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교육의 역사와 교과서 변천사 규명
이 책은 근대식 학제 도입 이후 등장한 ‘독본(讀本)’이라는 명칭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우리말 교육의 역사와 교과서 변천사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둔 책이다. 연구자는 오래전부터 ‘독본’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해 왔다. 흥미로운 것은 우리나라에서 ‘독본’이라는 명칭이 교과서에 사용된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엄밀히 말하면 1895년 소학교령 공포와 더불어 학부에서 편찬한 ≪국민소학독본≫은 갑오개혁이라는 시대 상황 속에서 일본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교과서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당시의 교과서 제도가 일본과 밀접한 관련을 맺을지라도, 한국 교육의 역사가 전통과 완전히 단절된 것인가는 별개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연구자가 수행한 2021년 한국연구재단 지원의 ‘중견 연구자 지원 사업’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독본 개념의 형성과 근대 이후의 독본 유형, 근대식 학제 도입 이전의 학교와 교과서 등을 통해, 전통적인 우리말 교육과 근대 이후의 독본 문화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했다. 이와 같은 시도는 학제 도입기 교과서 변화, 광학회 서목에 대한 선행 연구, 헐버트 시리즈 교과서 등과 관련한 연구자의 선행 연구를 종합한 성격을 띤다. 이를 고려하여 이 책에서는 연구자가 그동안 발표해 왔던 다수의 논문을 수정하고 다시 편집했다. 이 책의 제1부 제2장, 제2부 제1장, 제3~5장의 논문, 제3부 제1장부터 제4장까지의 논문은 중견 연구 이전 또는 중견 연구 수행 과정에서 발표한 것들이다. 제3부 제5장의 일제강점기 교과서 비판 담론과 제4부 제1~2장의 언어침탈과 대응 방식 등은 교과서 연구 방법뿐만 아니라 사회언어학적 이론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분명한 것은 근대의 독본 탄생 이후,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은 광복 이후의 국어문제와 교과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4부 제3장은 광복 이후의 국어문제와 교과서를 다루고자 한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룬 내용은 광복 이후 오늘날의 우리말 교육과 교과서의 역사를 체계화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특히 광복 이후 사회교육 차원의 독본이나 교본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 각 교육과정기 국어과에 해당하는 교과서에 대한 실증적 분석 등은 연구자가 지속해 나가야 할 연구 분야이다. 이처럼 다수의 문제를 남겨둔 상태에서 한 권의 책을 발행하는 일은 용기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차례 ]
머리말
제1부 근현대 독본과 우리말 교과서 연구 방법
제1장 연구 목적과 방법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근현대 독본과 교과서 연구 방법
3. 선행 연구
제2장 독본 개념의 형성과 근대 이후 독본의 유형
1. 서론
2. 독본의 탄생과 개념사
3. 근대 이후 독본의 두 가지 유형
4. 결론
제2부 근대의 교과서와 독본
제1장 근대식 학제 도입 이전(1880~1894)의 학교와 교과서
1. 서론
2. 근대 교육 형성기의 학교와 교육 내용
3. 근대 교육 형성기의 지식 유통과 교과서 문제
4. 결론
제2장 학제 도입기의 교과서 변화
1. 근대식 학제와 교과
2. 근대의 교과서의 변천
3. 근대의 교과서 목록
제3장 광학회 서목과 (언역본) ≪태서신사남요≫
1. 서론
2. 광학회 서목과 근대 지식의 수용 양상
3. ≪태서신사≫의 근대 지식 수용과 의미
4. 결론
제4장 조 헤버 존스(조원시)의 ≪국문독본≫의 기능과 내용: 텍스트의 출처
1. 들어가기
2. ≪국문독본≫ 의 저술 동기
3. ≪국문독본≫의 내용
4. ≪국문독본≫ 텍스트의 출처와 교과서 지식 유통의 특징
5. 나오기
제5장 근대 지식 수용 과정에서 헐버트 시리즈 교과서의 의의
1. 서론
2. 헐버트 시리즈의 실체와 탄생 배경
3. 헐버트 시리즈의 특징과 근대성
4. 결론
제3부 일제강점기 조선어 교과서와 독본
제1장 조선어 교과서와 식민 침탈 계획
1. 서론
2.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의 내용과 성격
3. 강제 병합과 조선어과 교과서
