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54

제3판 중세 국어 강독__15~16세기 중세 국어 시기 간행 문헌 텍스트 강독 15세기와 16세기 중세 국어 시기에 간행된 문헌의 텍스트를 강독하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자료를 분석하는 데 큰 도움 ≪중세 국어 강독≫은 15세기와 16세기의 중세 국어 시기에 간행된 문헌의 텍스트를 강독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을 문헌을 통하여 확인하고, 중세와 근대 국어의 언어 자료를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책이다. 이 책을 통하여 독자들이 15세기 중엽의 중세 국어로부터 16세기 말의 중세 국어에 이르기까지 국어가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국어사에 대한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책에 실린 15세기와 16세기에 간행된 중세 국어 문헌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5세기 문헌으로는 ≪용비어천가≫, ≪훈민정음 언해본≫, ≪석보상절≫, ≪월인.. 2025. 1. 21.
(일제강점기 제1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총독부 발행,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주해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허재영 주해, 경진출판 발행) (일제강점기 조선어 말살 정책) 식민지 조선에서의 한국어 침탈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이 책은 일제강점기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朝鮮語及漢文) 교과서 변천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계획되었다. 일제는 조선을 식민지로 강점하면서부터 광범위한 일본어(그 당시 ‘국어’로 명명) 보급 정책을 펼치면서, 피식민지 모어였던 조선어를 위축시키는 데 온갖 노력을 기울여 왔다. 조선인이 다니는 ‘보통학교’, ‘고등보통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모든 교육을 일본어로 진행했으며, 보통학교의 경우 주 26~27시간 가운데 조선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5~6시간에 불과했다. 더욱이 이 조선어 교과도 한문이 포함된 ‘조선어급한문’이었으므로, 실제 조선어 교육은 극히 미미했음을 알 수 있다. 엄밀히 말하면 일.. 2025. 1. 8.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 2: 차자 표기・중세 국어・근대 국어・어문 규정 국어사와 국어 규범을 중심으로 ‘차자 표기법・중세 국어・근대 국어・국어 어문 규정’을 다루다 ‘학교 문법(學校文法)’은 국어를 규범대로 바로 쓰도록 하기 위하여 초・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문법을 이른다. 곧, 학교 문법은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에 기반하여 문법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 문법 교육의 체제와 내용이다. 지은이는 학교 문법의 내용을 두 권의 책에 나누어서 실었다.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1≫에는 현대 국어의 공시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하여, ‘언어와 국어・음운론・형태론・통사론・의미론’의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2≫에는 국어사를 중심으로 하여, ‘차자 표기법・중세 국어・근대 국어・국어 어문 규정’의 내용을 다루었다. 특히 ≪학교 문법 2≫.. 2024. 2. 29.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 1: 언어와 국어・음운・형태・통사・의미 현대 국어의 공시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언어와 국어・음운론・형태론・통사론・의미론’을 다루다 ‘학교 문법(學校文法)’은 국어를 규범대로 바로 쓰도록 하기 위하여 초・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문법을 이른다. 곧, 학교 문법은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에 기반하여 문법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 문법 교육의 체제와 내용이다. 지은이는 학교 문법의 내용을 두 권의 책에 나누어서 실었다.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1≫에는 현대 국어의 공시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하여, ‘언어와 국어・음운론・형태론・통사론・의미론’의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2≫에는 국어사를 중심으로 하여, ‘차자 표기법・중세 국어・근대 국어・국어 어문 규정’의 내용을 다루었다. 특히 ≪학교 문법 2≫에.. 2024. 2. 29.
현대 국어 문법__나찬연 지음_고등학교 문법에 제시된 형태론과 통사론의 체계와 내용을 해설한 책 에 제시된 형태론과 통사론의 체계와 내용을 해설 이 책은 국어국문학과나 국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나 중등학교 국어과 교사를 대상으로, 에 제시된 형태론과 통사론의 체계와 내용을 해설하는 책이다. 이 책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에서 형태론과 통사론을 기술한 차례를 따랐다. 제1장 언어 형식, 제2장 품사, 제3장 단어의 형성, 제4장 문장 성분, 제5장 문장의 짜임, 제6장 문법 요소 등으로 이 책의 체제를 짰다. 여기서 제1장은 서장에 해당하며, 제2장과 제3장의 내용은 형태론, 제4장, 제5장, 제6장의 내용은 통사론에 해당한다. 이러한 체제에 따라서 이 책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법≫(2010)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언어와 매체≫.. 2023. 9. 11.
