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세국어27

쉽게 읽는 월인석보 13__月印千江之曲 第十三・釋譜詳節 第十三__나찬연 쉽게 읽는 월인석보 ≪쉽게 읽는 월인석보≫는 중세 국어 학습자들이 ≪월인석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을 편찬하겠다는 원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책의 내용과 형식을 구성하였다. 첫째, 현재 남아 있는 ≪월인석보≫의 권 수에 따라서 이들 문헌을 현대어로 옮겼다. 이에 따라서 ≪월인석보≫의 1, 2, 4, 7, 8, 9, 10, 11, 12, 13 등의 순서로 현대어 번역 작업이 이루진다. 둘째, ≪월인석보≫의 원문의 영인을 페이지별로 수록하고, 그 영인 바로 아래에 현대어 번역문을 첨부했다. 셋째, 그리고 중세 국어의 문법을 익히는 이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문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어휘를 현대어로 풀이하고 각 어휘에 실현된 문법 형태소를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였다. 넷째,.. 2025. 2. 13.
제3판 중세 국어 강독__15~16세기 중세 국어 시기 간행 문헌 텍스트 강독 15세기와 16세기 중세 국어 시기에 간행된 문헌의 텍스트를 강독하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자료를 분석하는 데 큰 도움 ≪중세 국어 강독≫은 15세기와 16세기의 중세 국어 시기에 간행된 문헌의 텍스트를 강독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을 문헌을 통하여 확인하고, 중세와 근대 국어의 언어 자료를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책이다. 이 책을 통하여 독자들이 15세기 중엽의 중세 국어로부터 16세기 말의 중세 국어에 이르기까지 국어가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국어사에 대한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책에 실린 15세기와 16세기에 간행된 중세 국어 문헌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5세기 문헌으로는 ≪용비어천가≫, ≪훈민정음 언해본≫, ≪석보상절≫, ≪월인.. 2025. 1. 21.
훈몽자회 한자음 연구(학술총서22, 최희수 지음) 기존 중국 한자음을 토대로 훈몽자회 한자음 연구 조선시대 1527(중종 22)년 최세진(崔世珍)에 의해 쓰여진 ≪훈몽자회≫는 한자 학습서로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3,360자의 한자를 분류하여 네 자씩 묶어 33항목으로 갈라 한글로 음과 뜻을 달았다. 즉 한글 자모의 이름과 읽는 방법을 기록해 놓은 책이다. ≪훈몽자회≫는 중세국어의 어휘를 알 수 있어 중세국어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특히 훈민정음으로 쓰인 한자어 훈과 음이 달려 있어 중세국어 어휘를 다수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대 한글 자모 명칭의 기원이 된 책으로 평가된다. 이 책은 ≪훈몽자회≫의 한자음을 그 당시의 중국어 한자음과 대비하여 연구한 책이다. 과거 ≪훈몽자회≫에 쓰인 한자음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를 통해.. 2024. 10. 23.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 2: 차자 표기・중세 국어・근대 국어・어문 규정 국어사와 국어 규범을 중심으로 ‘차자 표기법・중세 국어・근대 국어・국어 어문 규정’을 다루다 ‘학교 문법(學校文法)’은 국어를 규범대로 바로 쓰도록 하기 위하여 초・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문법을 이른다. 곧, 학교 문법은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에 기반하여 문법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 문법 교육의 체제와 내용이다. 지은이는 학교 문법의 내용을 두 권의 책에 나누어서 실었다.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1≫에는 현대 국어의 공시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하여, ‘언어와 국어・음운론・형태론・통사론・의미론’의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2≫에는 국어사를 중심으로 하여, ‘차자 표기법・중세 국어・근대 국어・국어 어문 규정’의 내용을 다루었다. 특히 ≪학교 문법 2≫.. 2024. 2. 29.
쉽게 읽는 월인석보 12 15세기 중세 국어로 간행된 ≪월인석보≫ 권12의 내용을 현대 국어로 번역하고 강독하다 ≪월인석보≫ 권12의 저본이 되는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 (중세 국어의 어휘와 문법 요소를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다) 이 책에서 번역한 ≪월인석보≫ 권12는 세조 5년(1459)에 간행된 초간본으로서, 권12와 합본되어 있으며, 현재 보물 제935호로 지정되어 있다(호암미술관 소장). 권12에는 ≪월인천강지곡≫ 제276부터 278까지 실렸고 ≪석보상절≫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2 의 내용이 실려 있다. ≪묘법연화경≫은 석가모니 부처가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루고 난 뒤에, 영산회(靈山會)을 열어서 자신이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이다. ≪묘법연화경≫은 옛날로부터 모든 경전들 중의 왕으로 .. 2023. 2. 24.
