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 철학의 계보 1
Deleuze's Philosophical Lineage I
(First Published by Edinburgh University Press)
들뢰즈가 거론하는 20명(플라톤, 둔스 스코투스, 라이프니츠, 흄, 칸트, 마이몬, 헤겔, 마르크스, 브론스키와 와랭, 리만, 타르드, 프로이트, 베르그손, 후설, 화이트 헤드, 뤼에르, 하이데거, 클로소프스키, 로트망, 시몽동 등), 각 분야 저명 학자들이 논하다
≪들뢰즈 철학의 계보≫는 권1(2009), 권2(2019)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 ≪들뢰즈 철학의 계보 1≫은 들뢰즈가 거론하는 플라톤, 둔스 스코투스, 라이프니츠, 흄, 칸트, 마이몬, 헤겔, 마르크스, 브론스키와 와랭, 리만, 타르드, 프로이트, 베르그손, 후설, 화이트 헤드, 뤼에르, 하이데거, 클로소프스키, 로트망, 시몽동 등 20명의 철학자, 경제학자, 수학자, 생물학자 등에 관한, 각 분야의 저명 학자들의 논문을 싣고 있다.
엮은이들은 들뢰즈의 저작을 처음 읽기 시작하는 사람들이나 이미 읽은 적이 있더라도 새롭게 다시 읽으려고 하는 사람들이 겪는 두 가지 어려움을 지적한다. 첫 번째 어려움은 들뢰즈의 저작은 그가 철학자, 수학자, 경제학자, 생물학자, 화가, 소설가, 시인, 작곡가, 영화감독 등의 개념을 새롭게 해석하거나 혹은 그들의 개념을 기반으로 창조한 개념들로 가득 차 있어서, 이 개념들을 이해하기 위해 그러한 학자들의 개념을 친밀하게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 어려움은 첫 번째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들뢰즈 철학에 관한 입문서, 안내서, 지침서 등을 구해 읽지만 그런 입문서 등은 들뢰즈의 모든 저작을 충분히 연구하지 않고 들뢰즈 철학의 정설 혹은 들뢰즈 사유의 이미지를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들뢰즈를 오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정이 이렇게 된 데는 무엇보다 구미권에 당시 들뢰즈 저작의 영어 번역이 별로 없었고, 그래서 들뢰즈의 기획에 관한 더 폭넓거나 더 정확한 모든 ‘관점’을 규정하는 일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들뢰즈의 텍스트들은 비-연대기 순으로 번역되었고, 이것이 특정 개념들의 발달과 전반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일을 어렵게 만들었으며, 결국 여러 방면의 비평가들이 들뢰즈의 개념들이나 용어들(가령 ‘기관들 없는 신체’)을 왜곡하고 때로 와전하는 일을 초래했다.
엮은이들은 무엇보다도 ‘문화적 응용’의 영역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차적 자료와 이런 저런 주해들로부터 들뢰즈의 용어들을 무책임하게 차용하는 사람들을 우려하고 있다. 이들은 들뢰즈의 저작을 무엇이든 좋다는 식의, 혹은 이론을 쇼핑하는 식의 접근법을 주창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들뢰즈의 개념들을 ‘문화적 연구’와 같은 학제간적 장 내에서 단편적으로 전유하는 일을 특징으로 삼는 경향이 있다. 문화적 연구에서는 들뢰즈의 특정 개념들이 원본의 맥락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이, 혹은 들뢰즈의 전작과 더 폭넓게 맺는 관계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이 차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보통 ‘리좀’이나 ‘노마드’와 같은 그의 후기 저작에서 도출된 개념들을 통해 매개된다.