맑스 마르크스 마륵스: 외래어 지나치다 외래어 지나치다 우리나라의 외래어 표기법 관리는 외래어 표기와 외국어 음차표기 그 차이가 너무나도 또렷함에도 이를 구분하지 않고 뒤섞어 설명함으로써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외래어는 우리말로 굳어진 외국어 음차표기를 외래어 심의 절차를 거쳐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것을 뜻하며 그 외에 외국어를 한글 자모로 표기한 것은 모두 외국어 음차 표기에 지나지 않는다. 문제는 현행 우리나라 은 외국어 음차 표기에 더욱 가까운 매우 복잡하고 난해한 규정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한국 어문 규범 가운데, 특히 에 초점을 두고 개선해야 할 문제와 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 어문 규범의 정책적인 관리는 정책 수립자의 고도의 철학적인 인식과 맞물려 있다. 우리말과 글을 어떻게 보호하고 유지하면서 국제사.. 2023. 7. 12.
삼세 동거의 한자음 체계: 한자어 한자 관계어 연구(정인갑 지음) 한자음 체계에 관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리다 한자어를 통하여 중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다 이 책은 한국 학술계에서 a. 처음으로 한자음의 체계에 관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렸고, b. 처음으로 한자어를 통하여 중국어를 쉽게 배우는 방법을 폭 넓게 제시하였으며, c. 한국어 고유어에 잠재해 있는 한자 관계어를 비교적 광범위하게 색출해낸 책이다. 한국 한자어의 입수 시기는 한자음이 처음 형성된 시기는 한사군(漢四郡)시대다. B.C.109년 한무제(漢武帝)는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한반도에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하고 식민통치를 하였다. 종주민족 과두통치자의 통치가 아니라 허다한 종주민족 인구가 한반도에 와서 살면서 한 통치였다. 그러므로 ‘조선-열수(洌水)’ 지역은 당시 중국의 10여 개 주요한 방언의.. 2023. 3. 17.
길라잡이 국어 어문 규정(나찬연 지음) 국어 문법론의 기초를 다지는 입문서 이 책은 초・중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교사 / 공무원 시험,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언론 기관 입사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학부 1~2학년 학생 / 국어과 중등 교사 임용 시험을 준비하는 예비 교사들을 위해 기획되었다. 이 책은 현행의 ‘국어 어문 규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국어 어문 규정’의 핵심 내용을 기술한 책이다. 이 책은 국어 음운론과 문법론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이 책으로써 ‘국어 어문 규정’의 핵심 내용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 책이 일반인들에게 ‘국어 어문 규정’을 안내하는 역할(길라잡이)을 한다는 뜻에서 이 책의 제호(題號)를 ‘길라잡이 국어 어문 규정’으로 정하였다. 이미 시중에.. 2021. 8. 18.
길라잡이 현대 국어 문법(나찬연 지음) 국어 문법론의 기초를 다지는 입문서 이 책은 초・중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교사 / 공무원 시험,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언론 기관 입사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학부 1~2학년 학생 / 국어과 중등 교사 임용 시험을 준비하는 예비 교사들을 위해 기획되었다. 이 책은 현행의 ‘학교 문법’에서 설정한 문법 이론의 핵심 내용을 기술한 문법 입문서이다. 곧, 국어 문법의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이 책으로써 ‘학교 문법’에 따른 현대 국어 문법의 체제와 내용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한 길잡이의 책이다. 흔히들 국어 문법은 어렵고 재미없다고 하는데, 이는 국어 문법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 문법의 내용을 설명하는 교재가 학습자 중심으로 .. 2021.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