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동아시아

보조용언의 의미와 문법(국어학: 문법론)

by 양정섭 2020. 9. 21.

국어 보조용언의 구성에 나타나는 연결어미 다뤄 


이 책은 국어 보조용언과 그 구문에 관련된 여러 문제를 살피고, 보조용언 구성에 나타나는 연결어미를 논의하고 있다. 합성형 보조용언의 설정, 보조용언 구문에서 문법화한 연결어미의 확인, 문법화와 인지언어학 관점에 따른 몇몇 보조용언의 의미 기능 분석, 보조용언의 완료상 기능 여부에 대한 논의, 보조용언 구성을 원리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어’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설명 등이 이 책의 주요 내용이다. 

1장에서는 ‘앉아 있다’, ‘자빠져 있다’ 등 합성형 보조용언의 의미 기능과 이들의 의미 관련 특징을 문법화의 관점에서 논의했으며, 2장에서는 ‘빠지다’, ‘터지다’, ‘제끼다’의 통사  현상과 의미 기능, 형성 과정에 대해 밝혔다. 다음으로 3장은 결과상태상을 나타내는 ‘-아 있다’ 구문의 통합 제약 현상을 다룬 것이고, 4장에서는 지속상 형식 ‘-어 오다/가다’의 직시적 의미와 이들의 상적 특성에 대해 논의했다. 5장은 ‘버리다’, ‘놓/두다’, ‘내다’ 등 이전에 완료상을 나타낸다고 주장되었던 보조용언이 본질상 상적 표현 기능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논증이다. 6장은 접속어미 형태로 설정되는 ‘았자’의 보조용언 구성 ‘-어 보았다고 하자’에서 융합에 의해 이루어진 ‘보았자’가 기원 형태임을 밝힌 것이다. 7장에서는 그 본질적 속성과 기능이 아직까지 베일에 가려져 있는 접속 구성/보조용언 구성/합성 동사 구성에 관여하며 종결어미로도 쓰이는 어미 ‘-어’의 성격과 기능을 밝히려 했다.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진행상 형식 ‘-고 있다’와 ‘-는 중이다’의 상적 특성을 검토하고 그 형성 과정을 문법화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 차례 ]


머리말


1장 합성형 보조용언

1. 문제의 제기

2. 합성형 보조용언과 그 의미 기능 및 의미관련 특징

2.1. 합성형 보조용언

2.2. ‘앉아 있다’, ‘자빠져 있다’의 의미 기능 및 이 구문의 의미관련 특징

3. 보조용언 ‘앉아 있다’, ‘자빠져 있다’의 형성

4. 결론


2장 보조용언 ‘빠지다’, ‘터지다’, ‘제끼다’

1. 문제의 제기

2. 보조용언 ‘빠지다’, ‘터지다’, ‘제끼다’의 통사 현상, 문법화, 의미 기능

2.1. 보조용언의 확립

2.2. 각 보조용언들의 통사 현상, 문법화, 의미 기능

3. 결론


3장 ‘-아 있다’ 구문의 통합 제약 현상에 대하여

1. 서론

2. ‘-아 있다’ 구문의 상적 특성과 제약

2.1. 기왕 논의의 비판적 검토

2.2. ‘-아 있다’ 구문의 타동사 제약 현상

3. ‘V1-아 있다’ 구문의 V1 제약 조건

3.1. V1의 상적 특성에 따른 제약

3.2. 통사적 제약

4. 결론


4장 ‘-어 오다/가다’의 직시적 의미와 상적 특징

1. 서론

2. ‘오다/가다’의 직시적 성격과 용언 통합 제약

2.1. ‘오다/가다’의 직시적 성격

2.2. ‘오/가다’의 내포적 의미와 용언의 통합 제약

3. ‘오다/가다’의 상적 기능과 직시적 특징

3.1. ‘오다/가다’의 상적 기능

3.2. 보조동사 ‘오/가다’의 직시적 특징과 관점

4. 선행 술어와 ‘오다/가다’의 상적 기능 및 특징

4.1. 동사+오다

4.2. 동사+가다

4.3. 형용사+오다

4.4. 형용사+가다

4.5. 있다/이다+오/가다

5. 화자의 관점과 상

6. 결론


5장 보조용언의 완료 기능설에 대한 재고

1. 문제의 제기

2. 보조용언의 완료상 주장 항목과 근거 검토

2.1. 완료상의 항목 검토

2.2. 완료상의 근거 검토

3. 완료상의 개념과 조건 및 특징

3.1. 완료상의 개념

3.2. 완료상의 조건 및 특징

4. 완료상에 대한 부정적 증거와 보조용언의 의미 기능

4.1. 보조용언의 완료상에 대한 부정적 증거

4.2. 보조용언의 양태적 기능

5. 결론


6장 접속형태 ‘보았자’의 구조와 의미

1. 문제의 제기

2. ‘보았자’의 구조와 의미 기능

2.1. ‘보았자’의 형태, 통사적 특징과 의미 기능

2.2. ‘보았자’의 구조

2.3. 융합 형태 ‘보았자’의 의미 기능 확대와 통사 현상

3. 결론


7장 어미 ‘-어’의 성격과 기능

1. 서론

2. ‘-어’의 내재적 속성과 부차적 기능

2.1. ‘-어’의 다양한 용법 및 ‘-어’의 기능에 대한 이전의 논의

2.2. ‘-어’의 내재적 기능과 부차적 기능

3. 결론


8장 국어 진행상의 형식과 특징

1. 서론

2. 국어 진행상의 형식과 특징

2.1. 국어 진행상의 유형과 특징

2.2. ‘-고 있다’와 ‘-는 중이다’의 차이

2.3. 두 진행상 형식의 문법화와 특징

2.4. 두 진행상 형식의 차이에 대한 설명

3.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 지은이 ] 구종남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 (통사론)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통사론)

현재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논저로 <국어의 부정극어> 외 다수


 

[도서명] 보조용언의 의미와 문법

[지은이] 구종남

신국판(152×224) / 248쪽 / 값 16,000원

발행일 2013. 07. 30.

ISBN 978-89-5996-196-2 93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