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동아시아

한글 고문서 연구

by 양정섭 2021. 4. 9.

한글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사람들의 삶 엿볼 수 있어

 

앞으로 좀 더 미시적으로 한국어 변천사와 특성을 규명해야 할 것

 

개별 언어란 항상 주변 언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발전한다. 중국의 한어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몽골어나 만주어와 유구어와 같은 주변 국가 언어의 영향도 받아 왔다. 또한 일제강점기를 경유하면서 일본어와 영어는 한국어에 많은 영향을 주고받아 왔다. 지난 한 세기 동안 많은 학자들이 한국어 변천사의 큰 그림을 그려냈다면 앞으로는 좀 더 미시적으로 한국어의 변천사와 특성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언어는 문화 사회 발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언어를 통해 당대의 지식 체계를 이해하고 또 사람들이 살아온 일상생활의 미시사에 접근할 수가 있다. 앞으로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대하는 쪽으로 그 연구 대상의 영역을 좀 더 폭넓게 확장시켜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인간이 창조한 문자로서 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되는 한글 기록유산을 좀 더 치밀하게 조사하고 또 그 자료를 관리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판본 문헌 중심의 연구에 몰두해 있는 동안 낱장으로 또는 장첩으로 남아 있던 각종 한글 기록 자료는 소쇄되거나 소각되고 심지어는 폐지로 취급 당하는 동안 귀중한 우리의 한글 기록유산은 엄청나게 유실되었다.

 

 

한글 기록유산을 잃어서는 안 된다!!!

 

지난 세기말 서구 역사학계로부터 미시사 연구의 바람이 불어오면서 한국사학계에서는 고문서 자료를 체계적이고 정밀하게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방사 연구에 많은 활력을 불어넣었다. 국어학계에서도 다양한 한글 기록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 방언의 역사 연구에 활용해 왔다. 그러나 한글 고문서나 기록은 그 연대기를 추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한국어 변천사 연구를 위한 자료로는 부적격하다는 판정을 받아 왔다. 그동안 한글 기록 자료 수집이나 분석을 통한 연구에는 소홀한 감이 없지 않았다. 한국어의 체계적인 기술이라는 현안을 해결하는 동안 한글 기록 자료가 한국어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라는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한 탓이라 할 수 있다. 최근 한국어학의 연구 대상 자료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한글 고문서 연구의 새로운 바람이 일고 있다. 한글 고문서 연구를 역사 연구나 법제사 연구 자료 정도로 생각하던 분위기에서 한국어 연구의 자료로 편입시킬 수 있는 실증적 연구 성과들이 하나둘씩 나타나고 있다. 한글은 우리의 소통문자인 동시에 인류의 문화자산이다. 세계적으로 중요한 한글 기록유산을 잃어서는 안 된다는 믿음으로 그동안 다양한 한글 고문서를 수집・분석하고 그동안 학계에 발표된 자료를 다시 읽으면서 이제 ‘한글 고문서학’이라는 한국어 연구의 새로운 영역의 바탕을 꾸려 보았다. 언어학적 분석에만 초점을 둔 연구가 아니라 문화라는 원근법으로 한국어 자료를 관찰하는 방식이 되겠다. 조선조에 한문이 사족층의 소통 문자였다면 여항의 소통 문자였던 한글 자료를 통해 그 시대 사람들의 진솔한 삶의 내면세계는 물론이거니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와 또 그 속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생활의 내면을 살펴볼 수 있다.

 

 

체계적이고 정밀한 ‘한글 고문서학’의 연구로 승화되기를 기대

 

이 책은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를 디딤돌로 하여 이루어졌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단순히 한국어학적 관점보다 한국문학, 한문학, 한국사, 민속학, 법제사 등 여러 인문・사회학 분야의 학문 융합적인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그러다 보니 한국어학적인 관점보다는 자료 분석 중심으로 치우친 감이 없지 않지만 이러한 노력을 디딤돌로 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정밀한 ‘한글 고문서학’의 연구로 승화되기를 기대한다. 지금까지 남아 전하는 상당한 분량의 한글 고문서와 기록물의 전반적 자료 전수 조사와 함께 자료를 데이터화하고 또 이미지 자료를 디지털아카이브로 구축하는 일은 시급히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이러한 일은 어느 한 개인 연구자가 수행하기에는 너무나 큰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고문서연구 자료의 영인 작업과 판독 자료의 간행 사업이나 고문서연구회를 중심으로 꾸준하게 연구해 온 성과가 한글 고문서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진작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해 주었다.

