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종합 및 기타

쓰기 이론: 인지주의 관점과 텍스트 관점__정희모 지음

by 양정섭 2025. 1. 23.

쓰기 이론의 핵심인 인지주의 이론과 텍스트 이론을 다뤄

지금은 AI 글쓰기에 관한 관심이 뜨겁고, 읽기 교육과 쓰기 교육은 여러 대학에서 축소되거나 폐지되고 있다. 읽고 생각하고 쓰는 인간의 지적 사고는 차츰 AI와 같은 컴퓨터 기반 사고로 옮겨가고 있다. 출판 매체와 쓰기 과정 자체가 위태로운 이 시기에 쓰기 이론에 관한 책을 쓴다는 것이 아이러니하기도 하고, 무슨 의미가 있을까를 생각하게 한다.
이 책은 원래 쓰기 이론의 전체적인 내용을 담고자 기획되었으나, 내용이 방대하여 그 중 쓰기 이론의 핵심이 되는 인지주의 이론과 텍스트 이론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국내에는 논문으로 개별적인 부분들이 소개되어 있으나 책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은 처음이다. 인지주의 이론은 인지과정 이론과 사회적 관점의 이론을, 그리고 텍스트 이론은 결속성·응집성의 이론과 화제구조분석 이론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의 1부에서는 글쓰기 교육 연구의 성격, 이론의 방향과 전망 등을 담는 논문을 실었다. 글쓰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향, 앞으로의 과제, 디지털 시대에서의 전망 등을 다루었다. 2부에서는 글쓰기 교육의 학술적 성격을 검토했다. 글쓰기 교육은 사고와 표현의 측면에서 학술적 내용의 기초적 토대를 반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학술적 연구를 지원한다.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 전이의 문제가 주요한 과제로 등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3부에서는 글쓰기 연구의 주요 세부 항목들을 다루었다. 여기서는 과정중심이론, 독자 이론, 문법 및 문장 교육, 비판적 담화분석, 활동 이론 등을 다루었다. 4부에서는 글쓰기 텍스트의 분석 문제와 평가 문제를 다루었다. 이 책에서 ‘작문’과 ‘글쓰기’라는 말을 원문 그대로 병행해서 사용했다. 여기서는 의미상 큰 차이가 없음을 밝힌다.
이 책의 내용들은 앞으로 국내 쓰기 연구나 텍스트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에 관한 교수학습방법이 많이 나오길 기대한다.


쓰기 이론: 인지주의 관점과 텍스트 관점(정희모 지음, 경진출판 발행)


[ 출판사 서평 ]

그동안 글쓰기 이론 책은 주로 교육학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국내 글쓰기 분야가 주로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렇다. 그렇기 때문에 이론적 관점에서 서술된 책은 많지가 않다.
이 책은 교육학보다는 실제 쓰기 이론적인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항목들을 모았다. 쓰기 이론의 역사는 인지주의와 사회적 관점의 논쟁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그 부분을 서술했고, 텍스트 이론의 관점에서 결속성과 응집성의 문제를 서술하고, 텍스트 구조의 입장에서 화제 구조 분석을 설명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주로 글쓰기 이론을 다루지만 교육에도 필요한 항목을 포함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순수 이론과 교육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학습해야 할 주요 항목을 모은 것이다. 그리고 이 항목에 관한 내용도 기존의 연구 성과를 훨씬 뛰어 넘어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논문들을 많이 포함했다.


[ 차례 ]

책머리에


제1부 과정 중심 이론의 등장과 쓰기 이론

제1장 과정 중심 이론 등장과 배경
1. 쓰기 교육의 변화와 Janet Emig의 등장
2. 초기 작문 교육의 문제점: Newkirk, Hairston, Murray

제2장 과정 중심 이론과 인지주의
1. 쓰기 과정의 구조화 이론: Hayes & Flower(1980)
2. 글쓰기 인지 과정 이론: Flower & Hayes(1981)
3. 인지와 감성을 내포한 새로운 모형: Hayes(1996)

제3장 다원적 관점과 쓰기 과정 연구
1. 연결주의 관점의 쓰기 과정 연구
2. 작문 과정의 이원적 모형(Two Models of Composing Processes)
3. 병렬 분산형 처리 모형: 지식 구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제2부 사회적 관점과 독자 및 담화공동체

