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현상과 읽기 교육의 본질을 외부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다
이 책은 읽기 현상과 읽기 교육을 새롭게 보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새롭게 보기 위서는 현재와는 다른 눈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다른 눈으로 동양의 과거 인식론과 서양의 현재 인식론을 활용하였다. 동양의 과거 인식론이라 하여 버릴 것이 아니고, 서양의 현재 인식론이라 하여 과거 없이 생겨난 것이 아니다. 과거와 현재는 서로 넘나들며 새로움을 창조한다.
이 책의 1부는 동양의 과거 인식론에 근거한 논의로 그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자의 ≪도덕경≫ 관점이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사람은 세계에 대한 앎을 바탕으로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한다. 이 논의에서는 ≪도덕경≫의 인식 논리를 근거로, 독자의 글 읽기는 온삶을 위한 온관념의 구성이어야 함을 밝히고, 온삶 읽기를 위한 교육의 방안을 논의하였다.
둘째, 유학의 ≪대학≫ 관점이다. ≪대학≫은 8조목으로 군자의 공부 지향점을 제시하는데, 이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면 자아확립이다. 이 논의에서는 ≪대학≫의 8조목을 토대로, 독자의 글 읽기가 자아확립 활동임을 논의하고, 독자의 자아확립 읽기를 위한 교육의 접근 방향을 탐색하였다.
셋째, 유학의 ≪중용≫ 관점이다. 중용은 세상 이치의 본질을 깨쳐 만물의 번영을 도움으로써 자아실현을 이루어 내려는 의식이다. 이 논의에서는 중용의 관점에서, 독자의 글 읽기가 자아실현이 활동이 되어야 함을 밝히고, 독자의 자아실현 읽기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불교의 공사상(空思想) 관점이다. 공사상은 사물은 자성(自性)을 갖지 않아 공(空)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물은 연기적(緣起的)으로 존재하고 작용한다고 본다. 이 공사상의 관점에서 독자의 읽기 특성을 밝히고, 독자의 연기적 읽기를 위한 교육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다섯째, 불교의 유식학(唯識學) 관점이다. 유식학은 우리의 대상에 대한 인식은 인식주관에 의한 인식 작용의 결과라고 본다. 이 논의에서는 유식학의 인식 논리를 활용하여 독자의 텍스트 이해 특성을 밝히고, 독자의 유식적 읽기를 위한 교육의 방법을 논의하였다.
여섯째, 불교의 여래장 사상 관점이다. 여래장 사상은 사람은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는 불성을 마음속에 지니고 있는데, 이 불성을 발현시키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논리이다. 이 논의에서는 여래장 사상의 논리에 기초한 깨침 읽기의 특성을 밝히고, 독자의 깨침 읽기를 위한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책의 2부는 서양의 현재 인식론에 근거한 논의로 그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키에르케고르의 간접 전달 관점이다. 간접 전달은 단독자가 절대자와 대면하여 주관적 진리를 확립하는 방법이다. 이 논의에서는 독자가 텍스트의 진리를 대면하여 간접 전달의 방법으로 주관적 진리를 확립하는 과정을 밝히고, 독자의 간접 전달 읽기를 위한 교육의 접근 방안을 논의했다.
둘째, 후설 현상학의 지향성 관점이다. 지향성은 ‘대상을 향한 자아의 의식적 관계’로 정의되고, 의식의 초월을 지향한다. 이 논의에서는 지향성 개념을 토대로, ‘텍스트를 향한 독자 자아의 의식적 관계’로 독자가 의식의 초월을 이루는 활동 과정을 살피고, 초월적 읽기를 위한 교육 가능성을 검토했다.
셋째, 하이데거의 현존재론 관점이다. 현존재는 존재자와 존재를 공속하고, 존재 물음으로 존재가능성을 이해함으로써 존재대로 실존한다. 이 논의에서는 독자 현존재가 텍스트와 존재를 공속하고 자기 존재를 이해하여 실존하는 논리를 밝히고, 독자의 실존적 읽기를 위한 교육 방법을 살폈다.
넷째, 라캉의 욕망 이론이다. 라캉은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욕망의 생성과 활동으로 주체의 형성을 밝힌다. 이 논의에서는 욕망 이론을 토대로 읽기 주체의 형성과 주체적 읽기 활동을 살피고, 독자의 주체적 읽기를 위한 교육의 접근 방법을 탐구하였다.
다섯째, 레비나스의 타자 이론이다. 타자는 자아를 의식에 발현시키고 일깨우기에 환대하여 소통해야 하는 존재이다. 이 논의서는 독자가 글을 읽는 과정에서 만다는 타자를 환대하여 자아를 읽깨우는 방법을 논의하였고, 독자의 환대적 읽기 교육의 접근 방법을 논의하였다.
여섯째, 들뢰즈의 기호, 가능 세계, 차이 생성 이론이다. 들뢰즈의 기호는 존재들이 우리에게 방출하고, 우리가 감각하고, 이로부터 사유하게 하여 배움을 얻게 하는 그 무엇이다. 가능 세계는 타자의 표현으로 우리에게 인식되는 세계이다. 차이 생성은 대상에 대한 차이 그 자체에 주목하여 차이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들은 들뢰즈가 설명하는 대상 인식 방식이다. 이 논의에서는 기호, 가능 세계, 치이 생성론을 토대로 배움 읽기, 가능 세계 읽기, 차이 생성 읽기의 방법을 구체화하고, 읽기 교육의 접근 방법을 탐색하였다.
