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재/글쓰기교육

미의식과 인간: 예체능계열 글 읽기

by 양정섭 2018. 10. 30.

예술은 성실함이라는 덕목을 보여주는 교훈이 되기도 한다. 참다운 예술가는 정설로 굳어 있는 편견을 거부하는 엄청난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자신의 생각을 그대로 표현해낼 줄 알아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정직함을 가르치는 것이다. 


가령 이 세상의 모든 가치들 중에서 절대적인 진실성이 군림하게 된다면 얼마나 빨리 이 사회가 진보할 것인지를 쉽게 상상해볼 수 있다. 이 사회가 스스로 인정하는 과오와 추악함을 빨리 제거한다면 우리들이 발 딛고 서 있는 이곳은 매우 빠른 속도로 낙원으로 변할 것이다.

-<젊은 예술가들에게> 중에서





[ 목차 ]


제1장 생각의 발생


벌거벗은 눈 [진중권]

책과 몸―찰떡궁합 [고미숙]

동물도 죽음을 애도한다 [최재천]

입맛으로 나, 우리, 그들을 구별하는 세상: '취향공동체'의 탄생 [진중권]

21세기를 어떻게 맞을 것인가? [복거일]

복거일, 당신은 '멋진 신세계'를 꿈꾸는가 [진중권]

아랍인의 의식구조 [이규태]

황인종의 백색신화 [진중권]


제2장 비판적 통찰력


여성에 대하여 [쇼펜하우어]

통속성은 배격되어야 하는가 [이상준]

죽은 시인의 사회 [김일영]


제3장 문화 텍스트 읽기


정신이 법도 가운데서 자유로이 훨훨 날아가는 경지 [안희준・정양모]

기계로서 살기보다 인간으로 죽으리라 [이정우]

구원의 실현을 위한 사랑과 용서 [현길언]

벌레 이야기 [이청준]

마음 속에서 펄쩍 뛰어오르는 노래 [전영태]

미학적 분석비평의 실제―서편제 [서인숙]

렛미인 [고동욱]

쇼생크 탈출 [정인성]

트라우마의 증명사진: 다이안 아버스의 <갤러리 오프닝에 온 네 사람>의 정신분석학적 읽기 [황록주]

푸른 수염 [샤를 페로]

하얀 새 [그림 형제]

동화 속 결혼 이야기: '푸른 수염'과 '하얀 새' [주경철]


제4장 예술과 현실


생의 마지막 계절 [빈센트 반 고흐]

소설 '광장'을 고쳐 쓴 까닭 [최인훈]

무용가와 자연 [이사도라 던컨]

미래의 무용과 던컨의 어록 [이사도라 던컨]

젊은 예술가들에게 [오귀스트 로댕]



[ 엮은이 ]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글쓰기편찬위원회 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