제1장 인지주의 비판과 사회적 관점의 대두
1. 인지주의 비판과 사회구성주의
2. 사회적 관점과 담화공동체
3. 맥락의 문제와 상황인지
4. 바흐친(Bakhtin)의 관점과 대화주의
5. 사회적 인지와 맥락의 중재
6. 사회인지와 맥락의 의미

제2장 수사학적 문제와 독자 이론
1. 쓰기 과정과 독자의 문제
2. 수사학적 관점과 독자 교육의 문제
3. 수사학적 독자 분석과 비판
4. 전달하는 독자 vs 호출하는 독자
5. 독자 개념의 기능적 시각
6. 독자 분석과 해석 공동체

제3장 해석 공동체와 담화공동체의 개념
1. Stanley Fish의 해석 공동체
2. 담화공동체의 개념
3. Swales의 담화공동체 요건과 특성
4. 담화공동체의 구성에 관한 논쟁


제3부 결속성과 응집성의 쟁점

제1장 텍스트와 언어
1. 텍스트의 정의
2. Halliday & Hasan(1976)의 텍스트 개념
3. Beaugrande & Dressler(1982)와 다른 학자들의 텍스트 개념

제2장 결속성과 응집성의 의미
1. 결속성과 응집성의 정의
2. 결속성과 응집성에 관한 초기 논의

제3장 결속성의 의미와 조건
1. Halliday & Hasan(1976)의 결속성 개념
2. Hasan의 결속성 조화 분석(Cohesive Harmony Analysis)
3. 결속성 성립의 조건(Reinhart, 1980)
4. 결속성의 효과와 한계
5. 결속성 효과에 관한 통계적 검증

제4장 응집성의 개념과 원리
1. 텍스트 응집성의 개념
2. 응집성의 분류
3. 응집성의 조건(Reinhart, 1980; Delu & Rushan, 2021)
4. 응집성의 텍스트적 자질


제4부 화제 구조 분석의 의미

제1장 문장 화제와 정보 구조
1. 정보구조와 CD(Communicative Dynamism)
2. 화제와 초점
3. 텍스트에서 화제의 식별

제2장 텍스트 구조와 화제 전개
1. 화제 구조 분석의 의미와 전략
2. 화제 구조 분석의 의미와 세부 요소

제3장 화제구조의 전개 방식
1. Daneš의 화제구조 전개 방식
2. Witte의 화제구조 전개 방식
3. Lautamatti의 화제구조분석

제4장 화제 구조 분석과 텍스트 질
1. 수정 텍스트와 화제 분석(Witte, 1883a)
2. 화제 구조와 텍스트 질(Witte, 1983b)
3. 화제구조분석과 L2 연구(Schneider & Connor, 1990)


참고문헌


[ 지은이 정희모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글쓰기 이론과 글쓰기 교육을 연구했으며 글쓰기에 관한 학술적, 대중적 저술 작업을 해왔다. 오랜 기간 학생들에게 글쓰기를 꾸준히 가르쳐 왔고, 글쓰기 이론에 관한 세미나를 지속하고 있다. 관심을 가진 분야는 쓰기 과정에 관한 인지적 연구를 쓰기 학습에 적용하는 것이며, 아울러 이에 관한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한국작문학회, 대학작문학회, 한국리터러시학회 회장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글쓰기 교육의 이론적 탐색≫, ≪창의적 생각의 발견≫, ≪문장의 비결≫, ≪글쓰기의 전략≫(공저), ≪대학 글쓰기와 텍스트 해석≫(공저), ≪글쓰기 교육과 교수 방법≫(공저) 등이 있으며, 공저로 쓴 글쓰기 교재로 ≪글쓰기≫,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가 있다. 공역서로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 ≪장르: 역사・이론・연구・교육≫, ≪쓰기 평가≫가 있다.


[도서명] 쓰기 이론
[부제명] 인지주의 관점과 텍스트 관점
[지은이] 정희모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568쪽 / 값 38,000원
발행일 2024년 12월 30일
ISBN 979-11-93985-40-3 93710
분야: 인문학>언어학(전문, 학술), 사회과학>교육학


0123456789
쓰기 이론: 인지주의 관점과 텍스트 관점(정희모 지음, 경진출판 발행)


#쓰기 #쓰기이론 #글쓰기교육 #인지주의 #텍스트 #인지과정이론 #사회적관점 #결속성 #응집성 #화제구조분석 #독자 #담화공동체
#좋아요 #댓글 #공유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