우리 민족의 문자생활의 모습을 반영하는 거의 모든 고문서 자료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이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자료에 대한 전수 조사 작업을 펼치는 데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 자료에 대한 옥석을 가려서 일일이 정밀하게 판독하고 해석하여 디지털 자료와 이미지 자료로 전환한 디지털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연구자와 일반에게 공개할 시점에 와 있다. 한글 고문서 자료를 통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어휘 및 표기법에 대한 연구와 음운, 문법 등 한국어 변천사 영역을 보다 미시적으로 보완해 나가야 한다.

 

 

한글 고문서학의 새로운 연구 지평 열어

 

이번에 간행하는 <<한글 고문서 연구>>로 한글 고문서학의 체계를 정립하기에는 아직 요원한 감이 있지만, 이를 계기로 하여 한글 고문서학의 새로운 연구 지평을 열어내려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이 책에는 한글 고문서의 양식과 내용이라는 자료 중심의 분석을 시도한 논문 20편과 디지털 시대의 한글의 미래에 대한 논문 3편으로 꾸며 보았다. 앞으로 본서의 기초가 되었던 자료 편은 각론으로 보다 정밀하게 간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

 

 

조선조 한글 고문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

 

한글 소통이 이 나라가 지식 정보를 기반으로 한 선진국으로 향하는 디딤돌이 되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세종대왕의 위업과 고종의 한글 공용화의 공포, 박정희 대통령의 국정교과서 한글 전용 발표에 이어 모든 공문서는 한글로 표기하도록 규정한 2005년 [국어기본법]의 제정은 우리나라의 지식 정보의 선진화 기반을 마련한 위한 획기적인 정책이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기초 한자를 포함한 영어와 외국어 교육을 강화할 필요성도 있지만 우리 말과 글의 보호 육성은 물론 해외 보급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동안 소홀하게 다루었던 조선조 한글 고문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는 목표에 접근하기 위해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한글 고문서 연구(이상규 지음, 경진출판 발행)

 

[ 목차 ]

 

 1_한글 고문서의 분류 체계와 유형

 2_한글 매매명문의 내용과 형식

 3_한글 수표의 양식과 그 사례

 4_한글 고문서에 나타난 고관변정사(告官卞正事)

 5_한글 고목과 배자의 내용과 형식

 6_황여일의 숙부인 완산 이씨 한글 유서와 소지

 7_한글 소지・청원류의 문서 양식과 사례 분석

 8_전주동에 사는 고학생 이흥선의 처 과부 김씨의 원정

 9_충청도 노성에 사는 백 조시가 여산 군수에게 발급한 발괄

10_해남 윤씨 댁의 노비 치부 분석과 그 사례

11_우암 송시열의 분재기와 사례 분석

12_최영천 처 안동 권씨 한글 분재기

13_됴젼발긔 분석과 발기의 사례

14_한글 사인기록문서의 유형과 사례

15_교령문서의 사례 분석

16_한글 전령의 사례 분석

17_순종 원년 경상도 함창 군수가 발급한 한글 고시

18_장방청 발급 계방수호 완문 분석

19_동중 완의와 통문의 사례 분석

20_한글 언간의 내용과 사례 분석

21_디지털 시대에 한글의 미래

22_한글 고문서 조사와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방안

23_Hangeul, The Greatest Letters

 

 

[ 지은이 ] 이상규

 

경북대학교 및 동 대학원 문학박사

도쿄대학교 대학원 객원 교수 역임

국립국어원장 역임

현 중국 청도해양대학교 고문교수

국어정책학회 회장, 방언학회 부회장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교수

 

<<경북방언사전>>(태학사, 대한민국 학술원우수도서)

<<언어지도의 미래>>(한국문화사 외 4종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한국어 방언학>>(학연사), <<둥지 밖의 언어>>(생각의나무), <<방언의 미학>>(살림), <<문학 속의 경상방언>>(글누림) 외 논저 다수

sglee@knu.ac.kr

 

 

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도서명] 한글 고문서 연구

[지은이] 이상규

발행일 2011. 10. 09.

신국판 양장 / 1,092쪽 / 값 85,000원

 

ISBN 978-89-5996-109-2 93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