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생활사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
한글 고목과 배자는 일찍이 중국의 관문서 형식에서 유래되어 우리나라 관부에 전파되었다가 차츰 여항으로 확산된 고문서 양식이다. 특히, 한문으로 쓴 것은 관부에서 주로 사용되다가 여항으로 확산되면서 한글 고문서로도 사용되었다.
고목과 배자는 발신자와 수급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구분된다. 곧 고목은 아랫사람이 상전에게 쓰는 양식이고, 배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쓰는 양식이다. 고목과 배자는 조선조 사회구조 속에서 나타나는 일종의 사통(私通)으로써 준공식적인 문서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전과 하인의 관계를 떠나 부모와 자식 혹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에게 비공식적인 사통의 방식으로 언간・상언이라는 편지글의 소통 방식과 고목과 배자가 문서 양식의 혼류를 보여주기도 한다.
한문을 해독할 수 있는가, 그렇지 않는가에 따라 한글로 작성된 고목과 배자는 문서의 양적인 측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한글 고목은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데 비해 배자는 자료의 수효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사대부가의 상전은 대부분 서사 수단이 한문이었기 때문이기도 한다. 따라서 조선조 한글의 확산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도 한글 고목과 배자는 매우 중요한 생활사 사료에 해당한다.
아랫사람과 윗사람의 생생한 기록
한글 고목과 배자가 담고 있는 내용 또한 조선조 사회의 일상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상전이 하인에게 가정 경제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의 임무들, 공세의 납부와 마름을 통한 수취의 임무, 전답의 매매, 가옥이나 물건의 매매, 조선 후기 특히 많이 발생하는 산송의 처리 문제 등 매우 다양한 일상사의 모습을 조명할 수가 있다.
말과 글에는 매우 소중한 일상생활사의 정보가 담겨 있다. 특히 특정의 목적을 둔 지시와 보고라는 서사 체계에서 드러나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계층별 일상사와 그들의 글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조망할 수 있는 매우 색다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한글 고문서의 분류 양식과 문서 양식적 특징을 밝히고 고목과 배자의 행이 방식과 그 속에 담고 있는 각종 내용을 실제적인 자료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꾸몄다.
[ 목차 ]
머리말
제1장 한글 고문서의 분류 체계와 유형
한글 고문서의 개념과 분류
한글 고문서 명칭 표준화와 자료
한글 고문서의 분류 기준과 체계
제2장 한글 고목과 배자 연구 개관
고목과 배자란 무엇인가
고목과 배자의 자료 개관
제3장 한글 고목과 배자의 개념과 분류 체계
한글 고목과 배자의 개념
한글 고목과 배자의 분류 체계
제4장 한글 고목과 배자의 하위 분류와 문서 양식
한글 고목의 하위 분류
한글 배자의 하위 분류
한글 고목과 배자의 문서 양식
한글 고목과 배자의 양식 혼효
제5장 한글 고목과 배자의 어휘 특성
한글 고목과 배자에 나타나는 어휘
투식어와 이두 표현
고목과 배자 자료
참고문헌
[ 지은이 ] 이상규
경북대학교 교수
전 국립국어원장
저서 <방언의 미학>(살림), <둥지 밖의 언어>(생각의나무), <한글 고문서 연구>(도서출판 경진), <한국어 방언학> 등
논문 「훈민정음에 나타나는 권점 분석」 외 다수
[ 지은이] 강이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경북대학교 어학교육원 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DB 구축 사업 연구원
논문 「한글 고목과 배자 연구」
[도서명] 한글 고목과 배자
[지은이] 이상규 강이경 공저
신국판(152×224) / 344쪽 / 값 23,000원
발행일 2013년 08월 20일
ISBN 978-89-5996-210-5 93710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나라 시대 여진인 (0) | 2020.09.25 |
---|---|
여진어와 문자 (0) | 2020.09.25 |
보조용언의 의미와 문법(국어학: 문법론) (0) | 2020.09.21 |
주시경 문법의 형성론(국어학: 문법론) (0) | 2020.09.18 |
국어교육을 위한 말하기의 기본개념(학술 06)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