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동아시아

한국어 조사의 분포와 통합체계

by 양정섭 2020. 10. 5.

조사의 전반적인 체계 확립을 통해 문제 해결을 돕다


한국어 조사의 이론적 자리매김과 통사적 지위 상정에 대한 해답


한국어 조사의 분포와 통합 체계를 다룬 이 책은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용하 교수의 두 번째 저서이다. 김 교수는 이 책에서 생성문법의 최근 이론 추구 모형인 최소주의 프로그램을 한국어에 적용하여 한국어의 조사를 이론적으로 어떻게 자리매김하게 하고 그 통사적 지위를 상정할 것인지를 논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한국어의 조사들을 완전히 해체하고 개별적인 특성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생성문법의 이론으로 조사들을 다루는 방법을 보여주려 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은 조사와 관련하여 이론적인 후속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사와 관련한 이론적인 후속 담론 형성


이 책의 1장은 저술의 목적을 기술하고 있다. 2장은 이 책 전체를 아우르는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 있으며 3장은 조사를 후치사, 양화첨사, 한정사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4장에서는 조사가 통사적 핵이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 5장은 조사를 핵으로 하는 조사구의 내적 질서를 다루고 있다. 6장은 통사적 핵으로서 조사가 어찌하여 중첩될 수 있는지 그 이유를 해명하고 있으며 7장은 부사격 조사들의 체계적 교체를 분포형태론으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8장은 구조격 조사는 격과 관련해서만 쓰인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9장에서는 무표격 명사구의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 목차 ]


제1장 저술의 목적


제2장 이론적 배경

1. 언어 보편성과 일률성 가설

2. 명사적 투사와 동사적 투사: 확대 투사론

3. 분포 형태론


제3장 조사의 분류


제4장 조사는 핵인가?

1. 조사의 핵성과 관련된 쟁점들

2. 핵, 투사체, 그리고 분포

3. 마무리


제5장 조사구 그리고 조사들의 통합관계

1. 부사격 조사의 범주

2. 조사구 구조와 최강 일률성 가설

3. 동사적 수식, 명사적 수식, 그리고 조사구

4. 마무리


제6장 조사의 중첩

1. 강어휘론자 접근법의 문제점들

2. 반대칭성 접근법

3. 혼종 접근법

4. 기능 범주의 투명성

5. 마무리


제7장 후치사 ‘에’, ‘에게’, ‘께’의 교체

1. 동사 ‘주다’의 상과 ‘에’/‘에게’의 교체

2. 의미에 의한 형태소 교체는 합당한가?

3. 성 자질로서의 유정성

4. ‘에’, ‘에게’, ‘께’의 분포 차이

5. 기격 일치

6. ‘에’, ‘에게’, ‘께’, ‘께서’의 교체 규칙

7. 마무리


제8장 격조사의 소위 비-격 용법과 격조사의 성격

1. 남기심(1991)의 지적

2. 격조사의 비-격 용법에 대한 접근법들

3. D로서의 격조사

4. 마무리


제9장 유표격과 무표격 재고

1. 무표격 명사구의 해독과 위치

2. 주어 명사구와 무표격

3. 무표격 조사 ∅와 EPP

4. 마무리



[ 지은이 ] 김용하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1998)

일석국어학장려상(2003)

논문으로 「동사적 명사, 겹목적어, 그리고 동사 ‘하다’」, 「Overt Case and Covert Case in Korean」

저서로 <한국어 격과 어순의 최소주의 문법>, <한국어 통사론의 현상과 이론>(공저) 등이 있다.



[도서명] 한국어 조사의 분포와 통합체계

[지은이] 김용하

국판 / 300쪽 / 값 14,000원

발행일 2014년 06월 15일

ISBN 978-89-5996-262-4 93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