엮은이들은 이 책에 실린 20명의 학자들의 논문들을 뒷받침하는 들뢰즈 철학의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들뢰즈의 사유는 다른 철학자들의 사유를 고찰할 때 그 고찰 내부에서 전개되는 사유이다. 그렇기에 들뢰즈의 방법은 우선적으로 ‘읽기의 방법’이다. 그의 읽기 실천은 비록 어떠한 직접적인 방식으로도 거의 논의되지 않지만, 분명 면밀하고 주의깊은 발굴의 하나이며, 아래에 놓여 있는 잠재하거나 심지어 이제 발생하려고 하는 요소들을 찾아 개념적 표토를 주의 깊게 체질하는 것이다. 들뢰즈는 그가 연구하는 사상가들이 어쩌면 결코 의도하지 않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리에 난 금들처럼 그들의 사유에 홈을 내거나 그들의 사유를 횡단하는 의미들(즉 잠세적 발달 선들)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텍스트를 알아내려고 애쓴다. 그러나 그렇게 할 때 들뢰즈는 결코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다른 사상가들이 하는 것처럼 말하지 않는다는 점을 여기서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는 사상가 그 자신들이 그들 자신의 사유 내에서 식별할 수 없었거나 혹은 식별하려 하지 않으려 했던 함축된 의미의 잠재하는 가닥들, 무의식적 차이들을 이끌어내어 종합할 따름이다.
둘째로, 이 책은 들뢰즈를 철학자로서, 그의 저작을 진정으로 철학적인 수행으로서 올바르게 자리매김하는 데 관심이 있다. 이른바 들뢰즈와 관련하여 이른바 정설이라고 하는 것들 중에는 그의 사상을 너무나 쉽게 철학 바깥에 혹은 철학 너머에 자리매김하는 것이 있다. 이와 반대로 들뢰즈가 체계적인 형이상학자라고 주장하는 것은 들뢰즈 사상이 결별하기를 원한 바로 그 인물과 같이 보이는 위험을 안고 있다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이를 거부하는 것은 들뢰즈의 사상이 철학 체계를 넘어 영향을 미쳐 오지 않았다든가, 혹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어야 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 아니다. 실로 들뢰즈 그 자신은 철학을 위한 다른 담론들과 실천들의 중요성을, 그리고 철학 외적인 관점에 ‘간여하는’ 철학의 창조적 역량의 중요성을 갈수록 더 주장했다.
셋째로, (들뢰즈의 저작에 따라 행동할 일부 애매한 책무 이외에는 남아 있는 것이 별로 없으며, 모든 기초 작업이 끝났고 그의 저작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이제 완전하다는 듯) 차이의 철학을 동기 부여하는 바로 그 탐구의 정신을 배반하는, 들뢰즈에 대한 응용적인 읽기를 향해 아무 망설임 없이 신속하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이 책에서는 그 반대 정향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해되어야 할 것은 말할 나위도 없고 탐구되어야 할, 들뢰즈에 관한 아주 많은 것이 여전히 남아 있다. 텍스트 그 자체를 떠나 우리의 시각을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안으로 향해, 들뢰즈의 철학적 기획인 동시적인 특이성과 다양체를 구성하는 때로 모호한 길을 주의 깊게 밟을 때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 책은 들뢰즈 사상의 미로로 들어가는 다양하고 분명한 진입점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그렇게 할 때 철학적인 복잡성이나 완결성을 조금도 희생하지 않는다. 더구나 이 책은 사유를 위한 대체물로서 너무나 자주 역할하는, 점점 늘어나는 입문서의 홍수에 또 다른 부가물이 되는 것 이상으로 의도되어 있다. 그러므로 20편의 시론을 담은 이 책은 이제서야 빛을 보기 시작하고 있고, 이런 저런 문화적 아젠다의 홍보를 위한 공구들, 슬로건들, 선전문들의 잡동사니로 들뢰즈의 철학을 전유하고 번역하고 환원하려는 공리주의적 시도로 인해 너무나 자주 옆길로 새고 있는 차이의 철학을 수호하기 위한 무장을 갖출 것을 요청하는 책이다. “아리아드네의 실”(이 책의 대안적 제목들 중의 하나)처럼 이 논문 모음집은, 모두 타당하지만 그 중 어느 한 논문도 확정적이거나 포괄적이거나 완전하다고 말할 수 없는 대안적인 탐구의 길을 이상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독자들은 이 시론들에서 들뢰즈에 대한 상이하고 친숙하지 않고 심지어 논쟁적이기까지 한 관점들―초-합리론자 들뢰즈, 수학적 들뢰즈, 비교적(祕敎的)이거나 신비적인 들뢰즈 등등, 즉 요컨대 미분적이고 문제적인 들뢰즈―을 마주칠 것이다. 더 이상 ‘주체’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의 철학과 관련한 진정한 노력의 장이 존재한다. 단지 이상적 들뢰즈나 들뢰즈의 이상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념’으로서의 들뢰즈가 존재할 뿐이다.

