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을 통해 ‘삶’을 들여다 보다
‘삶’에 스며들어 있는 ‘한글’
우리 선조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한글 고문서는 어떤 내용일까?
이 책은 이런 궁금증을 해결해 준다. 멀게만 느껴지는 선조들의 삶. 그 당시의 사람들은 어떠한 삶을 살았고 어떠한 일들을 했을까. 우리에게 전해져 오는 한글 고문서를 통해 그 당시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한문 고문서와 다르게 한글 고문서는 연구와 관리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한글이 세계적인 자랑거리이며, 세계에서 으뜸가는 언어임에 틀림없지만 그에 마땅한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책은 한글 고문서를 통해 옛 선조들의 삶을 바라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한글 고문서의 정의, 양식, 분류 등을 함께 다룸으로써 한글에 대한 연구와 애정이 함께 하기를 바라고 있다.
접하기 힘든 한글 자료들과 그것들을 통해 그 시대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오랜 시간 돌아 온 ‘한글’의 자리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후 문화적 우위에 있던 한자와 한문이 지배층들의 소통 문자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한글은 제 자리를 찾는 데 꽤 시간이 걸린 셈이다. 그러나 이미 16세기 무렵 지방의 사대부가들은 한글을 거의 익히고 있었으며 임란을 경유하면서 내방을 근거로 하여 중인층으로 그 사용이 확대되었다. 조선 후기 영・정조 시대에는 왕가에서도 공공연하게 한글을 사용하였으며 대국민 포고문이나 유시나 윤어에는 한글이 제한적이나마 공공 문자로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대한제국에 이르러 문자의 혁명이 일어났으니 한글을 공식 국가 문자로 인정하게 되었다. 말과 글의 일치는 민주화로 향하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1968년 박정희 대통령의 한글 전용화 선언 이후 80년대에 들어서서 주요 신문사에서도 한글 전용으로 전환함으로써 한글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세계적인 자랑거리 ‘한글’의 안타까운 현실
각종 박물관에는 한문 자료는 소중하게 다루고 있으나 한글 자료는 아직 구석에 처박아 놓고 있으며 제대로 판독하고 내용의 가치를 읽어 낼 전문 인력조차 전무한 상황이다.
한글이 세계적인 자랑거리라 말하면서 정작 한글 자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불모의 상황이나 다행스럽게도 정부에서는 ‘한글박물관’을 곧 완성하여 한글 유산을 본격적으로 수집・보존하고 그 연구를 계획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삶의 발자취, 한글을 통해 들여다 보다
한글 자료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삶의 일부를 기록으로 남긴 것이기 때문에 이를 낱낱이 발굴하고 또 정밀하게 판독해 냄으로써 지난 우리 선조들의 삶을 읽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한글 고문서 자료 가운데 격조가 높은 자료를 뽑아 한글 문서가 어떤 종류가 있으며 그 문서 양식이라든지, 사용 목적과 효과가 어떤지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 케이팝이 한류의 물결을 타고 전 세계로 퍼져 나가고 있다. 케이팝을 즐기기 위해 한글을 학습하려는 세계인들이 얼마나 많은지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언어문화를 통한 새로운 문화 변경이 확산되는 오늘날 우리 스스로가 한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자긍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목차]
1부 관부문서
1. 유서・전유
2. 고유・고시・전령
3. 완문
4. 상언
5. 소지・원정・발괄・언단・청원서
6. 조선시대 한글의 삶, 최초의 한글 재판 판결문
2부 사인문서
1. 분재기
2. 명문
3. 수표・다짐
4. 자문
5. 배자
6. 고목
7. 유서・상서
8. 완의
9. 통문・발기
한글 고문서의 이해
1. 한글 고문서란
2. 고문서의 분류
3. 한글 고문서의 분류 체계
4. 한글 고문서 명칭 표준화
5. 한글 고문서의 유형
6. 한글 고문서 자료
[ 지은이 ] 이상규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국립국어원장 역임.
중국 해양대학교 고문교수, 동경대학교 대학원 객원교수 역임.
<훈민정음에 나타나는 사성 권점 분석> 외 논문과 <방언의 미학>(2007, 살림), <둥지 밖의 언어>(2008, 생각의나무), <한글 고문서 연구>(2011, 도서출판 경진, 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글 고목과 배자>(2013, 도서출판 경진), <여진어와 문자>(2014, 도서출판 경진), <명나라 시대 여진인>(2014, 도서출판 경진) 외 다수의 저자.
sglee@knu.ac.kr
[도서명] 한글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사람들의 삶
[지은이] 이상규
신국판 양장(152×224) / 320쪽 / 값 22,000원
발행일 2014년 10월 09일
ISBN 978-89-5996-424-6 93710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 (0) | 2020.10.12 |
---|---|
네버엔딩 스토리, 고전시가 (0) | 2020.10.12 |
한국어 조사의 분포와 통합체계 (0) | 2020.10.05 |
한국문학 속의 중국 담론(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총서 6) (0) | 2020.09.29 |
해양과 동아시아의 문화교류(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총서 05) (0)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