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부터 현재까지, 고전시가의 변용
단지 과거의 것이고, 석화되었다고 믿었던 고전시가가 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지금까지 전달되고 있으며, 그 변용 속에 내재된 가치를 살피는 것은 대단히 의미 있는 작업이다. 디지털의 현실을 살고 있는 대중들에게 고전시가는 그 자체로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시, 소설, 영화, 뮤지컬과 같은 다양한 장르와의 만남을 통해 우리 선조들이 고전시가를 통해 지향하고자 했던 메시지를 알려 주었으며, 동시에 현대인이 지닌 가치관과 세계관을 알려 주었다. 이에 고전문학을 변용하는 작업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면서 동시에 우리 문학의 나아갈 바를 알려 주는 소중한 과정이다.
마음의 안식처, 고전시가
우리의 삶 속에서 살아 숨 쉬다
고전시가를 새롭게 모색하고 현실에 적절하게 수용하는 과정을 점검함으로써 고전시가가 지닌 의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고전시가는 다양한 목적과 방향을 가지고 생성되어 최첨단의 시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에게 흥미와 열광을 안겨 주는 살아 있는 생생한 텍스트이다. 디지털의 발달과 빠른 문화의 혁명은 대중들로 하여금 공허함과 고독이라는 고질병을 안겨 주었다. 이를 통해 대중들은 그 공허함과 고독을 채우기 위해서 무엇인가를 찾아 나섰고, 이러한 그들에게 가장 큰 위로와 힘을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고전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고전문학은 아이러니하게도 과거 속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늘 우리의 현실 속에서 살아 숨 쉬면서 가장 현실적인 문제를 조언해 주는 동시에 인간이 지닌 네버엔딩 스토리의 원형을 사실적으로 보여 주기 때문이다.
네버엔딩 스토리, 고전시가
이 책은 고전시가와 그 배경설화를 중심으로 하여 문학적 전개와 변용 양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로의 변용과 그 특질을 살펴보고 있다. <헌화가>, <찬기파랑가>, <도천수대비가>, <호동설화>, <도화녀와 비형랑> 설화들의 개별 작품이 지니고 있는 실체를 밝히고 수용과 변용의 양상을 살펴서 원전이 지닌 가치를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대중들이 고전작품의 변용과 수용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태도는 무엇보다 현대의 창작자들이 원전을 수용하는 의미나 방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목차 ]
1장 향가 <헌화가(獻花歌)>의 공연예술적 변용 양상과 가치
1. <헌화가>의 가치와 특질
2. <헌화가>의 의미 양상
3. <헌화가>의 공연 양상
4. <헌화가>의 공연예술적 가치와 의미
5. <헌화가>의 전망과 공연예술적 특질
2장 향가 <찬기파랑가>의 정체성과 현대적 변용
1. <찬기파랑가>의 가치와 의미
2. <찬기파랑가>의 정체성
3. <찬기파랑가>의 현대적 변용
4. <찬기파랑가>의 현대적 수용의 특질
5. <찬기파랑가>의 현대적 변용과 전망
3장 향가 <서동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과 변용 연구
1. <서동요>의 가치와 의미
2. <서동요>의 수용 양상
3. <서동요>의 현대적 변용 양상
4. <서동요>의 현대적 변용의 특질
5. <서동요>의 가치와 전망
4장 향가 <도천수대비가>의 현대적 변용 양상
1. <도천수대비가>의 배경과 의미
2. <도천수대비가>의 수용 양상
3. <도천수대비가>의 현대적 변용
4. <도천수대비가>의 현대적 변용의 의미
5. <도천수대비가>의 특질과 가치
5장 <삼국사기> 소재 <온달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樂府詩) 양상
1. <온달설화>의 내용과 의미
2. <온달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의 성립과정
3. <온달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의 특질
4. <온달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의 문학적 의미
5. <온달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의 가치
6장 <삼국사기> 소재 <호동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樂府詩) 양상
1. <호동설화>의 의미와 내용
2. <호동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의 성립과정
3. <호동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의 특질
4. <호동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의 문학적 의미
5. <호동설화>를 모티프로 한 악부시의 가치
7장 <삼국유사(三國遺事)> 소재 <도화녀와 비형랑> 설화의 공연예술적 변용 양상과 가치
1. <도화녀와 비형랑> 설화의 의미와 내용
2. <도화녀와 비형랑> 설화의 공연예술적 변용의 의미
3. <도화녀와 비형랑> 설화의 공연예술적 변용의 가치
4. <도화녀와 비형랑> 설화의 공연예술적 변용의 특질
5. <도화녀와 비형랑> 설화의 공연예술적 변용의 진단
8장 기봉 백광홍의 작품세계와 현실인식
1. 백광홍의 소개와 문예정신
2. 백광홍의 삶과 교유
3. 백광홍의 <관서별곡>과 현실인식
4. 백광홍의 시의 양상
5. 백광홍의 문예적 특질
[ 지은이 ] 하경숙
1977년 서울 출생으로 선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과를 졸업하였다. 동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수료했고, 문학박사이다. 현재 선문대학교의 교양학부 계약제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림대학교 교양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고전시가의 후대 전승과 변용 연구>가 있으며, 논문으로 「고대가요의 후대적 전승과 변용 연구: <공무도하가>・<황조가>・<구지가>를 중심으로」, 「<헌화가>의 현대적 변용 양상과 가치」, 「악부시 <황조가>의 성립과정과 문예적 특질」, 「<공무도하가>의 현대적 변용 양상」, 「<정읍사>의 후대적 전승과 변용 양상」, 「<서동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과 변용 연구」 외 다수가 있다.
[도서명] 네버엔딩 스토리, 고전시가
[지은이] 하경숙
신국판 양장(152×224) / 232쪽 / 값 15,000원
발행일 2014년 10월 30일
ISBN 978-89-5996-222-8 93810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숭고(국문학 07) (0) | 2020.10.13 |
---|---|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 (0) | 2020.10.12 |
한글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사람들의 삶 (0) | 2020.10.08 |
한국어 조사의 분포와 통합체계 (0) | 2020.10.05 |
한국문학 속의 중국 담론(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총서 6) (0)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