쉽게 읽는 월인석보 11(하) 15세기 중세 국어로 간행된 ≪월인석보≫ 권11의 내용을 현대 국어로 번역하고 강독하다 ≪월인석보≫ 권11의 저경이 되는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 (중세 국어의 어휘와 문법 요소를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다) 이 책에서 번역한 ≪월인석보≫ 권11은 세조 5년(1459)에 간행된 초간본으로서, 권12와 합본되어 있으며, 현재 보물 제935호로 지정되어 있다(호암미술관 소장). 권11에는 ≪월인천강지곡≫의 운문은 其272부터 其275까지 실렸고, ≪석보상절≫의 산문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1의 내용이 실려 있다. 곧, ≪월인석보≫ 권11의 내용은 ≪묘법연화경≫ 권1 제일(第一) ‘서품(序品)’의 내용과 제이(第二) ‘방편품(方便品)’의 내용을 훈민정음으로 언해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서.. 2023. 2. 24.
쉽게 읽는 월인석보 11(상) 15세기 중세 국어로 간행된 ≪월인석보≫ 권11의 내용을 현대 국어로 번역하고 강독하다 ≪월인석보≫ 권11의 저경이 되는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 (중세 국어의 어휘와 문법 요소를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다) 이 책에서 번역한 ≪월인석보≫ 권11은 세조 5년(1459)에 간행된 초간본으로서, 권12와 합본되어 있으며, 현재 보물 제935호로 지정되어 있다(호암미술관 소장). 권11에는 ≪월인천강지곡≫의 운문은 其272부터 其275까지 실렸고, ≪석보상절≫의 산문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1의 내용이 실려 있다. 곧, ≪월인석보≫ 권11의 내용은 ≪묘법연화경≫ 권1 제일(第一) ‘서품(序品)’의 내용과 제이(第二) ‘방편품(方便品)’의 내용을 훈민정음으로 언해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서.. 2023. 2. 24.
성운학적 관점에서의 훈민정음 연구사(이상규 지음) 조선시대 성운학 연구의 흐름을 이해하고 훈민정음 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재해석하다 “이 책이 성운학적 관점에서 훈민정음을 연구하고자 하는 후학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보람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중에서) 한글 창제와 관련된 지난 한 세기 동안의 연구 성과는 양적인 면에서도 엄청날 정도이지만, 사료의 해석 문제나 민족 이념과 관련된 편향적 시각은 아직 그대로 도드라져 있는 형국이다. 한글이 한민족의 고유문자라는 패쇄된 입장에서만 연구되어 왔기 때문에 개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 많은 문제가 남아 있다는 말이다. 세계 속의 한글, 열린 문자로서 한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어떻게 발전되어야 할지 그 전망을 전제로 한 연구로 새롭게 점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그동안 필자가 .. 2022. 6. 17.
중세 국어 서답형 문제집(나찬연 지음) 국어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시험 제1차 시험의 수준과 형식에 맞추어 서답형(단답형과 짧은 서술형) 문항 개발 수험생들과 현장 학교 국어과 교사들을 위한 중세국어 서답형 문제집 ≪중세 국어 서답형 문제집≫은 중세 국어의 학습자들이 중세 국어의 문법 이론을 확인하고 내면화할 수 있게 개발한 문제집이다. 이 책에서는 ≪고등학교 문법≫(2010)의 ‘국어의 옛 모습’ 단원에 기술된 내용을 중심으로, ‘국어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시험’의 제1차 시험의 수준과 형식에 맞추어서 서답형(단답형과 짧은 서술형)의 문항을 개발하여 수록하였다. 특히 이 책은 지은이가 별도로 개발한 ≪중세 국어의 이해≫(경진출판)와 ≪중세 국어 강독≫(경진출판)의 내용을 바탕으로 서답형 문제를 개발하였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은 이들 모둠책(시.. 2022.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