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재/글쓰기교육

글쓰기 이론과 실제

by 양정섭 2020. 8. 19.

현대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가장 필수적인 능력으로


평가 받는 글쓰기 능력!


글쓰기 능력은 현대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현대인이 갖추어야 할 가장 필수적인 능력으로 평가 받고 있다. 우리는 글쓰기를 통해서 자신의 생각을 구조화하고, 표현하며, 타인과 소통할 뿐만 아니라 한걸음 나아가 자기 자신을 성찰하고, 자신의 사회적・전문적 능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이러한 글쓰기와 글쓰기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총 여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1장, 2장, 3장에서는 글쓰기 자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좋은 글이란 어떤 글인지, 또 어떤 절차를 거쳐 글을 써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후반부인 4장, 5장, 6장에서는 우리 삶과 학문 세계에서의 글쓰기를 통해 다양한 글쓰기 방식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사회에서 필요한 말하기 능력의 신장을 위해 스피치와 토론 능력을 다루었다. 각 장별로 담고 있는 내용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글쓰기의 성격, 중요성을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삶에서 글쓰기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예와 연습문제들은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장에서는 글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건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어휘, 문장, 단락 단위로 글쓰기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어문 규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확한 표현을 위한 기초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3장에서는 글쓰기 절차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어떤 과정을 거쳐 글을 써야 하는 것인지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글쓰기의 절차를 고려한 글쓰기 훈련은 이후 스스로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4장에서는 여러 실용적 글쓰기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대학에서의 글쓰기’에서는 학술적 논문과 리포트 쓰기를, ‘사회에서의 글쓰기’에서는 이력서 쓰기, 자기소개서 쓰기, 기획서 쓰기를,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에서는 프레젠테이션을 익힘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한 글쓰기 능력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5장에서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 분야에서 요구하는 글쓰기를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학문 분야에서 어떤 글쓰기 방식을 요구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고 훈련할 수 있도록 하였다.

6장에서는 말하기와 토론의 능력이 글쓰기의 중요한 요건 중 하나라고 보고, 스피치와 자기표현, 토론과 의사소통 방식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통합적인 의사전달능력을 익힐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바탕으로 많은 사람들이 글을 쓰는 능력, 글을 읽는 능력, 말하기 능력이 일취월장하기를 기대한다.





[ 목차 ]


1장 글쓰기의 기초

1. 글쓰기의 이해

2. 글쓰기의 첫걸음


2장 쓰기의 기본기

1. 어휘 쓰기

2. 문장 쓰기

3. 단락 쓰기

4. 어문규정의 이해


3장 글쓰기의 절차

1. 상황맥락 분석하기

2. 주제 정하기

3. 글감 만들기

4. 개요 작성하기

5. 서술하기

6. 고쳐 쓰기


4장 삶과 글쓰기

1. 대학에서의 글쓰기

2. 사회에서의 글쓰기

3.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5장 학문과 글쓰기

1. 인문학과 글쓰기

2. 사회과학과 글쓰기

3. 자연과학과 글쓰기

4. 예술과 글쓰기


6장 스피치와 토론

1. 스피치와 자기표현

2. 토론과 의사소통



[지은이] 원광대 <글쓰기 이론과 실제> 교재 편찬위원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습자들이 글쓰기를 어려워하기 때문에 글쓰기 과정에 대한 이해, 글을 쓰는 연습, 체계적인 글쓰기 교육을 가르치기 위해 교재 편찬위원회를 구성하였다.



[도서명] 글쓰기 이론과 실제

[지은이] 원광대 <글쓰기 이론과 실제> 교재 편찬위원회

46배판(188×257)/ 316쪽/값 10,000원

발행일 2012년 02월 25일

ISBN 978-89-5996-148-1 93710

[분야] 대학교재 >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