[ 차례 ]
감사의 말
약호
서론: 미로 안으로_(그레이엄 존스와 존 로페)
1. 플라톤_(그레고리 플랙스먼)
2. 존 둔스 스코투스_(네이선 위더)
3. G. W. F. 라이프니츠_(대니얼 스미스)
4. 데이비드 흄_(존 로페)
5. 임마뉴엘 칸트_(멜리사 맥마흔)
6. 솔로몬 마이몬_(그레이엄 존스)
7. G. W. 헤겔_(브루스 보)
8. 카를 마르크스_(유진 홀랜드)
9. 회에네 브론스키와 프란시스 와랭_(크리스천 커슬레이크)
10. 베른하르트 리만_(아르카디 플로트니츠키)
11. 가브리엘 타르드_(에릭 알리에)
12. 지그문트 프로이트_(로널드 보그)
13. 앙리 베르그손_(폴 액킨슨)
14. 에드문트 후설_(알랭 보리외)
15. A. N. 화이트헤드_(제임스 윌리엄스)
16. 레이몽 뤼에르_(로널드 보그)
17. 마르틴 하이데거_(콘스탄틴 V. 보운다스)
18. 피에르 클로소프스키_(이언 제임스)
19. 알베르 로트망_(사이몬 더피)
20. 질베르 시몽동_(알베르토 토스카노)
참고문헌
찾아보기
기고자 소개
옮긴이 소개
[ 기고자 소개 ]
에릭 알리에: 미들섹스 대학교 현대 프랑스 철학 교수이다. 그는 ≪The Signature of the World≫(2004)로 영역된 ≪세계의 서명, 혹은 들뢰즈와 과타리의 철학이란 무엇인가?≫(1993)의 저자이다. 또 ≪마티스의 사유≫(2005)의 공저자(장-클로스 본과 함께)이다.
폴 액킨슨: 모나시 대학교 ‘의사소통과 글쓰기 프로그램’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의 연구는 과학에 관한 앙리 베르그손의 저술들에 보이는 물질성과 물체성 간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내재적 변화와 확장되는 운동 간의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그의 간행 논문들은 베르그손의 생기론, 영화와 예견 가능성, 시간과 인식, 정지 화상에서의 정동의 지속적 한계와 함축된 운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주제들을 탐구하고 있다. 현재 그는 시간의 절차 이론, 미학, 서사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논문들을 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브루스 보: 톰슨 리버스 대학교(캐나다, 캄룹스)의 철학 교수이며, ≪프랑스의 헤겔: 초현실주의에서 후기모던니즘으로≫(2003)의 저자이다. 들뢰즈에 관한 그의 논문들은 <Man and World>, <the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for Phenomenology>, <Social Semiotics>, <Angelaki>, <Symposium> 같은 학술지에 실려 있다.
알랭 보들리외: 캐나다 로렌천 대학교 철학과 조교수이다. 그는 ≪질 들뢰즈와 현상학≫(2006)의 저자이며, ≪오늘날 미셸 푸코와 힘: 우리의 현재 역사에서의 국제적인 다학제간 연구≫(2006)의 공동 편집자이다.
