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32

3대 세습과 청년지도자의 발걸음(북한 문학예술의 지형도 4) 북한문학예술의 분석 평가 김정은 체제의 본질과 관련하여 현재 상황뿐만 아니라 미래를 전혀 예측할 수 없는 것이 엄연한 사실이다. 그렇다고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급변하는 정치 현실과 조금은 거리를 두면서 우회적인 인식 통로인 문학예술의 현황을 기동력 있게 분석 평가하는 것도 연구자의 책무요 학계의 의제를 선점하는 의미가 있을 터이다. 최소한 김정은 시대 초 2년간 이루어진 문학예술계의 동향을 객관적으로 소개・평가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기초적인 조사 보고의 의의는 있다고 자부한다. 물론 새 정권이 들어선 지 2년 남짓밖에 경과하지 않았기에 김정은 ‘시대’라고 명명하기엔 이른 감이 없지 않지만, 적어도 문학예술 작품을 통해 볼 때만큼은 김정은 체제가 어느 정도 안착되었다고 판단된다. 저널리즘의.. 2020. 10. 5.
한설야의 욕망, 칼날 위에 춤추다: 한설야 문학연구(학술 07) 분단의 역사에서 가장 문제의 작가, 북조선 문학계의 핵심 인물, 한설야 아마도! 코리아 문학, 분단의 역사에서 가장 문제의 작가는 한설야일 것이다. 폭풍의 핵!? 그는 해방과 함께 조선 문단의 주변에서 북조선 정치의 중심에서 북조선 문학 예술계를 이끌었던 핵심적 작가였다. 어떤 작가도 착취가 없고 억압이 없는 평등한 세상을 위해 ‘중심’에서 외쳤던 작가는 없었을 것이다. 아마도! 항상 작가란 주변이었다. 즉, 작가란 주변에서 중심을 비판하거나 자기만의 세상을 만들어 가는 것이 숙명과도 같은 존재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중심에서 외쳤던 것이다. 그러나 중심이란 항상 파열하기 마련이었다. 그것이 그의 숙청이었다. 이런 한설야의 궤적에 대한 추적이란 후세에 남겨진 몫임은 당연했다. 그러나 분단의 세월만큼.. 2020. 9. 21.
남북문학연구: 양귀비가 마약 중독의 원료이듯...(국문학 03) 양귀비가 마약 중독의 원료이듯…As poppies are the raw material for heroin addiction… 남북 문학의 사실과 허구의 애매한 경계, 이에 대한 과정을 밝힌다 우리에겐 과거란 무엇일까? 양귀비가 마약 중독의 원료이듯, 과거가 내셔널리즘의 원료가 된다는 것은 사실인 듯하다. 적당한 과거가 없다면 그러한 과거가 언제든지 발명될 수 있다는 것도 자명하다. 또한 과거가 분명 비루한 현실을 영광스럽게 만들고 정당화시킨다는 것도 분명하다. 그런데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허구의 경계는 모호하지만 사실을 창조할 수는 없다. 즉, 이승만과 김일성이 죽었거나 죽지 않았거나 중에서 답은 하나일 수밖에 없듯, 사실만은 창조할 수 없다. 그러면 남북 문학의 내셔널리즘 또는 반공 내셔널리즘, 반제.. 2020. 9. 15.
통일문화사대계 2: 2000~2009 북한 문예비평 자료・해제집(북한문학예술총서 9) 정치, 사회 분야의 공식 문건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2000년대 북한 체제의 리얼리티와 마주하다 북한에서 2000년대(2000년~2009년)는 김정일 집권 후반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 북한은 소위 ‘선군’, 그리고 강성대국의 구호를 내걸고 체제 수호와 위기 극복에 나섰고 이는 북한의 사회, 문화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2000년대 북한 문화예술은 당시 북한의 지배적인 이념, 곧 선군 이데올로기의 직접적인 영향 하에서 이른바 선군혁명문학예술로 변모했다. 이것은 이른바 주체문학예술의 주역으로서 군(軍)의 역할과 의미를 좀 더 부각시킨 형태의 문예다. 특히 이 시기 북한문예는 강성대국의 기치에 맞춰 문예의 현대화를 적극 모색했다. 6・15 남북 공동선언(2000년)으로 촉발된 남북교류 역시 북한문예에 .. 2020. 9. 15.
통일문화사대계1: 1990~1999 북한 문예비평 자료・해제집(북한문학예술총서 3) 1990년부터 1999년까지 북한 문예지에 실린 종합예술분야에 대한 각 분야 전문가들의 분석 및 목록 수록 이 책은 1990년부터 1999년까지 북한 중요 문예지에 실린 문학, 영화, 연극, 음악, 미술의 이론 및 비평 텍스트(론설, 정론, 강좌, 해설 등)에 대해 각 분야 전문가들이 연도별 경향 분석을 풀었고 더불어 분야별 목록을 담았다.그래서 1990년대 북한 문학예술의 이론 및 비평 목록을 제공하는 자료집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자료목록 작성에 참여한 각 분야 전문 연구자의 해제를 두어 단순한 자료집 이상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 내용의 토대가 된 것은 북한에서 문예 작품뿐만 아니라 이론, 비평 텍스트를 일원적으로 제공하는 채널-잡지이다. 『조선문학』, 『조선영화』, 『조선예술』을.. 2020.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