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를 수행하는 원리와 방법에 대한 안내서
이 책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쓰기 평가를 수행한 경험이 풍부한 교수진이 이론적, 실제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집필한 설명서이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한국어 교육 현장의 교사나 예비 평가 전문가가 간과하기 쉬운 쓰기 숙달도 평가 관련 기본 원리나 주요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수험자의 실제 답안을 토대로 내용과 구조, 표현 영역에 걸친 학습자 오류나 문제점을 발췌하였고 특정 답안에 특정 점수를 부여하는 과정에 대하여 전문가의 상세한 설명을 실었다. 셋째,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를 준비하는 한국어 교원이 수험자의 쓰기 답안을 보고 직접 평가를 해 볼 수 있도록 연습 문제를 실어서 실제적 평가 능력을 점검하도록 하였으며 예시 문항과 원고지 양식까지 실어서 독자 스스로 현장에서 답안을 얻어 추후 지속적으로 평가 역량을 강화할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 책은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를 실제로 수행하는 원리와 방법에 대한 안내서이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한국어 교원 및 예비 한국어 교원을 위해 쓰기 숙달도 평가에 필요한 기초 개념과 평가 원리, 구체적인 채점 방법에 관하여 사례를 들어 쉽게 설명하였다.
이 책은 총 다섯 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크게 보아 쓰기 숙달도 평가를 위한 이론과 실제라는 두 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1장과 2장에서는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이론적 설명을 제시하였고, 3장부터 5장까지는 이러한 이론적 바탕 위에 실제로 초급에서 고급에 이르는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각 장에서 다루고 있는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1장에서는 쓰기 능력 평가의 요건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쓰기 능력 평가의 필요성 및 쓰기 능력 평가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측정과 평가의 차이를 설명하며 타당도의 종류에 대해 고찰한다. 다음으로 2장에서는 쓰기 능력 평가의 준거 관련 주요 개념을 살펴본다. 쓰기 기능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쓰기 평가의 종류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채점 기준표의 구성 요소에 대해 점검한다. 또한 쓰기 능력 평가의 준거를 내국인 대학생의 쓰기 능력과 유학생의 쓰기 능력 평가 국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쓰기 능력 평가의 등급 체계에 대해 국내외의 주요 쓰기 숙달도 평가 도구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3장에서는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 기준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 초‧중‧고급 수준의 등급별 숙달도 평가 목표와 쓰기 숙달도 평가 기준의 세부 구성 요인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 기준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를 위한 문항 구성표와 그에 준한 실제 문항 사례 및 등급별 채점 기준을 소개한다. 각 내용은 6개 등급의 한국어 능력 숙달도별로 초급에서 고급까지로 구성된다. 아울러 쓰기 숙달도 평가를 실제로 수행하는 방법을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IBT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 개발의 원리에 대해 학습자 친화형 평가의 실현, 한국어 숙달도 등급 지표의 다각적 검증 및 자기주도학습 아카이브와의 결합의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를 준비하는 한국어 교원이 학습자의 쓰기 답안을 보고 쓰기 평가를 수행할 때 어려움이 예상되는 부분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다. 둘째, 현장의 교사들이나 예비 평가 전문가들이 간과하기 쉬운 쓰기 평가 관련 기본 원리나 주요 개념을 체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쓰기 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의 실제 답안을 통해 이들의 오류나 문제점을 설명과 함께 확인해 볼 수 있다.
[ 출판사 서평 ]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가 듣기, 읽기 등 이해 영역의 평가에 비해 채점 과정이 어려운 이유는 수험자의 쓰기 숙달도를 전문적으로 채점할 인력이 적고, 새로 전문 채점 인력을 양성할 훈련이나 관리 방법이 뚜렷하지 않은 데 있다. 이 책은 그러한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기획되었다.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에 필요한 기초 개념과 평가 원리, 구체적인 채점 방법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기 때문에 대규모 고부담 쓰기 평가에 참여하려는 교원들이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 방법을 쉽게 익힐 수 있다. 이 책에는 1959년 세계 최초의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이래 150여 개국의 외국인 및 재외동포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며 관련 연구 및 평가 관련 경험을 축적해 온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집필진의 현장 기반 평가 지식이 집적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 통용되고 있는 쓰기 능력 평가의 세부 요건과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의 구성 요인, 채점 체계, 평가 기준 등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를 위해 채점자가 숙지해야 할 내용이 전반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다.
[ 차례 ]
머리말
1장 쓰기 능력 평가의 요건
1. 쓰기 능력 평가의 필요성
2. 쓰기 능력 평가 연구의 필요성
3. 측정과 평가의 차이
4. 타당도의 종류
2장 쓰기 능력 평가의 준거
1. 쓰기 기능의 유형
2. 쓰기 평가의 종류
3. 채점 기준표의 구성 요소
4. 쓰기 능력 평가 준거
5. 쓰기 능력 평가 등급
6. 한국어 쓰기 평가론
3장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 기준
1. 한국어 평가 등급별 숙달도 목표
2. 등급별 쓰기 숙달도의 상중하 수준 예시
4장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의 실제
1. 쓰기 숙달도 평가 문항 구성표
2. 쓰기 숙달도 평가 문항 예시
3. 쓰기 숙달도 등급별 채점 기준 예시
4. 쓰기 답안 평가 사례 예시
5장 IBT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 개발의 원리
1. 학습자 친화형 평가의 실현
2. 한국어 숙달도 등급 지표의 다각적 검증
3. 자기주도학습 아카이브와의 결합
참고문헌
[ 부록 ]
부록 1. 쓰기 샘플 답안 채점지
부록 2. 쓰기 샘플 1A~6B 답안 채점지
부록 3. 쓰기 시험용 600자 원고지
부록 4.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과정의 등급별 주제 분류
부록 5.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 교재의 1급~6급별 주제와 문화
부록 6. 각종 외국어 시험 유형 및 기능 분류
부록 7. 각종 외국어 시험 안내 사이트 목록
부록 8. 채점 편차를 줄이기 위한 동료 평가 문항 예시
부록 9. 연세온라인한국어평가 문항 삽화 등장인물
지은이 소개
[ 지은이 ]
김성숙(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교수)
정여훈(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교수)
조인옥(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교수)
한상미(전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교수)
[도서명] 한국어 쓰기 평가론
[부제명] 한국어 교원을 위한 쓰기 숙달도 평가 안내서
[지은이] 김성숙 정여훈 조인옥 한상미
[펴낸곳] 경진출판
변형크라운판(170×240) / 240쪽 / 값 20,000원
발행일 2025년 01월 10일
ISBN 979-11-93985-44-1 93710
분야: 인문>한국어, 사회과학>교육학, 대학교재
#한국어 #쓰기 #평가 #쓰기능력평가 #한국어쓰기숙달도평가 #평가기준 #외국어 #자기주도학습 #아카이브 #채점기준표 #대학생 #유학생
'교재 > 언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말하기 평가론: 한국어 교원을 위한 말하기 숙달도 평가 안내서 (0) | 2024.02.29 |
---|---|
일본어 음성학 연구(日本語教育をめざす人のための基礎から学ぶ音声学/ 가시마 다노무 지음/ 양나임 옮김) (0) | 2022.02.23 |
국어형태론 (0) | 2021.03.16 |
벼리 한국어 읽기 초급 2 (0) | 2020.10.19 |
벼리 한국어 읽기 초급 1 (0) | 2020.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