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국어의 공시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언어와 국어・음운론・형태론・통사론・의미론’을 다루다
‘학교 문법(學校文法)’은 국어를 규범대로 바로 쓰도록 하기 위하여 초・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문법을 이른다. 곧, 학교 문법은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에 기반하여 문법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 문법 교육의 체제와 내용이다.
지은이는 학교 문법의 내용을 두 권의 책에 나누어서 실었다.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1≫에는 현대 국어의 공시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하여, ‘언어와 국어・음운론・형태론・통사론・의미론’의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2≫에는 국어사를 중심으로 하여, ‘차자 표기법・중세 국어・근대 국어・국어 어문 규정’의 내용을 다루었다. 특히 ≪학교 문법 2≫에서는 근대 국어의 문법 현상을 중세 국어와 비교하면서 기술함으로써, 학습자들이 15세기의 중세 국어로부터 19세기 말의 근대 국어에까지 국어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1, 2≫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내용을 기술하였다. 첫째, 이 책에서 쓰인 문법 용어와 내용 체제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화법과 언어>에 기술된 대로 따랐다. 둘째, ≪학교 문법1≫과 ≪학교 문법2≫는 비록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화법과 언어>의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실제로는 학교 문법의 내용을 대학교 학부의 전공 교과목의 수준에서 다루었다. 따라서 이 책은 고등학교 교사가 수업을 운영할 때에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을 할 수가 있으며, 사범대학교의 졸업생들이 중등교사 임용 시험을 준비하는 데에도 충분히 기여할 것이다. 셋째, 학교 문법의 내용을 쉽게 소개하고자 하는 기본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 지은이의 개인적인 견해를 밝히지 않았다. 넷째, 학교 문법의 내용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이미 학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이설(異說)이나 심화된 문법 내용은 글상자에 넣어서 별도로 기술했다. 다섯째,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에 관련된 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법≫(2010)의 ‘국어의 옛 모습’과 ‘국어의 역사’의 단원에 기술된 내용을 기본 골격으로 삼고, 학계에서 널리 통용되는 보편적인 이론을 보태어서 기술하였다.
지은이는 이 책이 현직 국어과 교사와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교사, 그리고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에게 <학교 문법>의 종합적이고 심화된 내용에 대한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차례 ]
머리말
제1부 언어와 국어
제1장 언어의 특징
제2장 언어와 문화
제3장 국어의 특징
제2부 음운론
제1장 음성의 개념과 분류
제2장 음운과 음절의 체계
제3장 음운의 변동
제3부 형태론
제1장 언어 형식
제2장 품사
제3장 단어의 형성
제4부 통사론
제1장 문장 성분
제2장 문장의 짜임
제3장 문법 요소
제5부 의미론
제1장 의미론과 의미의 이해
제2장 어휘의 의미
제3장 문장의 의미
제4장 담화의 의미
참고 문헌
찾아보기
[ 지은이 나찬연 ]
1960년에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나오고(1986),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1993)와 문학 박사(1997)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경성대학교의 인문문화학부 국어국문학전공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국어학과 국어 교육 분야의 강의를 맡고 있다.
◎주요 논저
우리말 이음에서의 삭제와 생략 연구(1993), 우리말 의미중복 표현의 통어・의미 연구(1997), 우리말 잉여 표현 연구(2004), 옛글 읽기(2011), 벼리 한국어 회화 초급 1, 2(2011), 벼리 한국어 읽기 초급 1, 2(2011), 제2판 언어・국어・문화(2013), 제2판 훈민정음의 이해(2013), 근대 국어 문법의 이해-강독편(2013), 표준 발음법의 이해(2013), 제5판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2017), 쉽게 읽는 월인석보 서, 1, 2, 4, 7, 8, 9, 10, 11, 12(2017~2022), 쉽게 읽는 석보상절 3, 6, 9, 11, 13, 19(2017~2019),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1, 2(2018), 한국 시사 읽기(2019), 한국 문화 읽기(2019), 국어 어문 규정의 이해(2019), 현대 국어 의미론의 이해(2019), 국어 교사를 위한 고등학교 문법(2020), 중세 국어의 이해(2020), 중세 국어 강독(2020), 근대 국어 강독(2020), 길라잡이 현대 국어 문법(2021), 길라잡이 국어 어문 규정(2021), 중세 국어 서답형 문제집(2022), 현대 국어 문법(2023),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1, 2(2024)
[도서명]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 1
[부제명] 언어와 국어・음운・형태・통사・의미
[지은이] 나찬연
[펴낸곳] 경진출판
국배판(188×257) / 500쪽 / 값 29,000원
발행일 2024년 02월 20일
ISBN 979-11-92542-76-8 94710
ISBN 979-11-92542-73-7 94710(세트)
분야: 인문>국어학
#국어학 #학교문법 #국어교육 #언어 #국어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국어문법
'교재 > 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판 중세 국어 강독__15~16세기 중세 국어 시기 간행 문헌 텍스트 강독 (1) | 2025.01.21 |
---|---|
국어 교육을 위한 학교 문법 2: 차자 표기・중세 국어・근대 국어・어문 규정 (0) | 2024.02.29 |
현대 국어 문법__나찬연 지음_고등학교 문법에 제시된 형태론과 통사론의 체계와 내용을 해설한 책 (0) | 2023.09.11 |
문학비평의 이해와 활용 (0) | 2023.07.05 |
(증보판) 스마트 국제무역실무 (0) | 2022.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