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경 국어문법 형성과정에 대한 총체적 분석
이 책의 제1장은 박사논문을 근간으로 한 것으로 <<주시경 문법의 연구>> 1(1991)과 <<개화기 국어문법의 연구>>(2009)에서 내용 일부를 학교문법 용어로 바꾸어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제2장부터 제5장까지는 주시경 문법의 연구 2(2003)의 5장과 6장을 합쳐서 다시 정리하고, 7장과 부록을 덜어내고 학교문법 용어로 바꾼 것이다. 제6장은 그동안 국어학계에서 주시경 학문에 대하여 얼마나 연구하였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 처리한 논문이다.
지금까지 주시경의 국어문법에 대한 연구는 주로 주시경의 국어문법 의식에서 출발하여 설정, 발전, 계승의 관점에서 살핀 것을 이제는 주시경의 국어문법 형성과정의 관점에서 ‘설정’이라는 용어 대신에 ‘형성’이라는 용어로 바꾸어 재구성하고, 책의 기술용어를 학교문법 용어로 통일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 것이다.
[ 목차 ]
책의 머리에
제1장 품사론의 형성
1. 머리말
2. 품사의 설정과정
2.1. 품사의 설정기반
2.2. 『국문문법』에서의 ‘7언분’ 설정
2.3. 『말』에서의 ‘6체’ 설정
2.4. 『국어문법』에서의 ‘9기’ 설정
2.5. 『말의소리』에서의 ‘6씨’ 설정
3. 각 품사의 형성
3.1. 의미소로 형성된 것
3.2. 문법소로 형성된 것
3.3. 의미소와 문법소로 형성된 것
4. 마무리
제2장 문장론의 형성
제1절 문장성분의 형성
1. 머리말
2. 여러 언어형식의 설정
3. 문장성분의 형성
3.1. 주성분의 형성
3.2 부속성분의 형성
3.3 주어부와 서술부의 형성
4. 마무리
제2절 문장구조의 형성
1. 머리말
2. 문장구조의 형성
2.1. 홑문장의 형성
2.2. 겹문장의 형성
3. 마무리
제3장 시제법의 형성
1. 머리말
2. 시제법의 형성
2.1. 끗기의 시제형성
2.2. 잇기의 시제형성
3. 마무리
제4장 높임법의 형성
1. 머리말
2. 높임법의 형성
2.1. 임기의 높임형성
2.2. 억기의 높임형성
2.3. 잇기의 높임형성
2.4. 끗기의 높임형성
2.5. 높임의 등분형성
3. 마무리
제5장 조어법의 형성
1. 머리말
2. 조어법의 형성
2.1. 파생법의 형성
2.2. 합성법의 형성
3. 마무리
제6장 주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1. 머리말
2. 주시경 학문 자료의 보급
2.1. 『역대한국문법대계』(1975~1986)
2.2. 『주시경전집(상, 하)』(1976)
2.3. 『주시경전서』(6권)(1992)
3. 주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3.1. 전체적인 연구
3.2. 부분적인 연구
4. 주시경 학문 연구에 대한 학회의 노력
4.1. 한글학회(한힌샘 연구 모임)의 활동
4.2. 주시경 연구소의 활동
4.3. 외솔회의 활동
5.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 지은이 ] 최낙복
동아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아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문학박사), 미국 UCLA 방문 교수(2006)를 역임하였다. 현재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및 논문으로 『주시경 문법의 연구』(1·2), 『국어학 사전』(공저), 『한국어문학입문』(공저), 『개화기 국어문법의 연구』, 「주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외 50편이 있다.
[도서명] 주시경 문법의 형성론
[지은이] 최낙복
신국판 양장 / 352쪽 / 값 19,000원
발행일 2013년 01월 31일
ISBN 978-89-5996-191-7 93710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고목과 배자 (0) | 2020.09.21 |
---|---|
보조용언의 의미와 문법(국어학: 문법론) (0) | 2020.09.21 |
국어교육을 위한 말하기의 기본개념(학술 06) (0) | 2020.09.18 |
한국영화의 존재방식과 광학적 무의식(학술 05) (0) | 2020.09.17 |
오규원 시의 자연 인식과 현대성의 경험(국문학 05) (0) | 2020.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