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담화 분석의 관점에서 담화 분석의 흐름과 내용을 정리하다
비판적 담화 분석의 관점에서 담화 분석의 흐름을 정리하고 비판적 담화 분석의 핵심적인 내용을 짚어내었다는 점에서 이전의 다른 연구들과 구별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를 국어교육에서 응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이해 교육 중심의 비판적 담화 분석이 아니라 표현 교육의 적용에도 관심을 기울인 논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장은 용어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담화와 관련된 한자어 표기 문제와 국어학에서 널리 언급되고 있는 담화와 텍스트란 용어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문제는 사소하다고 할 수 있지만 담화를 바라보는 관점과 이름을 붙이고 부르는 일이 어느 정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2장은 이미 알려져 있는 담화의 속성에 더하여 비판적 담화 분석의 관점에 따라 담화의 의미를 보태었다(1절). 그리고 2절에서는 이 책에서 주로 비판적 담화 분석을 다루고 있지만, 담화에 다른 연구 분야와 비판적 담화 분석의 차이점을 도드라지게 하기 위해 담화 연구의 외연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담화 연구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담화 연구의 뿌리가 우리나라 안에 있지 않고 밖에 있기 때문에 나라 밖에서 이뤄진 담화 연구의 역사를 중심으로 살피고(1절), 2절에서는 그 범위를 더 좁혀서 비판적 담화 분석과 관련성이 높은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양적인 방법으로 나라 안에서 담화 연구가 어떤 모습으로 이뤄지고 있는지 훑어보고, 나라 안에서 비판적 담화 연구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4장에서는 비판적 담화 분석을 자리매김하기 위한 논의를 하였다. 1절에서는 주로 비판적 담화 분석에서 해석이나 설명에서 중시하는 맥락을 담화와 관련하여 제시하였다. 말하자면 비판적 담화 분석이 존재하는 자리를 맥락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2절에서는 비판적 담화 분석의 등장 배경을 언급하면서 다른 접근 방법과의 차이를 주로 논의하였다. 3절에서는 페어클럽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방법에서 자잘한 차이들이 있지만 대부분 일치하는 비판적 담화 분석에서 위도슨과 같은 학자들이 제안한 방법을 언급하였다. 5장에서는 비판적 담화 분석에서 어느 정도 무게감이 있는 개념들을 담화와 관련하여 다루었다. 담화와 사회, 이념이 어떤 관계를 이루며,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1절과 2절). 3절에서는 담화를 하나의 행위로 볼 때 비판적 담화 분석에서 전제로 하고 있는 담론 질서와 관련하여 언급하였다. 담화와 지식의 문제를 다룬 논의는 많지 않지만, 담화가 지식의 생산과 재생산에 관련된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4절). 5절에서는 자본주의 사회와 그런 사회·시대에서 우리나라의 사회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고, 사회변화 속에서 담화의 역할을 다루어보고자 하였다. 담화와 권력, 갈등의 문제를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살피면서 5장을 마무리하였다.
6장은 장의 제목 그대로 비판적 담화 분석의 방법을 다루었다. 대상과 목표, 분석의 층위를 차례대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3절과 4절에서는 방법 및 요소들을 살피고 있다. 비판적 담화 분석에서 방법 및 분석의 요소들은 열려 있다. 그리고 모든 방법을 끌어와서 모든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 비판적 담화 분석의 목표도 아닐 것이다. 그런 점을 염두에 두고 우리나라 독자들이 쉽게 접근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7장은 국어교육에서 비판적 담화 분석을 적용하려는 논의들을 소개하고 필자 나름대로 의견을 덧붙였다. 비판적 담화 분석을 국어교육에 적용한 논의들이 그리 많지 않다. 그렇지만 우리 땅에서 태어나지 않은 이론들이 얼마나 국어교육에 적용되었는가를 생각해 보면 그 품질이나 양에서 밑도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비판적 담화 분석이 필요한 이유에 대한 논의로부터 실제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비판적 담화 분석 방안이 완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듯이 이를 국어교육에 적용하는 방안도 여전히 열려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가다듬어지고 넓혀지리라 생각한다.
목차
제1장 용어의 문제
1. 담화(談話 혹은 譚話)
2. 담화인가, 텍스트인가?
제2장 담화의 속성
1. 담화의 의미
2. 담화 연구의 여러 분야
제3장 담화 분석 연구의 흐름
1. 담화 분석 연구의 개략적인 흐름
2. 비판적 담화 분석의 등장과 그 배경으로서 담화 분석 연구
3. 나라 안의 담화 분석 연구 흐름
제4장 비판적 담화 분석이란?
