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계몽과 교육 지향
국민국가의 형성과 여성의 역할
<<여자독본>>은 장지연(張志淵)의 저작으로, 1908년 광학서포에서 발행되었다. 상권 64과, 하권 56과, 전체 120과로 구성되어 있다. 한 개의 과마다 혹은 몇 개의 과를 이어서 한 여성을 주인공으로 삼아 그의 성품이나 사고 등을 제시하고, 이를 특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일화를 기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과에서 다루는 이야기 속의 주인공은 여성이다. 상권은 한국의 여성을, 하권은 중국과 서양의 여성을 다루는데, 이들은 사회적・역사적으로 본받을 만한 업적을 남겼던 인물들이다. 이 책은 이들의 이야기를 묶은 열전(列傳)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책 속의 주인공도 여성이지만, 이 책을 읽는 독자도 여성으로 상정되어 있다. 저자의 머리말이 따로 실려 있지는 않지만 상권의 첫 장인 총론에서 “여자는 나라 백성 된 자의 어머니 될 사람이다. 여자의 교육이 발달한 후에 그 자녀로 하여금 착한 사람이 되게 할 수 있다. 그런 고로 가르침이 곧 가정교육을 발달시켜서 국민의 지식을 인도하는 모범이 된다”(상권 1장 1과)고 서술하고 있듯이, 어머니가 될 여자들을 교육시킴으로써 나라를 올바로 세우겠다는 의도를 포함하고 있는 책이다. 즉, 이 책은 개화기에 여성의 계몽과 교육을 목적으로 하여 편찬된 일종의 교과서이다.
<<여자독본>>이 지향한 여성의 계몽과 교육의 방향은 여러 층위로 분화되어 있었다. 당대 한국에서 요구한 여성의 모습은 ‘국민(남성)’을 양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머니(아내)였던 듯하다. 그런데 여성이 제대로 된 ‘국민(남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국민성’을 자각할 필요가 있으므로 나라의 기강을 확립하는 데 헌신한 중국과 서양 여성의 예를 소개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국의 여성에게는 국가의 가장 작은 단위인 가정을 꾸려나가는 책임을 부여한 것이다.
장지연은 <<여자독본>>을 출간하기 직전인 1907년에 ‘잔다르크’ 위인전에 해당하는 <<애국부인전>>을 광학서포에서 발행하였다. 광학서포는 같은 시기에 <<초등대한지지>>, <<초등윤리학>>, <<초등소학>>, <<중등만국신지지>>, <<이태리건국삼걸전>>, <<을지문덕전>> 등 애국계몽과 관련된 책들을 출간하고 있었다.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여자독본>>은 일정한 교육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여자독본>>은 모두 한글로 쓰여 있다. 여성의 문자를 ‘한글’로 상정하고 한국의 여성을 교육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순국문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한글로 표기된 한자어 옆에 한자가 작은 글씨로 병기되어 있고, 각 과가 끝나면 그 과에 나온 한자의 음과 뜻 알려주어 한자 공부의 역할도 겸하게 하였다. 이 책은 1910년 11월 발매 금지 당하였다.
[ 목차-여자독본 ]
해설: 국민국가의 형성과 여성의 역할
여자독본 상
제1장 총론
제1과
제2과
제2장 모도(母道)
제3과 김유신 모친 1
제4과 김유신 모친 2
제5과 정일두 모친
제6과 이오성의 모친
제7과 이율곡 모친
제8과 홍학곡 모친 1
제9과 홍학곡 모친 2
제10과 김유신 부인 1
제11과 김유신 부인 2
제3장 부덕(婦德)
제12과 소나 처
제13과 온달 처 1
제14과 온달 처 2
제15과 온달 처 3
제16과 온달 처 4
제17과 온달 처 5
제18과 온달 처 6
제19과 유응규 처
제20과 인열왕후
제21과 윤 부인
제22과 이 부인
제23과 김 부인
제24과 이 부인 1
제25과 이 부인 2
제26과 이 부인 3
제27과 권 부인
제28과 권 부인
제29과 장 부인
제4장 정렬(貞烈)
제30과 석우로 처 1
제31과 석우로 처 2
제32과 박제상 처 1
제33과 박제상 처 2
제34과 도미 처 1
제35과 도미 처 2
제36과 설 씨 1
제37과 설 씨 2
제38과 영산 신 씨
제39과 제목 없음
제40과 안동 김 씨 1
제41과 제목 없음
제42과 군위 서 씨
제43과 정 부인 1
제44과 정 부인 2
제45과 권 교리 부인
제46과 윤 부인
제47과 임 의부
제48과 송 열부 1
제49과 송 열부 2
제50과 송 열부 3
제51과 김 열부
제52과 박 효랑 형제
제5장 잡편
제53과 의기 논개
제54과 계화월
제55과 금섬 애향
제56과 야은 비 석개
제57과 약가
제58과 향랑 1
제59과 향랑 2
제60과 목주곡
제61과 회소곡
제62과 무녀 일금
제63과 허난설헌 1
제64과 허난설헌 2
여자독본 하
제1과 맹모 1
제2과 맹모 2
제3과 제영
제4과 방아 가녀
제5과 이기 1
제6과 이기 2
제7과 목란 1
제8과 목란 2
제9과 목란 3
제10과 순관
제11과 부인성
제12과 양 부인 1
제13과 양 부인 2
제14과 안 공인
제15과 세 부인 1
제16과 세 부인 2
제17과 진양옥
제18과 양향과 동팔나 1
제19과 양향과 동팔나 2
제20과 적량공 이모 1
제21과 적량공 이모 2
제22과 적량공 이모 3
제23과 반소
제24과 황숭가
제25과 위 부인
제26과 사로탈 1
제27과 사로탈 2
제28과 사로탈 3
제29과 마리타 1
제30과 마리타 2
제31과 마리타 3
제32과 로이미세아 1
제33과 로이미세아 2
제34과 여안 1
제35과 여안 2
제36과 여안 3
제37과 여안 4
제38과 라란 부인 1
제39과 라란 부인 2
제40과 라란 부인 3
제41과 루지 1
제42과 루지 2
제43과 부란지사 1
제44과 부란지사 2
제45과 부란지사 3
제46과 부란지사 4
제47과 류이설 1
제48과 류이설 2
제49과 비다 1
제50과 비다 2
제51과 비다 3
제52과 남정격이 1
제53과 남정격이 2
제54과 남정격이 3
제55과 남정격이 4
제56과 남정격이 5
여자독본 원전
[ 편역자 ] 문혜윤
경희대학교 강사
주요 논저로 <문예독본류와 한글 문체의 형성>,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강화(講話)’로서의 <문장>>, <한자/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문학어의 근대>> 등이 있다.
[도서명] 여자독본(남숭산인 장지연 편)
[총서명]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3
[편역자] 문혜윤
발행일 2012년 10월 05일
ISBN 978-89-5996-171-9 93370
신국판 양장 / 392쪽 / 값 29,000원
'인문사회 > 한국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초등소학(정인호 편술 겸 발행,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0) (0) | 2020.08.28 |
---|---|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상/하, 학부 편찬,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1) (0) | 2020.08.27 |
신찬초등소학(상/하, 현채 저작 겸 발행,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2) (0) | 2020.08.26 |
부유독습(강화석 저,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4) (0) | 2020.08.21 |
소학독본・유몽휘편(학부 편집국 편찬,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2) (0) | 2018.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