로널드 보그: 조지아 대학교 비교문학과 특임 연구교수이다. 그는 ≪들뢰즈와 과타리≫(1989), ≪들뢰즈와 영화≫(2003), ≪들뢰즈와 문학≫(2003), ≪들뢰즈와 음악, 회화, 그리고 예술 일반≫(2003), ≪들뢰즈의 자취; 헌사와 찬사≫(2004)의 저자이다.
콘스탄틴 V. 보운다스: 트렌트 대학교 철학 명예교수이자, <이론, 정치, 문화의 트렌트 연구 센터>의 회원이다. 엮은 책으로 ≪들뢰즈 읽기≫(1993), 도로시아 올코프스키와 함께 엮은 책으로 ≪철학 극장: 질 들뢰즈에 관한 비판적 시론들≫(1994)이 있다. (마크 레스트, 찰스 스티베일과 공역한) 역서로 ≪질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1990)가 있고, ≪질 들뢰즈의 경험론과 주체성: 인간 본성에 관한 시론(1991)≫이 있다. 그는 또한 ≪들뢰즈와 철학≫(2006)의 편집자이자 ≪20세기 철학 에딘버러 안내서≫(근간)의 편집 주간이기도 하다.
사이먼 더피: 시드니 대학교(오스트레일리아) 철학과 조교수이다. 그의 연구 관심은 근대 초기 철학, 유럽 철학, 과학과 수학의 역사와 철학이다. 그는 ≪표현의 논리: 스피노자, 헤겔, 들뢰즈가 논하는 질, 양, 강도≫(2006)의 저자이자, ≪잠재적 수학: 차이의 논리≫(2006)의 편자이다. 그는 또한 http://www.webdeleuze.com에 있는 스피노자에 관한 질 들뢰즈의 세미나를 다수 번역하기도 했다.
그레고리 플랙스먼: 노스 캐롤리나 대학교 채플 힐 영문학과 조교수이다. 그는 ≪두뇌는 스크린이다: 들뢰즈와 영화 철학≫(2000)의 편집자로, 화행 이론, 정신분석, 포스트모던 소설, 비판 이론의 운명, 철학에 관한 논문들을 간행해 왔다. 그는 현재 우화와 철학에 관한 책을 마치고 있는 중이다.
유진 홀랜드: 오하이오 주립 대학 프랑스 이탈리아 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는 사회 이론, 그리고 현대 프랑스 문학, 역사, 문화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 후기구조주의, 특히 질 들뢰즈의 저작에 관한 다수의 논문 외에도, 그는 ≪보들레르와 분열분석: 모더니즘의 사회정치학≫(1993), ≪분열분석 입문≫(1999)과 같은 책들을 출간했으며, 현재, 시민 의식과 도착에 관한 책들을 집필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이언 제임스: 1996년 워릭 대학교에서 피에르 클로소프스키의 소설적 저술과 이론적 저술에 관한 박사 학위 연구 과정을 수료했다. 그 이후로 그는 캠브릿지 대학교 다우닝 대학 프랑스 학과 선임 연구원이자 전임강사이다. 그는 ≪피에르 클로소프스키: 이름의 지속성≫(2000), ≪파편적 요구: 장-뤽 낭시 철학 입문≫(2006), ≪폴 비릴리오≫(2007)의 저자이다.
그레이엄 존스: 모나시 대학 조교수이다. 그는 멜버른 대학교, 빅토리아 공과 대학교에서 강의해 왔으며, 대륙 철학 오스트레일리아 협회의 전임 회장, 멜버른 대륙 철학 학교의 회원, ≪감각 중추: 미학, 예술, 생명≫의 공동 편집자이다. 그는 또한 ≪재구성된 리오타르≫(근간)의 저자이기도 하다.
크리스천 커슬레이크: 런던, 미들섹스 대학교 <현대 유럽 철학>의 연구원이다. 그는 ≪들뢰즈와 무의식≫(2006), ≪칸트와 들뢰즈에서의 내재성 문제≫의 저자이자, ≪마음의 시작과 끝: 정신분석에 관한 철학적 시론들≫(2007)의 편집자이다.
