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중국 한자음을 토대로 훈몽자회 한자음 연구
조선시대 1527(중종 22)년 최세진(崔世珍)에 의해 쓰여진 ≪훈몽자회≫는 한자 학습서로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3,360자의 한자를 분류하여 네 자씩 묶어 33항목으로 갈라 한글로 음과 뜻을 달았다. 즉 한글 자모의 이름과 읽는 방법을 기록해 놓은 책이다. ≪훈몽자회≫는 중세국어의 어휘를 알 수 있어 중세국어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특히 훈민정음으로 쓰인 한자어 훈과 음이 달려 있어 중세국어 어휘를 다수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대 한글 자모 명칭의 기원이 된 책으로 평가된다.
이 책은 ≪훈몽자회≫의 한자음을 그 당시의 중국어 한자음과 대비하여 연구한 책이다.
과거 ≪훈몽자회≫에 쓰인 한자음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를 통해 그 당시 한국의 한자음을 연구한다. 대부분 ‘훈몽자회의 한자음 연구’는 바로 이러한 방법이었다.
둘째, 그 당시 한국의 한자음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중국의 그 당시의 한자음을 연구하지만, 중국어 음운사 연구자들 중에서 한국어 한자음을 검토할 만한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도 거의 없다.
셋째 중국 한자음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훈몽자회≫의 한국 한자음을 바라보는 방식이다. 현대의 중국 한자음은 잘 알고 있지만, 16세기 당시의 중국 한자음에 대한 정보에 정통하지 못하다.
이 책은 이러한 시각을 염두에 두고 기존의 중국 한자음 지식을 토대로 하여 16세기 초기 ≪훈몽자회≫에 쓰인 한국 한자음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사실을 도출해냈다.
①훈민정음의 모음 자모에 있는 ‘·(아래아)’가 한국어 음운이 아니다.
②중국 한나라 때에 나온 양웅의 ‘방언’에 한국어 흔적이 있다.
③훈몽자회에는 최세진에 의해 수록된 근대 중국어 한자음이 적지 않다.
④훈몽자회에서 한국어 t 구개음화 흔적이 발견된다.
⑤훈몽자회에서 중국어 정모(精母) 계열의 구개음화 흔적이 발견된다.
⑥훈몽자회에서 순음 성모 뒤의 개음 [i], [u]가 소실된다.
⑦훈몽자회에서 아후음 성모 뒤의 개음 [i]가 소실된다.
⑧훈몽자회에서 3등 운모의 변화와 4등 운모의 변화가 다르다.
⑨이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와 다른 16세기 한국어 단모음 체계를 제시하였다.
⑩처음으로 훈몽자회의 성모, 운모의 내원을 분석하였다.
이 책에서는 한국의 한자가 어떻게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고조선시대와 고려시대 그리고 조선시대의 한자음까지, 그리고 지금까지 언급하지 못한 한자음의 역사도 새롭게 제시되어 있다.
이번에 발행된 이 책을 통해 한국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참고로 이 책은 중국 연변대학교 최희수 교수의 연구서로 중국어와 한국어를 바탕으로 쓰여졌으므로, 한국어에 익숙한 독자들에게는 낯섦이 존재할 수밖에 없음을 알립니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 쓰인 문장과 단어가 다소 어눌함이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훈몽자회를 통한 한자음 연구에 큰 의미가 있어 책으로 발행되는 것인 만큼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차례 ]
추천사_홍윤표(전 연세대학교 교수)
머리말
제1장 서론
1. 한자의 기원
2. 한자의 형태
3. 한자의 어음
4. 한자의 의미
5. 한자의 수량
6. 한자의 우점과 결점 및 전도
7. ≪훈몽자회(訓蒙字會)≫ 한자음 연구
제2장 ≪훈몽자회≫ 성모의 내원
1. 순음
2. 설두음
3. 설상음
4. 치두음
5. 정치음
6. 아음
7. 후음
8. 반설음
9. 반치음
제3장 ≪훈몽자회≫ 운모의 내원
1. 果攝
2. 假攝
3. 遇攝
4. 蟹攝
5. 止攝
6. 效攝
7. 流攝
8. 咸攝
9. 深攝
10. 山攝
11. 臻攝
12. 宕攝
13. 江攝
14. 曾攝
15. 梗攝
16. 通攝
제4장 ≪훈몽자회≫ 한자음 내원 분석에서 제기되는 문제
1. ≪훈몽자회≫ 한자음의 특성
2. ≪훈몽자회≫ 성모의 내원
3. ≪훈몽자회≫ 한자음 성모 체계
4. ≪훈몽자회≫ 운모의 내원
5. ≪광운≫ 운모와 ≪훈몽자회≫ 운모의 대응 여부에 따른 분류
6. 순음 성모 뒤 개음의 탈락
7. 아후음 성모 뒤 개음 [i]의 탈락
8. ≪훈몽자회≫ 운모가 지칭하는 ≪광운≫ 운모
9. ≪훈민정음≫의 자모 ‘·(아래아)’가 한국어 어음이 아니다
10. 조계 계열 성모 뒤의 ᅠ개음 [i]의 탈락 여부에 따른 한자 발음의 차이
11. ≪훈몽자회≫ 한자음 운모 체계
12. 16세기 한국어 모음 체계
제5장 결론
1. 한자음 연구의 필요성
2. 한자와의 접촉과 한자음의 형성
3. 한사군(漢四郡) 시기의 한자음
4. 삼국 시기와 고려 시기의 한자음
5. 이조 시기의 한자음
6. 당대의 한자음
참고문헌
[ 지은이 최희수 ]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석사과정을 수료한 후, 동 대학교 조선어학과에서 정년퇴임했다. 중국 국가철학사회과학 기금항목 평심위원, 중국 조선어학회 비서장, 중국 조선어교육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저술로 ≪조선한자음 연구≫, ≪한국어 기초 문법≫, ≪중국 조선족 언어연구≫, ≪한어 음운학 통론≫, ≪한국어 실용문법≫, ≪한국어 어음훈련 교정≫ 및 각종 한국어 교과서와 논문 <조선민족 전설에서의 누르하치> 등 수십 편이 있다.
[도서명] ≪훈몽자회≫ 한자음 연구
[시리즈] 학술22
[지은이] 최희수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360쪽 / 값 23,000원
발행일 2024년 10월 30일
ISBN 979-11-93985-35-9 93710
분야: 인문 > 국어학(전문, 학술)
#훈몽자회 #중국어 #한국어 #한자 #한자음 #아래아 #중국 #한국 #최세진 #중세국어
#좋아요 #댓글 #공유 부탁드립니다.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 독본류의 분포와 우리말 교과서 연구__허재영 지음 (3) | 2024.12.31 |
---|---|
생성 AI시대의 고전문학__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기획 (6) | 2024.11.12 |
한국의 우도와 우도론: 고전문학을 중심으로(학술총서20) (1) | 2024.07.08 |
중국 시인의 선시(禪詩)_최일의 지음 (1) | 2024.06.04 |
표점 번역 삼국사기__김부식 지음_정인갑 표점 번역 (1) | 2024.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