매체에 작용하는 권력을 통제와 접속이라는 개념으로 명확하게 분석하여 보여.. 2022. 8. 25.
화법교육론(서종훈 지음, 국어교육) 담화 개념에서부터 평가까지 교육의 실제성을 기반으로 화법교육 전반의 문제 다뤄 이 책은 국어교육 현장의 말하기와 듣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의 전반적인 문제를 다룬 현장조사 연구 결과물이다. 각 담화의 개념과 위상의 문제에서부터 말하기 평가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다양한 부면을 다루었다. 특히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았거나 심층적인 논의가 요구되는 담화의 개념이나 위상, 그리고 말하기 평가의 익숙한 논의에서부터 유창성이나 즉흥성, 주제 전개와 같은 비교적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다양한 주제들이 다루어졌다. 담화의 ‘개념과 위상’에서는 그간 교육 현장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던 혼잣말을 본격적인 담화로 다루었다. 아울러 실존과 의미의 두 차원에서 대화, 웅변과의 관계 측면에서 연설, 언어자각 측.. 2021. 12. 23.
비판적 담화 분석과 국어교육=2020년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비판적 담화 분석의 관점에서 담화 분석의 흐름과 내용을 정리하다 비판적 담화 분석의 관점에서 담화 분석의 흐름을 정리하고 비판적 담화 분석의 핵심적인 내용을 짚어내었다는 점에서 이전의 다른 연구들과 구별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를 국어교육에서 응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이해 교육 중심의 비판적 담화 분석이 아니라 표현 교육의 적용에도 관심을 기울인 논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장은 용어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담화와 관련된 한자어 표기 문제와 국어학에서 널리 언급되고 있는 담화와 텍스트란 용어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문제는 사소하다고 할 수 있지만 담화를 바라보는 관점과 이름을 붙이고 부르는 일이 어느 정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2장은 이미 알려져 있.. 2021. 4. 19.
담화와 사회 변화(거시언어학 9: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사회 변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의 ‘담화’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는 개인들은, 언어 사용에서의 변동이 더 넓은 사회-문화적 변화 과정들과 연결되어 있는 방식들을 깨닫게 되었고, 따라서 사회 변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언어 분석을 이용하는 일의 중요성을 파악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의 주요 목표는 이런 간격을 채워 주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는 언어 분석에 대한 접근법을 마련하려는 것에 있다. 제1장은 언어학 쪽으로 쏠린 담화 분석 접근법들에 대한 요약이다. 즉, 여기서는 텍스트와 텍스트 분석에 초점이 있다. 저자는 이들 접근이 담화로 매개되는 중요한 사회적 측면들을 충분히 부각시키지 못했음을 논의하고, 이를 위해 반드시 사회학 이론을 끌어들어야 함을 논의하게 될 것이다. 제2장에.. 2021. 2. 22.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접속문과 내포문(김지홍 지음) 제주 방언의 사용이 한국어 사용에 대한 통찰뿐만 아니라 인간 정신 작동 방식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 고찰하다 이 책은 제주 방언의 통사 현상 중 접속 구문과 내포 구문을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 설화 채록 자료들을 통해서 밝혀 놓은 책이다. UNESCO에 소멸 위기의 언어로 등재되면서 마치 유구어가 일본어가 아닌 듯이, 제주 방언이 한국어가 아니라고 왜곡된 주장이 외국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지만, 이 방언의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인데, 하나하나 이 방언의 자료가 공통어와 긴밀하게 대응되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미 1980년대에 70대 전후의 토박이 화자들의 설화를 말해 준 자료를 중심으로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사례들을 모았고, 이를 위하여 저자 나름대로의 이론 구축 작업을.. 2021. 2. 18.
담화와 지식: 사회 인지적인 접근(Discourse and Knowledge: A Sociocognitive Approach) 담화와 지식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를 위한 새로운 출발점 담화와 지식이라는 두 개념 관계를 연구한 첫 번째 책으로 인식론적 담화 분석이라는 새로운 분야 소개 이 책은 인식론, 언어학, 담화 분석, 인지심리학, 사회심리학, 사회과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들과 학자들에게 필수적인 읽을거리 이 책은 담화가 지식을 전승하고 널리 퍼뜨리며 재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통해 뒷받침하고 있다. 책의 뒷부분에 실린 방대한 연구 문헌들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다양한 갈래의 연구들을 살피고 검토하면서 담화와 지식의 관계를 다루는 기존의 논의들이 세 가지 요소, 즉 인지와 사회, 문화를 연결하여 살피고 있지 않음을 비판한다. 특히 지식은 믿음의 문제이며.. 2021. 2. 16.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 담화 분석에서 몇 가지 핵심 논제(거시언어학 10) 텍스트, 담화, 상황 맥락, 앞뒤-문맥, 숨겨진 의도 등에 관해서 자세히 서술 페어클럽 교수의 를 맹렬히 비판한 도서 (그 비판을 수용한 페어클럽 교수는 과 을 출간하게 된다. 은 페어클럽 교수 업적에 대한 결정판이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문으로 짜여 있다. 제Ⅰ부는 제1장에서 제5장까지로, 담화 분석에서 필수적이라고 판단하는 저자의 주요 개념으로서 등에 관해서 자세히 서술해 주고 있다. 특히 몇 차례에 걸친 페어클럽 교수와의 논쟁을 통해서 이전에 막연히 써 오던 개념들이 이 책에서는 명확히 정의되면서 쓰이고 있다. 이를 순수한 담화 분석 또는 텍스트 분석으로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제Ⅱ부는 제6장에서부터 제10장까지로서, 저자가 수립해 놓은 시각에서 다른 접근법들을 비판하는 일들을 진행함으로써 결과적.. 2021. 2. 15.
거시구조(거시언어학 8: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담화나 텍스트의 처리 단위를 거시구조를 통해 밝혀내다 이른바 4차 혁명 시대다. 과연 인문학은 이러한 변혁의 시대를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할까. 결국은 지식과 그 활용에서 일말의 해답을 찾아야 한다. 이 책은 거시구조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즉 인간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식의 처리 단위, 즉 담화나 텍스트의 처리 단위를 거시구조를 통해 밝혀내고 있다. 거시구조의 개념에서부터 다양한 인지적 측면에서의 거시구조의 작용까지를 두루 다루다 이 책은 거시구조가 지니는 이론적 측면을 텍스트에 국한해서 진술하고 있지 않다. 대화, 행위, 화행, 나아가 다양한 인지적 측면에까지 두루 적용하고 그 타당성을 논의하고 있다. 책 전체는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거시구조의 개념에서부터 .. 2021.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