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진출판251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3 농업·동물·문학·물리 근대화 과정에서 일어난 학문의 진보와 변화 1880년대 이후 한국의 학문은 급속도의 변화를 보인다. 황준헌의 ≪조선책략≫, 정관응의 ≪이언≫을 비롯하여 서양 학문과 접촉한 중국인들의 저서가 국내에 유입되고, ≪한성순보≫, ≪한성주보≫와 같은 신문 매체가 등장했으며, 각종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에서 1894년 갑오개혁과 1895년 근대식 학제의 도입, 재일 유학생의 출현, 독립협회 조직, ≪독립신문≫ 발행 등 일련의 근대화 과정은 사상뿐만 아니라 각 분야별 학문 진보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1896년 재일 관비 유학생 파견과 독립협회 조직에 따라 ≪대조선재일유학생 친목회회보≫와 ≪독립협회회보≫가 발행된 것은 비록 잡지 형태이기는 하지만, 학술 담론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이로부.. 2020. 12. 3.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2 광물・교육 근대화 과정에서 일어난 학문의 진보와 변화 1880년대 이후 한국의 학문은 급속도의 변화를 보인다. 황준헌의 ≪조선책략≫, 정관응의 ≪이언≫을 비롯하여 서양 학문과 접촉한 중국인들의 저서가 국내에 유입되고, ≪한성순보≫, ≪한성주보≫와 같은 신문 매체가 등장했으며, 각종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에서 1894년 갑오개혁과 1895년 근대식 학제의 도입, 재일 유학생의 출현, 독립협회 조직, ≪독립신문≫ 발행 등 일련의 근대화 과정은 사상뿐만 아니라 각 분야별 학문 진보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1896년 재일 관비 유학생 파견과 독립협회 조직에 따라 ≪대조선재일유학생 친목회회보≫와 ≪독립협회회보≫가 발행된 것은 비록 잡지 형태이기는 하지만, 학술 담론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이로부.. 2020. 12. 3.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1 가정·격치·경제 근대화 과정에서 일어난 학문의 진보와 변화 1880년대 이후 한국의 학문은 급속도의 변화를 보인다. 황준헌의 ≪조선책략≫, 정관응의 ≪이언≫을 비롯하여 서양 학문과 접촉한 중국인들의 저서가 국내에 유입되고, ≪한성순보≫, ≪한성주보≫와 같은 신문 매체가 등장했으며, 각종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에서 1894년 갑오개혁과 1895년 근대식 학제의 도입, 재일 유학생의 출현, 독립협회 조직, ≪독립신문≫ 발행 등 일련의 근대화 과정은 사상뿐만 아니라 각 분야별 학문 진보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1896년 재일 관비 유학생 파견과 독립협회 조직에 따라 ≪대조선재일유학생 친목회회보≫와 ≪독립협회회보≫가 발행된 것은 비록 잡지 형태이기는 하지만, 학술 담론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이로부.. 2020. 12. 3.
뉴미디어 영화론 미디어에 의한 영향과 변화가 점차 커지고 있다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그것을 변화시키는 요인들은 다양하지만, 그 가운데 미디어에 의한 영향과 변화가 점차 커지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그와 동시에 기술과 미디어의 발전을 어떠한 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가, 혹은 그것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의 문제도 매우 중요해졌다. 우리를 둘러싼 환경과 현상을 파악하는 일과 아울러 그것의 가치를 따져보고 또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일, 이 모든 일에 서둘러 착수해야 한다. 진정한 뉴미디어의 새로움이 무엇인지 살펴보다 이 책은 미디어가 무엇인가 혹은 뉴미디어가 무엇인가와 같이 아주 기본적인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뉴미디어가 미디어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 2020. 12. 2.
소남 이일우와 우현서루 소남 이일우의 생애와 나라사랑 정신 경주이장가(慶州李庄家)에는 몇 가지 일화가 전해진다.“길을 걸으며 솔잎으로 마른 목을 축였다”, “감나무 잎에 글을 쓰며 글공부를 하였다”, “나라가 어려운 때에 잔치를 할 수 없어서 잔치를 할 돈으로 옷을 만들어 구휼에 쓰게 하였다”는 금남(이동진)/소남(이일우)의 절약과 성실함, 그리고 함께 하는 마음에 대한 일화들이 그것이다. 이 책은 그 중 소남 이일우의 행적을 재조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소남 이일우 공은 몰락해가는 대한제국 시대를 거쳐 일제에게 나라를 잃어버린 위난의 시대를 의연히 나라를 사랑하는 정신으로 살았던 위인으로, 대구에서 라는 도서관을 세워 계몽교육을 통한 인재교육과 더불어 구국운동으로서 국채보상운동의 한 축을 주도한 핵심적인 인물이다. 또한 대구지.. 2020. 12. 2.
