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재/글쓰기교육

교양과 계몽: 인문사회계열 글 읽기

by 양정섭 2018. 10. 30.

'리버럴'의 고전적 의미는 앞서 설명했지만, 그 현대적 의미는 "관용적일 것, 정통적 신념에 속박당하지 않을 것, 따라서 긍정적일 것"이다. "정통적 신념에 속박당하지 않는다"는 말은 무척 어려운 표현인데, '이건 이런 거니까 이렇게 해야만 한다'거나 '옛날부터 그래왔던 거니까 그런 식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식의 보수적인 관습으로부터 자유롭다는 뜻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리버럴 아츠, 그 '리버럴'이라는 말에는 과거의 고정과념에 방금 이야기한 것의 의미가 보태진 셈이다. 스스로 자기 자신을 위해 노력하는 교육, 자신을 자유로운 인산으로 키워내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바로 그 것을 가리켜 인문교양이라 말한다.

 -<왜, 지금 '교양'인가?> 중에서



[ 목차 ]


제1장 글쓰기와 교양


왜, 지금 '교양'인가? [서경식]

진화의 산물로서 인간과 교양 [하세가와 도시카즈]

막사발 예찬 [이규태]

인문학의 두 계기: 진리 탐구와 수사적 설득 [이태수]

지식과 실재의 형상화: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추구 [칼 포퍼]

보편적 복지주의, 약인가 독인가: 복지국가소사이어티 기획, <역동적 복지국가의 논리와 전략> [신동명・김대호]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 [임마누엘 칸트]


제2장 비판적 텍스트 읽기


오리-토끼/Duck-Rabbit Illusion [이어령]

'콜럼버스의 달걀'에 대한 문명사적 반론 [김민웅]

나, 고대 나온 남자야 [김의겸]

'고대 나온 남자' 칼럼, 패거리 문화 성찰 빠져 [황주환]

절망보다 분노하라, 울기보다 다짐하라 [정호승]

시인이여, 가장 마지막까지 울어라: 정호승 시인의 <동아일보> 칼럼을 읽고 [신형철]

아름다운 유사국가, 아저씨 [황진미]

토고가 이겼대도 좋았겠다 [김선우]


제3장 심화된 인식을 위하여


있는 것만 있고, 없는 것은 없을까요? [윤구병]

한국적 특수성을 토대로 일군 우리 여성학 [이재경]

생명: 중(中)과 소통의 생명성 [박재현]

'류영모' 동서회통의 종교관, 육성으로 만나다: 류명모 강의・박영모 풀이,『다석 마지막 강의』, 교양인, 2010 [손제민]

새마을의 열정, 욕망의 뉴타운: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운동>, 푸른역사, 2009 [황병주]

먹는 것은 정치적 행위다: <사육과 육식><도살장><잡식동물의 딜레마> [서해성]

변형 디자인과 기계의 진화, <트랜스포머> [진중권]

스타크래프트 [이택광]

한국의 아파트와 도시의 중간층 [발레리 줄레조]

한국 민주주의의 진면목, 국가주의 [박노자]

아동기(兒童期)라는 중독현상 [리 호이나키]


제4장 글쓰기의 윤리


잘못된 관행, 표절의 생태학 [최장순]

하버드대생 매학기 '학문정직성' 서명 [동아일보 특별취재팀]

각주(脚註) 사용법 [강준만]

졸업 논문이란 무엇이며 어디에 필요한가 [움베르토 에코]



[ 엮은이 ]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글쓰기교육위원회 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