멜리사 맥마흔: 시드디 대학 철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는데, 최근에 이 학과에서 들뢰즈와 칸트의 비판 철학에 관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http://www.webdeleuze.com에 있는 칸트에 관한 세미나를 포함하는 들뢰즈의 저술과 다른 프랑스 철학자들에 관한 많은 번역서를 출간했다. 들뢰즈에 관한 그녀의 논문들은 개리 게노스코 엮음, ≪들뢰즈와 과타리: 중진 철학자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 권1(2001), 찰스 스티베일 엮음, ≪질 들뢰즈: 핵심 개념들≫(2005)에 나와 있다.
아르카디 플로트니츠키: 퍼듀 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이자 <이론과 문화 연구 프로그램>의 소장이다. 영국과 유럽의 낭만주의, 비판 문화 이론, 대륙 철학, 물리학 철학, 그리고 문학, 철학, 과학 간의 관계에 관한 여러 책들과 많은 논문들을 간행해 왔다. 그의 가장 최근의 책들은 ≪인식 가능한 것과 인식 불가능한 것: 근대 과학, 비고전적 사유, “두 문화”≫(2002), ≪보어 읽기: 물리학과 철학≫(2006), 그리고 틸로타마 라잔과 공동 편집한 논문 모음집, ≪절대자 없는 관념론: 철학과 낭만파 문화≫(2004)이다.
존 로페: 멜버른 대륙 철학 학교(www.mscp. org.au)의 회원이자, ≪데리다 이해하기≫(2004), ≪데리다의 하이데거≫(근간)의 편집자이다. 그는 들뢰즈, 데리다, 메를로-퐁티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해 왔으며, 지금은 들뢰즈와 바디우의 존재론과 정치학에 관한 비교 연구를 집필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대니얼 W. 스미스: 퍼듀 대학교 철학과 부교수이다. 그는 들뢰즈의 ≪비평적인 것과 진단적인 것≫(1997), ≪프랜시스 베이컨: 감각의 논리≫(2004), 또한 피에르 클로소프스키의 ≪니체와 악순환≫(1993)의 번역자이다.
알베르토 토스카노: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 사회학 조교수이자, <발명과 사회 과정 연구 센터(CSISP)>의 회원이다. 그는 ≪생산 극장: 칸트와 들뢰즈 사이의 철학과 개체화≫(2006)의 저자이자, ≪알랭 바디우의 이론적 저술들≫과 ≪베케트에 관하여≫의 공동 편집자이다. 그는 시몽동, 셸링, 바디우, 그리고 현대 사회 정치 사상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들을 썼다.
네이선 위더: 엑서터 대학교 정치 이론 조교수이다. 그의 ≪차이의 계보≫(2002)는 헤겔-이후의 차이의 철학을 고대 철학, 초기 기독교 철학, 중세 철학에 대한 전략적 시도들과 함께 엮음으로써 동일성, 권력, 의미, 차이에 관한 존재론적 쟁점들을 다루고 있다. 그는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2001), ≪Southern Journal of Philosophy≫(2003), ≪Contemporary Political Theory≫(2004), 그리고 ≪Philosophy Today≫(근간)에 발표된 글들을 포함해서, 단행본의 장들에서 또 학술지 논문들에서 들뢰즈의 철학에 관해 광범위하게 집필해 왔다. 그의 가장 최근의 책은 ≪시간과 정치에 관한 성찰≫이다.
제임스 윌리엄스: 던디 대학교 철학 부교수이다. 그의 간행서로는 K. 크롬과 함께 쓴 ≪리오타르 읽기와 안내≫(2006), ≪질 들뢰즈의 횡단적 사유: 마주침과 영향≫(2005), ≪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비판적 입문과 안내≫(2003), ≪질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 비판적 입문과 안내≫(2008)가 있다.