[ 출판사 서평 ]
이 책은 읽기 현상과 읽기 교육의 본질을 현재 교육의 관점과는 다르게 규정한다. 현재의 읽기 교육은 인지적 관점에서 읽기를 독자의 의미 구성으로 정의한다. 이 책에서는 이 정의와는 다른 여러 관점으로 읽기를 바라본다. 이들 관점을 크게 나누어 동양적 전통과 서양적 전통으로 구분하였다. 동양적 전통에서는 노자의 사상, 유학의 사상, 불교의 사상을 토대로 읽기 현상을 탐구하여 읽기 교육의 접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서양적 전통에서는 키에르케고르의 간접 전달론, 후설의 지향성 개념, 하이데거의 현존재론, 라캉의 욕망 이론,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 들뢰즈의 기호론, 가능 세계론, 차이 생성론 등을 토대로 읽기 현상을 밝히고, 읽기 교육의 접근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들에 기초한 논의는 읽기를 각기 다르게 정의하게 한다. 그렇기에 이 책의 내용은 읽기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읽기 연구자들과 교사들에게 읽기를 다양한 관점을 인식할 수 있게 안내한다. 이는 읽기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고, 읽기 교육을 여러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차례 ]
머리말
제1부 동양적 전통
제1장 온삶 읽기
1. 도덕경과 읽기
2. 온삶 읽기의 구조
3. 온삶 읽기의 교육
4. 온삶 읽기의 실천
제2장 자아확립 읽기
1. 대학(大學)과 읽기
2. 자아확립 읽기의 구조
3. 자아확립 읽기의 교육
4. 자아확립 읽기의 실천
제3장 자아실현 읽기
1. 중용(中庸)과 읽기
2. 자아실현 읽기의 구조
3. 자아실현 읽기의 교육
4. 자아실현 읽기의 실천
제4장 연기적 읽기
1. 공사상과 읽기
2. 연기적 읽기의 구조
3. 연기적 읽기의 교육
4. 연기적 읽기의 실천
제5장 유식적 읽기
1. 유식사상과 읽기
2. 유식적 읽기의 구조
3. 유식적 읽기의 교육
4. 유식적 읽기의 실천
제6장 깨침 읽기
1. 여래장과 읽기
2. 깨침 읽기의 구조
3. 깨침 읽기의 교육
4. 깨침 읽기의 실천
제2부 서양적 전통
제1장 자득적 읽기
1. 간접전달 읽기
2. 자득적 읽기의 구조
3. 자득적 읽기의 교육
4. 자득적 읽기의 실천
제2장 초월적 읽기
1. 지향성과 읽기
2. 초월적 읽기의 구조
3. 초월적 읽기의 방법
4. 초월적 읽기의 실천
제3장 실존적 읽기
1. 현존재와 독자
2. 실존적 읽기의 구조
3. 실존적 읽기의 특성
4. 실존적 읽기의 실천
제4장 주체적 읽기
1. 욕망과 독자
2. 주체적 읽기의 구조
3. 주체적 읽기의 작용
4. 주체적 교육의 과제
5. 주체적 읽기의 실천
제5장 환대적 읽기
1. 타자와 독자
2. 환대적 읽기의 구조
3. 환대적 읽기의 방법
4. 환대적 읽기의 실천
제6장 배움 읽기
1. 기호와 배움
2. 들뢰즈의 기호
3. 기호와 배움 읽기
4. 배움 읽기의 실천
제7장 가능 세계 읽기
1. 타자와 가능 세계
2. 가능 세계의 구조
3. 가능 세계 읽기의 방법
4. 가능 세계 읽기의 실천
제8장 차이생성 읽기
1. 차이 반복과 읽기
2. 차이생성 읽기의 특성
3. 차이생성 읽기의 방법
4. 차이생성 읽기의 실천
참고문헌
찾아보기
[ 지은이 김도남 ]
춘천교육대학교 졸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졸업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저서>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2014)
읽기 교육의 프리즘(공저, 2022)
읽기 교육의 프라임(2023)
유목적 읽기 교육론(2023)
생성적 읽기 교육론(2024) 외 다수
<논문>
기관 없는 몸체와 텍스트 이해(2024) 외 다수
[도서명] 읽기 교육의 파레르곤
[시리즈] 학술21
[지은이] 김도남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528쪽 / 값 32,000원
발행일 2024년 08월 25일
ISBN 979-11-93985-33-5 93370
분야: 사회과학 > 교육학 > 읽기교육(전문, 학술)
#읽기교육 #독서교육 #온삶읽기 #자아확립읽기 #자아실현읽기 #연기(緣起)적읽기 #유식(唯識)적읽기 #깨침읽기 #자득적읽기 #초월적읽기 #실존적읽기 #주체적읽기 #환대적읽기 #가능세계읽기 #차이생성읽기
#좋아요 #댓글 #공유 부탁드립니다.
'인문사회 > 종합 및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기 이론: 인지주의 관점과 텍스트 관점__정희모 지음 (0) | 2025.01.23 |
---|---|
한국의 여자 교육서와 여성 교육 담론 변천: 조선시대 지식사회에서 여성의 역할과 근대 여자 교육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근대여자교육담론1) (0) | 2024.07.08 |
들뢰즈 철학의 계보 1__Deleuze's Philosophical Lineage I(First Published by Edinburgh University Press) (1) | 2024.07.08 |
이상근 오페라 작곡집 <부산성 사람들(1985)>__부산의 삶, 예술가로 기억하다 (2) | 2023.11.27 |
세계 이슬람을 읽다(이성수 이정욱 천호강 공봉진 이강인 정연창 한선경) (0)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