1. 넓게 보기
2. 깊게 보기
3. 비판적 담화 분석에 대한 서로 다른 접근법
제5장 비판적 담화 분석에 관련된 여러 문제들
1. 담화와 사회
2. 담화와 이념
3. 담화와 일반 행위
4. 담화와 지식
4.1. 담화에서 지식의 성격과 역할
4.2. 상식과 이념으로서 지식
4.3. 지식으로서 낱말의 의미와 사용
4.4. 지식과 권력
5. 담화와 사회 구조, 사회 이론
5.1.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와 권력
5.2. 우리나라 현실과 사회 구조의 변화
6. 담화와 권력
7. 담화와 갈등
제6장 비판적 담화 분석의 방법
1. 비판적 담화 분석의 대상
2. 비판적 담화 분석 목표
3. 담화의 층위와 담화 분석의 층위
4. 비판적 담화 분석의 방법
5. 비판적 담화 분석의 요소들
5.1. 문법요소
5.2. 내용의 선택
5.3. 이미지 선택
6. 핼리데이의 체계 기능 언어학의 분석 방법
6.1. 이행성을 중심으로 한 체계 기능 언어학의 개요
6.2. 핼리데이의 체계 기능 언어학을 이용한비판적 담화 분석의 연구 사례
제7장 비판적 담화 분석과 국어교육
1. 왜 비판적 담화 분석이 국어교육에 필요한가?
2. 담화에 대한 연구와 국어교육
2.1. 담화 혹은 언어에 대한 연구
2.2. 담화 교육과 비판적 담화 교육
2.3. 국어과 교육과정과 비판적 담화 교육
3. 비판적 담화 교육의 실제 활동
3.1. 덩잇말 수준의 비판적 담화 분석 교육의 내용
3.2. 담화에서 이념 읽어내기
3.3. 엮어 읽기를 통한 사회제도, 이념, 권력의 문제 파악하기
3.4. 비판적 담화(분석)의 실천으로서 쓰기 교육
[ 부록 A ]
<부록 1> 학생과 교사의 담화
<부록 2> 개정 한・미 FAT 협상에 대한 신문사설
<부록 3> 박지원의 <양반전>의 일부
<부록 4>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의 일부
<부록 5> 문재인 대통령 특별사절단 관련기삿글 제목, 표제와 부제
<부록 6> 강원도 산불 관련 사설
<부록 7> 학교 석면 해체・제거 왜 엉망인가 했더니…공사업체 절반이 ‘함량미달’
<부록 8> 이미지 선택의 사례
<부록 9> 토의 및 면접
<부록 10> 의사 환자 사이의 의료 담화
<부록 11> 말뭉치 담화 자료
<부록 12> 2015 국어과교육과정의 선택과목에서비판적 담화 활동과 관련이 있는 성취 기준
<부록 13> 최저임금에 대한 입장의 차이
<부록 14> 마틴 루터 킹 목사 연설문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의 일부
<부록 15> H신문 기사
<부록 16> 초등학교 교과서 검정 제도에 관련된 사설
[ 부록 B ] Positioning of Discourse in Korean Education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 허선익
경남 합천에서 태어나 경상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그곳에서 국어교육학을 전공하였다(교육학박사). 30여 년 동안 중등 국어교육에 몸담아 오면서 웅양중학교, 거창여자고등학교, 명신고등학교, 경남과학고등학교를 거쳐 지금은 창원과학고등학교 교사로 있다.
그동안 국어교육을 위한 20여 편에 이르는 국어교육 현장 실천 논문들을 발표하였다. 또한 저서로 ≪국어교육을 위한 말하기의 기본개념≫(2013)이 있으며, 역서로 ≪쓰기 이론과 실천사례≫(2008, Grabe and Kaplan 지음), ≪듣기교육과 현장조사연구≫(2014, Rost 지음), ≪읽기교육과 현장조사연구≫(2014, Grabe and Stoller 지음) 등이 있다.
도서정보
[도서명] 비판적 담화 분석과 국어교육
[지은이] 허선익
신국판(152×224) / 320쪽 / 값 17,000원
발행일 2019년 07월 20일
ISBN 978-89-5996-278-5 93370
분야: 사회과학/교육학(국어교육)
2020년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인문사회 > 거시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 학문에서의 언어 산출 접근(거시언어학 7) (0) | 2022.03.08 |
---|---|
비판적 담화 연구의 방법들(Methods of Critical Discourse Studies)_거시언어학12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0) | 2021.06.07 |
담화와 사회 변화(거시언어학 9: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0) | 2021.02.22 |
담화와 지식: 사회 인지적인 접근(Discourse and Knowledge: A Sociocognitive Approach) (0) | 2021.02.16 |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 담화 분석에서 몇 가지 핵심 논제(거시언어학 10)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