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조선어 말살 정책)
식민지 조선에서의 한국어 침탈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이 책은 일제강점기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朝鮮語及漢文) 교과서 변천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계획되었다. 일제는 조선을 식민지로 강점하면서부터 광범위한 일본어(그 당시 ‘국어’로 명명) 보급 정책을 펼치면서, 피식민지 모어였던 조선어를 위축시키는 데 온갖 노력을 기울여 왔다. 조선인이 다니는 ‘보통학교’, ‘고등보통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모든 교육을 일본어로 진행했으며, 보통학교의 경우 주 26~27시간 가운데 조선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5~6시간에 불과했다. 더욱이 이 조선어 교과도 한문이 포함된 ‘조선어급한문’이었으므로, 실제 조선어 교육은 극히 미미했음을 알 수 있다.
엄밀히 말하면 일제의 조선어 말살 정책은 러일전쟁 직후 통감부가 설치되면서부터 본격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기부터 학정(學政) 잠식이 본격화되었으며, 그 결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임에도 ≪보통학교 이과서≫와 같은 일본문 교과서가 편찬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는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普通學校學徒用 國語讀本)≫과 같이, 교과서명으로 ‘국어(國語)’가 사용되었지만 그조차도 개발·편찬 과정에서 강한 통제를 받았다. 이는 이 독본이 국내에서 편찬된 뒤, 일본에서 발행되었음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강제병합 직후 일제는, 학부에서 편찬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의 명칭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고치고(그 당시 편찬한 ≪보통학교 학도용 일어독본≫은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으로 명칭을 변경함), 강제 병합에 따른 자구 정정(字句訂定) 또는 일부 과(課)의 삭제와 대체를 통한 임시 교과서를 발행하였다. 이를 자구 정정본이라 부른다. 이를 고려하면 1907년 학부 편찬 국어독본은 자구 정정본으로 이어지며, 자구 정정본은 제1차 조선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의 토대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주해서는 제1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어급한문독본≫을 한글 파일로 입력・주해하고, 특히 한문 관련 과(課)를 번역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제1차 조선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은 보통학교 학제가 4년제로부터 5년제, 6년제로 변화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행되었다.
이 주해서는 박붕배(2003) ‘침략기의 교과서’ 시리즈 가운데 해당 독본과 강진호・허재영 편(2010) ≪조선어독본≫ 1~5(제이앤씨) 수록본을 대상으로 주해하였으며, 두 독본 가운데 낙장 부분은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라이브러리 등에서 같은 판본을 확인하여 보충하였다. 주해 작업은 해당 독본의 원문을 입력하고 주요 사항을 주석하며 번역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자구 정정본은 국어독본과 비교할 때 바뀐 부분을 주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은 한문 과(課)를 번역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자구 정정본 1권은 입력하지 않았으며, 조선어 관련 과(課)는 일부 난해 어휘를 주석한 뒤 별도의 현대어 번역은 하지 않았다. 제1차 조선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은 현대어와 비교했을 때 해석이 어렵지는 않다. 그럼에도 한문 관련 과(課)는 별도의 해석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식민지 조선에서의 한국어 침탈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주해서가 일제강점기 식민 교육의 본질과 조선어 침탈 양상에 대한 연구에 다소의 기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출판사 서평 ]
일제는 1911년 8월 23일자로 제1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했는데, 이에 따라 펴낸 교과서가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이다. 이 교과서의 저작・발행자는 조선총독부이다. 인쇄소는 권5까지 ‘서무부인쇄소’이고, 권6의 경우는 도쿄의 돗판(凸版)인쇄주식회사로 되어 있다. 1915년 3월부터 1915년 3월까지 권1~권4가 편찬・발행되었고, 권5는 1920년 8월에, 권6의 경우는 1921년 3월에 편찬・발행되었다.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이 보급된 시기(1915~1921)를 말하여 ‘조선어 교과의 합본기’라 한다. 바로 그 시기의 첫 해부터 나오기 시작한 이 교과서는 일제가 서울에 조선총독부를 들어앉히고(1910) 제1차 조선교육령을 공포(1911.8.23)한 다음 편찬되었던 것이다. 이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으로 ‘조선어’가 ‘외국어’로 탈바꿈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차례 ]
주해자 서문
일러두기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권1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권2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권3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권4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권5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권6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과별 분석표
[ 주해자 허재영 ]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교수
국어 문법사를 전공하고, 국어 교육사 및 한국어 교육사, 근현대 한중일 지식 교류사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왔다.
≪우리말 연구와 문법교육의 역사≫(2008, 보고사),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2009, 경진출판), ≪통감시대 어문교육과 교과서 침탈의 역사≫(2010, 경진출판), ≪일제강점기 어문정책과 어문생활≫(2011, 경진출판), ≪한국 근대의 학문론과 어문교육≫(2013, 지식과교양) 등의 저서가 있으며, 한국학 중앙연구원 근대 총서 개발 책임자로 ≪한국 근현대 지식 유통 과정과 학문 형성・발전≫(2019, 경진출판) 외 7종의 총서 개발,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 지원 사업 단장으로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2019, 경진출판) 외 10종의 총서 개발을 진행하였다.
우리말 교과서와 독본 연구, 지식 교류 차원에서 다수의 자료를 발굴하고 주해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주해 유몽천자≫(2018, 경진출판) 등의 주해 및 번역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2022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장을 역임하였고, 2023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한국사회언어학회 회장을 맡았다. 국립국어원의 ‘중앙 행정기관의 전문용어 개선 지원 및 순화어 정비 연구’ 등 용역 사업을 맡아 진행하였으며, 한국의 언어정책과 사회언어학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도서명] 주해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주해자] 허재영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504쪽 / 값 30,000원
발행일 2024년 12월 25일
ISBN 979-11-93985-41-0 93370
분야: 사회과학 > 교육학(전문, 학술)
#일제강점기 #조선교육령기 #보통학교 #한문독본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독본 #조선어 #일본어 #조선어말살정책 #국어 #학부 #조선총독부 #주해
#좋아요 #댓글 #공유 부탁드립니다.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 독본류의 분포와 우리말 교과서 연구__허재영 지음 (3) | 2024.12.31 |
---|---|
생성 AI시대의 고전문학__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기획 (6) | 2024.11.12 |
훈몽자회 한자음 연구(학술총서22, 최희수 지음) (0) | 2024.10.23 |
한국의 우도와 우도론: 고전문학을 중심으로(학술총서20) (1) | 2024.07.08 |
중국 시인의 선시(禪詩)_최일의 지음 (1)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