19세기 한문중단편소설의 세계 새로 발굴, 소개된 작품을 통해 바라본 19세기 한문소설의 세계 이 책은 19세기 한문소설사 연구에 있어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던 한문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주제 구현 양상과 서사적 특징 등을 연구한 것이다. 한동안 정체 상태에 빠져 있었던 19세기 한문소설 연구를 새로 발굴된 작품을 통해 구도와 사적 위상 등을 재정립해 보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이기도 하다.특히 이 책은 최근 새롭게 발굴, 소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19세기 한문중단편소설의 세계를 가늠해보려 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자료가 여럿 소개되고 있으며, 기존의 시각과는 다른 각도에서 작품을 분석하여 흥미롭게 다가온다. 먼저 19세기 한문중단편소설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전제로 17~18세기 한문소설의 지형 변화를 중심으로 .. 2020. 12. 1.
동아시아 이주민 사회와 문화 적응(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총서 10) 동아시아에 분포된 여러 나라의 이주민 사회를 연구하다 이 책은 주제에 따라 ‘이주민의 정체성과 역사성’, ‘이주민의 선택과 전략’, ‘이주민의 사회적 분화와 문화 적응’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했다.제1부 ‘이주민의 정체성과 역사성’은 세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최승현 교수는 역사적인 시각에서 조선족의 ‘정체성의 형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치진위(祁進玉) 교수는 중국학자의 시각으로 (중)국내외의 재외 화인 문화정체성 관련 연구에 대한 평가를 통해 재한 화인 문화정체성 연구의 과제를 제시했다. 조정우 교수는 1930년대 조선인 ‘만주국’ 이민을 둘러싼 일제 내부의 정책 갈등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제2부 ‘이주민의 선택과 전략’은 세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이화 교수는 연변조선족 이주가족의.. 2020. 12. 1.
선현유음 (하): 조선 후기 필사본 한문소설집 17세기 경 선집・필사한 한문소설집 ≪선현유음≫은 17세기 경 누군가가 선집・필사한 한문소설집으로, 17세기나 그 이전 작품인 , , , , , , , , 총 8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선현유음≫처럼 8편이나 되는 작품이 한 권으로 묶인 한문소설집은 김일성대학 소장의 ≪화몽집≫뿐이다. ≪화몽집≫ 역시 17세기경 편찬된 것으로 9편(은 서두만 있기에 실질적으로는 8편이다)이 필사되어 있다.≪선현유음≫의 발굴은 17세기 중엽 이후 한문소설의 전사(轉寫)와 유전(流傳)이라는 측면에서, 또 ‘소설집의 동기화’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귀중한 자료집이다.흥미로운 점은 ≪선현유음≫ 편찬자의 필사 선집 의식이다. 과 을 제외한 모든 작품이 애정전기소설이기 때문이다. 특히 같은 경우는 이 소설집에만 필사된 유일 작품으로 .. 2020. 11. 30.
선현유음 (상): 조선 후기 필사본 한문소설집 17세기 경 선집ㆍ필사한 한문소설집 ≪선현유음≫은 17세기 경 누군가가 선집ㆍ필사한 한문소설집으로, 17세기나 그 이전 작품인 , , , , , , , , 총 8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선현유음≫처럼 8편이나 되는 작품이 한 권으로 묶인 한문소설집은 김일성대학 소장의 ≪화몽집≫뿐이다. ≪화몽집≫ 역시 17세기경 편찬된 것으로 9편(은 서두만 있기에 실질적으로는 8편이다)이 필사되어 있다.≪선현유음≫의 발굴은 17세기 중엽 이후 한문소설의 전사(轉寫)와 유전(流傳)이라는 측면에서, 또 ‘소설집의 동기화’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귀중한 자료집이다.흥미로운 점은 ≪선현유음≫ 편찬자의 필사 선집 의식이다. 과 을 제외한 모든 작품이 애정전기소설이기 때문이다. 특히 같은 경우는 이 소설집에만 필사된 유일 작품으로 .. 2020.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