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거시언어학

담화와 사회 변화(거시언어학 9: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by 양정섭 2021. 2. 22.

사회 변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의 ‘담화’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는 개인들은, 언어 사용에서의 변동이 더 넓은 사회-문화적 변화 과정들과 연결되어 있는 방식들을 깨닫게 되었고, 따라서 사회 변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언어 분석을 이용하는 일의 중요성을 파악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의 주요 목표는 이런 간격을 채워 주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는 언어 분석에 대한 접근법을 마련하려는 것에 있다.

 

제1장은 언어학 쪽으로 쏠린 담화 분석 접근법들에 대한 요약이다. 즉, 여기서는 텍스트와 텍스트 분석에 초점이 있다. 저자는 이들 접근이 담화로 매개되는 중요한 사회적 측면들을 충분히 부각시키지 못했음을 논의하고, 이를 위해 반드시 사회학 이론을 끌어들어야 함을 논의하게 될 것이다. 제2장에서는 담화를 중심으로 한 그런 사회학 접근방법들을 미셸 푸코의 업적으로 개관하였는데, 텍스트 및 언어 분석에 좀 더 깊이 관심을 쏟는 일이 사회 조사 연구의 방법으로서 담화 분석의 가치를 높여 줄 것임을 논의하게 된다. 제3장에서는 사회학 및 언어학 쪽으로 합쳐진 담화의 통합적 관점에 대한 저자의 다중 차원 접근을 제시하는데, ‘담화의 사회적 이론’으로 부르는 바를 향하여 나가는 것이다.

제4장에서는 서로 얽힌 텍스트 속성이란 개념을 ‘선언문’의 서로 얽힌 텍스트 속성 및 ‘서로 얽힌 담화 속성’ 사이에 있는 구분에 비춰 보면서 받아들인다.

제5장과 제6장에서는 텍스트 분석에 강조점이 놓여 있다. 이 두 장에서는 낱말·문법·결속성·덩잇글 구조·힘·일관된 덩잇글 연결 속성의 여러 측면을 언급하였다. 또 여러 기능 복합체로서 담화 분석에 대한 견해도 발전시킨다. 제5장에서는 주로 사회적 정체성 및 사회관계를 구성해 놓는 담화의 기능에 관심을 기울였지만, 제6장에서는 담화로 이뤄진 지식 및 믿음 체계들을 구성해 놓기·재생산하기·변화시키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7장에서는 담화/담론의 사회적 실천 차원에 강조점을 둔다. 특히 오늘날의 담론 질서들에 영향을 주고 있는 어떤 광범위한 변화의 경향들과 그것들의 사회 및 문화 변화에 대한 관련성이다.

이 책의 목적들 중 한 가지는 독자들에게 담화 분석이 실행해야 할 흥미로운 종류의 분석임을 느끼게 하고, 독자들에게 담화 분석을 실행하기 위한 자원들을 제공해 주려는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인 제8장에서는 담화 분석을 실행하기 위하여 일련의 안내 지침 모습으로 제3장으로부터 제7장까지 소개된 자료들을 함께 끌어들인다.

 

 

함께하면 더욱 응용력을 키울 수 있는 책들

 

이 책은 페어클럽(1989; 김지홍 뒤침, 2011)의 ≪언어와 권력≫(도서출판 경진)을 전제로 하여 씌어졌고, 다시 페어클럽(1995; 이원표 뒤침, 2004)의 ≪대중매체 담화 분석≫(한국문화사)와 슐리아롸키·페어클럽(1999)의 ≪후기 근대성 속에서의 담화(Discourse in Late Modernity)≫(Edinburgh University Press, 미번역)으로 이어지며, 다시 페어클럽(2003; 김지홍 뒤침, 2012)의 ≪담화 분석 방법: 사회 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도서출판 경진)으로 종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미 번역된 책들과 겹쳐 읽으면 더욱 응용력을 키울 수 있다.

 

담화와 사회 변화(노먼 페어클럽 지음, 김지홍 뒤침, 경진출판 발행)

 

[ 목차 ]

 

저자 서문

저작권 사항의 알림

일러두기

 

개관

 

제1장 담화 분석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법

 

제2장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와 담화 분석

 

제3장 사회현상 속에서 담화를 바라보는 이론

 

제4장 서로 얽힌 텍스트 속성

 

제5장 텍스트 분석: 사회관계 구성 및 ‘자아’

 

제6장 덩잇글 분석: 사회적 실제 현실을 구성하기

 

제7장 현대 사회에서의 담화 및 사회 변동

 

제8장 담화 분석을 실행하기

 

뒤친이 해제 및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 및 뒤친이 소개

 

 

[ 지은이 ] 노먼 페어클럽

 

=런던대학(학사와 석사)을 졸업하고, 랭커스터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랭커스터 대학 언어학과에서 가르치다가 2004년 퇴직하였고, 현재 그곳의 명예교수이다.

=1980년대에 언어 교육이 곧 ‘언어 사용에 대한 자각’임을 깨닫고, 비판적 언어 분석으로부터 시작하여, 비판적 담화 분석의 흐름을 이끌어오고 있다. 

 

=1992년 ≪비판적 언어 자각≫(롱먼출판사)

=1995년 ≪대중매체 담화 분석≫(이원표 뒤침, 2004, 한국문화사)

=1999년 ≪후기 근대성 속에서의 담화≫(슐리아롸키와 공저, 에딘부뤄 대학 출판부)

=2001년 ≪언어와 권력≫(김지홍 뒤침, 2011, 도서출판 경진) 

=2003년 ≪담화 분석 방법≫(김지홍 뒤침, 2012, 도서출판 경진)

=2006년 ≪언어 및 세계화≫(롸우틀리쥐)

=2011년 ≪비판적 담화 분석≫(개정판, 롱먼출판사)

=2012년 ≪정치 담화 분석≫(김현강 외 뒤침, 2015, 박이정)

 

 

[뒤친이] 김지홍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학사)를 졸업하고, 현재 경상대학교 국어교육과에서 30년 재직하고 있다. 도서출판 경진에서 아래에 있는 저서 4권을 펴냈다.

 

=2010년 ≪국어 통사·의미론의 몇 측면: 논항구조 접근≫(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10년 ≪언어의 심층과 언어교육≫(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2014년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15년 ≪언어 산출 과정에 대한 학제적 접근≫(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또한 한국연구재단 동서양학술 명저 번역으로 아래의 책을 펴냈다.

 

=2008년 『말하기: 그 의도에서 조음까지, I~II』(르펠트, 1989; 나남)

=2011년 『이해: 인지 패러다임, I~II』(킨취, 1998; 김지홍·문선모 공역, 나남)

 

 

[도서명] 담화와 사회 변화

[시리즈] 거시언어학 9: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지은이] 노먼 페어클럽

[옮긴이] 김지홍

신국판(152×224) 양장 / 536쪽 / 값 33,000원

발행일 2017년 12월 30일

ISBN 978-89-5996-562-5  93370

[분야] 사회과학> 교육학> 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