4. 결론
제2장 청년운동과 청년 독본
1. 서론
2. 일제강점기 청년사상과 청년 운동
3. 청년독본류의 특징
4. 청년독본류의 의의와 한계
제3장 농민독본류의 발행 실태와 내용
1. 서론
2. 노농운동과 농민독본
3. 식민지 노농 정책을 반영한 농민독본류
제4장 조선총독부 사회교육정책과 조선문 자료
1. 서론
2. 조선총독부의 사회교육정책
3. 사회교육 차원의 독본류 교재와 언어 문제
4. 결론
제5장 일제강점기 교과서 비판 담론과 전개 양상
1. 서론
2.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비판 담론의 성격
3. 교과서와 조선어독본 비판 담론의 내용과 그 의미
4. 결론
제4부 일제강점기 언어침탈과 광복 이후의 우리말 교과서
제1장 일제강점기 언어침탈과 우리말 순화운동
1. 시작하기
2. 일제강점기 언어정책과 언어침탈의 메커니즘
3. 언어침탈의 대응 방식으로서 한국어 정화운동이 갖는 사회언어학적 의미
4. 마무리
제2장 언어침탈에 대한 대응 방식으로서 최현배의 한국어 연구
1. 시작하기
2. 식민주의 언어침탈과 조선어 연구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3. 언어 침탈에 대한 외솔 최현배의 대응 방식
4. 남은 문제
제3장 광복 이후의 국어문제와 우리말 교과서
1. 서론
2. 미군정기와 정부 수립기 교육정책과 교과서
3. 미군정기로부터 정부 수립기까지의 우리말 교과서
4. 결론
참고문헌
[ 주해자 허재영 ]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교수
국어 문법사를 전공하고, 국어 교육사 및 한국어 교육사, 근현대 한중일 지식 교류사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왔다.
≪우리말 연구와 문법교육의 역사≫(2008, 보고사),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2009, 경진출판), ≪통감시대 어문교육과 교과서 침탈의 역사≫(2010, 경진출판), ≪일제강점기 어문정책과 어문생활≫(2011, 경진출판), ≪한국 근대의 학문론과 어문교육≫(2013, 지식과교양) 등의 저서가 있으며, 한국학 중앙연구원 근대 총서 개발 책임자로 ≪한국 근현대 지식 유통 과정과 학문 형성・발전≫(2019, 경진출판) 외 7종의 총서 개발,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 지원 사업 단장으로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2019, 경진출판) 외 10종의 총서 개발을 진행하였다.
우리말 교과서와 독본 연구, 지식 교류 차원에서 다수의 자료를 발굴하고 주해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주해 유몽천자≫(2018, 경진출판) 등의 주해 및 번역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2022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장을 역임하였고, 2023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한국사회언어학회 회장을 맡았다. 국립국어원의 ‘중앙 행정기관의 전문용어 개선 지원 및 순화어 정비 연구’ 등 용역 사업을 맡아 진행하였으며, 한국의 언어정책과 사회언어학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도서명] 근현대 독본류의 분포와 우리말 교과서 연구
[지은이] 허재영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496쪽 / 값 30,000원
발행일 2024년 12월 25일
ISBN 979-11-93985-42-7 93370
분야: 사회과학 > 교육학(전문, 학술)
#독본 #우리말 #교과서 #국어과 #교육과정기 #학제도입기 #광학회 #태서신사남요 #국문독본 #헐버트 #청년독본 #농민독본 #조선총독부 #언어침탈 #미군정기 #정부수립기
#좋아요 #댓글 #공유 부탁드립니다.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강점기 제1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총독부 발행,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 주해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허재영 주해, 경진출판 발행) (0) | 2025.01.08 |
---|---|
생성 AI시대의 고전문학__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기획 (6) | 2024.11.12 |
훈몽자회 한자음 연구(학술총서22, 최희수 지음) (0) | 2024.10.23 |
한국의 우도와 우도론: 고전문학을 중심으로(학술총서20) (1) | 2024.07.08 |
중국 시인의 선시(禪詩)_최일의 지음 (1)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