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동아시아

동아시아 이주민 사회와 문화 적응(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총서 10)

by 양정섭 2020. 12. 1.

동아시아에 분포된 여러 나라의 이주민 사회를 연구하다


이 책은 주제에 따라 ‘이주민의 정체성과 역사성’, ‘이주민의 선택과 전략’, ‘이주민의 사회적 분화와 문화 적응’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했다.

제1부 ‘이주민의 정체성과 역사성’은 세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최승현 교수는 역사적인 시각에서 조선족의 ‘정체성의 형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치진위(祁進玉) 교수는 중국학자의 시각으로 (중)국내외의 재외 화인 문화정체성 관련 연구에 대한 평가를 통해 재한 화인 문화정체성 연구의 과제를 제시했다. 조정우 교수는 1930년대 조선인 ‘만주국’ 이민을 둘러싼 일제 내부의 정책 갈등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제2부 ‘이주민의 선택과 전략’은 세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이화 교수는 연변조선족 이주가족의 ‘초국적(한중) 생존 전략’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국 내 말레이시아 화교ㆍ화인 연구 전문가인 우치엔진(吳前進) 교수는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현지 화인의 문화적 생존 전략을 재조명하고 있다. 이상우 교수는 중국 내 대표적인 한인 집거지인 청도에서의 이주자의 자녀교육 실태와 특성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제3부 ‘이주민의 사회적 분화와 문화 적응’은 세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송석원 교수와 박우 교수의 논문은 이주민의 ‘사회적 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송석원 교수의 논문은 다층적인(일본인과 재일 한인 간, 재일 한인과 모국 거주 친인척 간) 갈등과 적응의 진자운동 속에서 삶을 영위해야만 했던 올드커머 재일 한인을, 그리고 박우 교수는 최근 재한 조선족 사회 연구의 이슈인 사회경제적 분화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안성호 교수는 사회연결망을 통해 일본 사회에 적응하고자 하는 재일 조선족 사회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하여 이민자 관련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중국학자들과 연계한 이 작업이 한중 학문적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길 바랐다.




[ 목차 ]


제1부 이주민의 정체성과 역사성


조선족 정체성의 ‘다름’과 ‘선택’에 관한 역사적 고찰 [최승현]

1. 한국의 동포인가? 중국의 화교인가?

2. 조선족의 탄생

3. 조선족의 정체성

4. 재한 조선족의 정체성

5. 조선족의 ‘선택’


재한 화인(華人) 문화정체성 연구의 동향과 전망 [祁進玉・郭昭君]

1. 재외 화인 연구의 배경과 의의

2. (중)국외 연구동향

3. (중)국내 연구동향

4. 재한 화인 정체성 연구의 전망


한인 만주이민사의 한 측면: 1930년대 조선총독부 만주이민정책의 구상과 변용 [조정우]

1. 국책이민과 이민회사

2. 식민통치의 위기와 농촌과잉인구문제

3. 조선총독부의 사회정책적 이민 구상

4. 만주이민을 둘러싼 일본제국 내부의 갈등

5. 선만척식회사의 설립과 재만 조선인 ‘집결’ 사업


제2부 이주민의 선택과 전략


중한 이주가족의 초국가적 생존 전략: 연변 조선족을 사례로 [이화]

1. 초국가적 생존 전략: 조선족의 해외 이주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2. 가족을 위한 전략적 선택: 분산 이주를 통해보는 가족의 주체성

3. 초국가적 가족을 살아가기: 일상적 실천을 통해보는 생존 전략

4. 전략적 가족 형태로서의 초국가적 가족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으로 본 말레이시아 화인(華人)의 문화적 생존 전략 [吳前進]

1. 말레이시아 화인의 문화적 생존에 주목하는 이유

2. 말레이시아 화인의 문화적 생존과 발전의 기초

3. 말레이시아 화인의 문화적 생존과 발전의 경로

4. 말레이시아 화인의 문화적 생존과 발전의 특징

5. 말레이시아 화인의 문화적 생존과 발전의 미래


칭다오 한인 이주자의 자녀교육 실태 분석 [이상우]

1. 칭다오 한인 이주자의 자녀교육에 주목하는 이유

2. 칭다오 한인 이주자의 자녀교육 관련 기존논의들

3. 칭다오 한인 이주자의 자녀교육 실태

4. 칭다오 한인 이주자의 자녀교육 특성

5. 이상적인 교육상으로서의 ‘지한(知韓)’과 ‘지중(知中)’교육


제3부 이주민의 사회적 분화와 문화 적응


갈등과 적응의 진자(振子)운동: 올드커머 재일 한인과 일본 사회 [송석원]

1. 재일 한인과 ‘타양에 뿌리내린 고향’

2. 올드커머 재일 한인의 형성 과정과 현황

3. 갈등과 적응 간 진자운동의 양상

4. 진자운동하는 삶의 행방(行方)


조선족의 사회경제적 분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우]

1. 조선족 사회를 읽는 시각

2. 중국 조선족 사회의 분화

3. 재한 조선족의 집거지화와 분화

4. 연구대상으로서 분화된 조선족


이민, 사회연결망과 문화 적응: 재일 중국 조선족 사회를 중심으로 [안성호]

1. 재일 조선족 사회의 형성

2. 재일 조선족 단체와 사회 연결망

3. 재일 조선족 사회의 문화 적응

4. 문화융합과 사회 적응



[ 지은이 ]


박우(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교육원 조교수)

송석원(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안성호(중국 절강대학교 인문대학 부교수)

우치엔진(吳前進, 상해사회과학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정교수))

이상우(중국해양대학교 한국학과 전임강사)

이화(중국 연변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조정우(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연구교수)

최승현(전남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치진위(祁進玉, 중국민족대학 민족학ㆍ사회학대학 교수)



[도서명] 동아시아 이주민 사회와 문화 적응

[시리즈]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총서 10

[엮은곳]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

신국판(152×224) / 264쪽 / 값 16,000원

발행일 2017년 5월 30일

ISBN 978-89-5996-537-3 93300

[분야] 사회학 > 동아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