[ 엮은이 그레이엄 존스 ]
모나시 대학 조교수이다. 그는 멜버른 대학교, 빅토리아 공과 대학교에서 강의해 왔으며, 대륙 철학 오스트레일리아 협회의 전임 회장, 멜버른 대륙 철학 학교의 회원, ≪감각 중추: 미학, 예술, 생명≫의 공동 편집자이다. 그는 또한 ≪재구성된 리오타르≫(근간)의 저자이기도 하다.
[ 엮은이 존 로페 ]
멜버른 대륙 철학 학교(www.mscp. org.au)의 회원이자, ≪데리다 이해하기≫(2004), ≪데리다의 하이데거≫(근간)의 편집자이다. 그는 들뢰즈, 데리다, 메를로-퐁티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해 왔으며, 지금은 들뢰즈와 바디우의 존재론과 정치학에 관한 비교 연구를 집필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 옮긴이 수조산 박인성 ]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명예교수. 저서로 ≪무문관을 사색하다: 무문과 들뢰즈의 만남을 기리며≫, ≪화두≫, ≪법상종 논사들의 유식사분의(唯識四分義) 해석≫ 등이 있으며, 철학 역서로 ≪질 들뢰즈의 철학≫, ≪질 들뢰즈의 저작 I: 1953~1969≫, ≪들뢰즈와 재현의 발생≫, ≪생명 속의 마음: 생물학・현상학・심리과학≫,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후설의 후기 사상을 중심으로≫, ≪현상학적 마음: 심리철학과 인지과학 입문≫, ≪유식사상과 현상학: 사상구조의 비교연구를 향해서≫, ≪현상학과 해석학≫ 등이 있고, 불교 역서로 ≪유식삼십송석: 산스끄리뜨본과 티베트본의 교정・번역・주석≫, ≪중(中)과 변(邊)을 구별하기: 산스끄리뜨본・현장한역본≫, ≪중변분별론소≫, ≪유식삼십송 풀이: 유식불교란 무엇인가≫, ≪니야야빈두/니야야빈두띠까: 산스끄리뜨본≫, ≪불교인식론 연구: 다르마끼르띠의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론≫, ≪아비달마구사론 계품: 산스끄리뜨본・진제한역본・현장한역본≫, ≪중론: 산스끄리뜨본・티베트본・한역본≫, ≪반야심경찬≫ 등이 있다.
[도서명] 들뢰즈 철학의 계보 1
[원서명] Deleuze's Philosophical Lineage I
[엮은이] 그레이엄 존스, 존 로페
[옮긴이] 박인성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 양장(152×224) / 644쪽 / 값 42,000원
발행일 2024년 07월 20일
ISBN 979-11-93985-26-7 93100
분야: 인문과학 > 철학(전문, 학술)
#철학 #들뢰즈 #계보 #플라톤 #칸트 #헤겔 #마르크스 #라이프니츠 #프로이트 #베르그손 #후설 #하이데거 #로트망 #시몽동 #스코투스 #마이몬 #흄 #브론스키 #와랭 #리만 #화이트헤드 #뤼에르 #클로소프스키 #읽기 #이념
#좋아요 #댓글 #공유 부탁합니다
'인문사회 > 종합 및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기 교육의 파레르곤__학술21__김도남 지음 (0) | 2024.08.20 |
---|---|
한국의 여자 교육서와 여성 교육 담론 변천: 조선시대 지식사회에서 여성의 역할과 근대 여자 교육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근대여자교육담론1) (0) | 2024.07.08 |
이상근 오페라 작곡집 <부산성 사람들(1985)>__부산의 삶, 예술가로 기억하다 (2) | 2023.11.27 |
세계 이슬람을 읽다(이성수 이정욱 천호강 공봉진 이강인 정연창 한선경) (0) | 2023.07.16 |
96세 미키마우스가 현역인 비밀―문화콘텐츠 지식재산권 비즈니스―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