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26 벼리 한국어 읽기 초급 1 외국인에게 한국어능력시험 1등급과 2등급 수준의 한국어 읽기를 교육하기 위해 개발 ‘벼리한국어읽기’는 외국인에게 ‘한국어 능력 시험(Korean Proficiency Test: KPT)’의 1등급과 2등급 수준의 한국어 읽기를 교육하기 위하여 개발하였다. 이 책은 한국어 교사가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교수․학습 활동을 진행하면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교재이다.이 책은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ί-벼리한국어학당(http://byeori.net)’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을 할 때 필요한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와 학습자는 ί-벼리한국어학당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음성 자료, 텍스.. 2020. 10. 19. 북한의 언어: 소통과 불통 사이의 남북언어 또 하나의 분단, 남북의 언어 2015년. 광복 70년이 되는 해이다. 광복 70년의 시간은 다른 의미로 분단 70년을 의미한다. 분단의 시간이 두 세대를 넘었다. 광복을 맞이하면서 분단이 70년을 넘길 것이라 생각한 한반도인은 많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속절없이 시간은 흘러흘러 70년을 훌쩍 넘었다. 70년의 시간은 하나의 한반도를 남북으로 가르고 많은 것을 달라지게 하였다. 광복 70년. 70년의 시간동안 남과 북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으니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이 정답일 것이다. 무엇이 달라졌을까? 사회운영체계로부터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달라졌다. 오히려 남북이 공유하는 공통성을 찾아보는 것이 더 빠를 것이다. 많은 것이 변했어도 변하지 않았다는 굳건한 믿음을 갖고 있.. 2020. 10. 13. 한글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사람들의 삶 ‘한글’을 통해 ‘삶’을 들여다 보다 ‘삶’에 스며들어 있는 ‘한글’ 우리 선조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한글 고문서는 어떤 내용일까? 이 책은 이런 궁금증을 해결해 준다. 멀게만 느껴지는 선조들의 삶. 그 당시의 사람들은 어떠한 삶을 살았고 어떠한 일들을 했을까. 우리에게 전해져 오는 한글 고문서를 통해 그 당시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한문 고문서와 다르게 한글 고문서는 연구와 관리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한글이 세계적인 자랑거리이며, 세계에서 으뜸가는 언어임에 틀림없지만 그에 마땅한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이 책은 한글 고문서를 통해 옛 선조들의 삶을 바라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한글 고문서의 정의, 양식, 분류 등을 함께 다룸으로써 한글에 대한 연구와 애정이 함께.. 2020. 10. 8. 한글 고목과 배자 조선조 생활사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 한글 고목과 배자는 일찍이 중국의 관문서 형식에서 유래되어 우리나라 관부에 전파되었다가 차츰 여항으로 확산된 고문서 양식이다. 특히, 한문으로 쓴 것은 관부에서 주로 사용되다가 여항으로 확산되면서 한글 고문서로도 사용되었다.고목과 배자는 발신자와 수급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구분된다. 곧 고목은 아랫사람이 상전에게 쓰는 양식이고, 배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쓰는 양식이다. 고목과 배자는 조선조 사회구조 속에서 나타나는 일종의 사통(私通)으로써 준공식적인 문서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전과 하인의 관계를 떠나 부모와 자식 혹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에게 비공식적인 사통의 방식으로 언간・상언이라는 편지글의 소통 방식과 고목과 배자가 문서 양식의 혼류를 보여주.. 2020. 9. 21. 바로잡기 우리말 101가지 [ 한글 세계화운동 ] 한글은 560여년 전에 창제되었지만 그 후 오랫동안 한문을 숭상한 사상 때문에 널리 쓰이지 못 하다가 1870년대에 기독교에서 성경 번역에 한글을 전용하고, 1896년에는 독립신문의 한 부분에서 한글을 전용하기에 이르렀다. 일제시대에는 우리말·글 말살정책에 항거하여 우리말·글 지키기 운동으로 조선어학회 사건 등의 고난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제 한글은 세계 속에 자부심을 가지고 우뚝 서 있다. 미국·호주의 대학에서는 오래 전부터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지정해 강의하고 있으며, 문자가 없는 소수민족의 공식 표기법으로 제정하고자 하는 ‘한글 세계화운동’이 추진되고 있다. 2009년 8월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은 자신들의 말을 표기할 문자로 한글을 공식 채택했으며 이외에도 태국의 라후.. 2020. 9. 9. 여자독본(남숭산인 장지연 편,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3) 여성의 계몽과 교육 지향 국민국가의 형성과 여성의 역할 은 장지연(張志淵)의 저작으로, 1908년 광학서포에서 발행되었다. 상권 64과, 하권 56과, 전체 120과로 구성되어 있다. 한 개의 과마다 혹은 몇 개의 과를 이어서 한 여성을 주인공으로 삼아 그의 성품이나 사고 등을 제시하고, 이를 특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일화를 기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과에서 다루는 이야기 속의 주인공은 여성이다. 상권은 한국의 여성을, 하권은 중국과 서양의 여성을 다루는데, 이들은 사회적・역사적으로 본받을 만한 업적을 남겼던 인물들이다. 이 책은 이들의 이야기를 묶은 열전(列傳)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책 속의 주인공도 여성이지만, 이 책을 읽는 독자도 여성으로 상정되어 있다. 저자의 머리말이 따로 실려 있지.. 2020. 8. 24. 벼리 한국어 회화 초급 1 한국어능력시험 1등급과 2등급 수준의 한국어 회화 교육을 위해 개발 ‘벼리한국어회화’는 외국인에게 ‘한국어 능력 시험(Korean Proficiency Test: KPT)’의 1등급과 2등급 수준의 한국어 회화를 교육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 책은 한국어 교사가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교수․학습 활동을 진행하면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교재이다.이 책은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ί-벼리한국어학당(http://byeori.net)’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을 할 때 필요한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와 학습자는 ί-벼리한국어학당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음성 자료, 텍스트 자료 등을 .. 2018. 10. 30. 우리말 연구의 이론과 실제 한말연구학회가 우리말(한말)과 우리글(한글)의 연구를 목적으로 창립한 지 20년이 되는 2006년에 국어학 전체를 주제로 이 책이 간행되었다. 형태론과 고대 한자음 분야에서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남긴 최남희 교수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학회 이사 전원이 참여하여 만든 책이다. [ 목차 ] 제1장 국어 음운제2장 국어 문법제3장 국어 의미제4장 국어 교육·정책 [ 지은이 ] 최남희 外 2006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도서명] 우리말 연구의 이론과 실제[발행일] 2006.02.05[ISBN] 978-89-5996-010-1 93710[가격] 20,000원[판형] 신국판 양장[쪽수] 432쪽 2018. 10. 2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