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동아시아

북한 연출가들의 연극제작법: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by 양정섭 2025. 3. 24.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북한 연출가들의 연극 제작 원리와 무대화의 실제를 분석하다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북한 연극계에는 ‘성황당식’이라는 획일화된 공연양식이 아닌 다양한 연극적 논의와 연극제작법이 존재했다. 이 책은 그 점에 집중하여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북한 연출가들의 연극제작 원리와 무대화의 실제를 분석했다. 
주영섭과 라웅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토대를 둔 연출법을 탐색했다. 주영섭과 라웅은 스타니슬랍스키를 연극의 선생으로 언급했지만, 그들이 지향하는 조선의 연극을 밝혀보았다.
고기선은 북한에서 ‘인간 심리분석에 능숙하여 인물들을 복잡하고 입체적으로 구현하는데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평가받는 연출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기선은 연출은 숨어야 한다고 믿으며, 음악・음향과 같은 무대 요소가 전경화되어 관객과 소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안영일은 부교수이자 연출가로서 북한 연극의 토대를 세운 연출가이다. 그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계승자이면서 면밀한 희곡분석 작업을 가장 중시했다. 북한에서 세련되고 노숙한 연출로 인정받는 그의 사실주의적 연출법을 살펴본다. 
김덕인은 북한에서 2세대 분류되는 러시아 유학파이며, 스타니슬랍스키의 후기 작업인 신체적 행동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연출가이다. 그는 주요한 에피소드를 취하여 에츄드(즉흥극)를 활용하여 작품을 분석한다. 자신의 연출 수기를 남긴 김덕인의 연출법을 분석한다. 
한백남은 창작극과 번역극을 오가며 활발한 작품활동을 한 연출가이며, 북한 연극계의 연습 방식을 기록으로 남긴 이론가이다. 행동분석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그의 연출법을 살펴본다. 
리서향은 탁상분석과 행동분석을 혼용한 연출가이다. 초과제, 관통행동 등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연출법을 수용하면서, 배우에게 강압적으로 연기를 요구하지 않고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순익은 스타니슬랍스키를 발전적으로 적용한 연출가이다. 그는 인물과 연기에서는 소원, 공감, 초상의 용어를 활용하며 작품을 구축한다. 김순익의 작업을 그가 사용하는 용어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정리일은 공동창작을 통해 연극성의 실현을 시도한 연출가이다. 그는 작가와 함께 현장에 나가 실제 인물을 관찰하며 줄거리를 창작하고, 원형을 통해서 인물을 구축하며, 스펙터클을 강화한다. 
김인은 북한에서 ‘시대 정신에 대한 예리한 감각과 생활에 토대한 예술적 구상을 통하여 박력과 진취적이며 격정 높은 기백으로 형상을 심화시키는 연출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특히 체험 연기를 중요시하며 내면 연기를 ‘교묘히 가장한 아무것도 없는 연기’로 폄하한다. 
리철홍은 공동연출로 연극의 풍성함을 실현한 연출가이다. 그는 무대 도면을 보며 배우들이 어디에서 어떻게 움직여야 할지를 꼼꼼히 선으로 기재하는 계획적 연출가이다. 그의 연출법을 성격, 행동, 구조, 장치로 나누어 분석한다. 


북한 연출가들의 연극 제작법: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김정수 지음, 경진출판 발행)


[ 차례 ]

머리말

주영섭: 조선의 연기, 본질의 구현
1. 사실주의와 체험
1) 체계적 시스템
2) 체험하는 연기
2. 우리의 말과 몸짓
3. 본질 구현의 무대

라웅: 분석하는 연출, 체험하는 연기
1. 분석, 관찰, 선택
1) 인물과 장면의 목표 분석
2) 언어 분석을 통한 리듬 구축
2. 체험과 ‘나’로부터 출발
1) ‘나’로부터 출발
2) 정확, 논리, 일관
3. 해석하는 무대

고기선: 숨는 연출, 드러나는 무대
1. 연출적 희곡 분석
1) 목표와 핵심 대사 찾기
2) 장면의 사실과 사건 찾기
2. 입체적 인물 구축
1) 인물의 심리분석
2) 개성과 조화의 연기
3. 무대 요소의 조화
1) 연기하는 무대, 조명, 음악, 음향
2) 개별적 요소들의 극적 조화

안영일: 과학적 연출법의 구축
1. 과학적 분석: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2. 희곡분석: 의식적, 의지적, 사색적
1) 올바른 화술: 대사분석
2) 초과제, 관통행동, 호상관계
3. 인물 구축: 내면화와 체험
4. 무대구도: 집약과 함축

김덕인: 행동분석의 적극적 도입
1. 연극: 현실과 체험 이상
2. 탁상작업
1) 희곡낭독과 연출안 발표
2) 등장인물의 성격분석
3) 말하는 단계
3. 행동 연습
1) 만일 magic if
2) 에츄드의 활용
4. 무대 연습

한백남: 행동분석의 적극적 활용
1. 희곡의 창조적 분석
1) 대사는 옷을 짜는 ‘옷감’
2) 인물의 조건 분석
2. 유기적 훈련과 적용
1) 탁상 연습의 문제점
2) 움직이며 반응하는 연습

리서향: 탁상분석과 행동분석의 혼용
1. 희곡의 연극적 분석
1) 주제와 사상
2) 초과제와 갈등
3) 관통행동
2. 행동분석법의 적용
1) 즉흥극을 통한 장면 구축
2) ‘나’에서 ‘역’으로, ‘역’에서 ‘나’로
3) 상상력을 통한 관계 구축

김순익: 스타니슬랍스키의 발전적 적용
1. 희곡분석: 초과제, 관통행동, 기본사건
1) 연극적 초과제
2) 다양한 관통행동
3) 주제에 기여하는 기본사건
2. 인물과 연기: 소원, 공감, 초상
1) 소원과 행동
2) 정열과 공감
3) 초상과 알맹이

정리일: 공동창작과 연극성
1. 현장체험과 희곡창작
1) 현장체험을 통한 줄거리 창작
2) 원형을 통한 인물과 대사구축
2. 분석과 연극성의 강화
1) 사상과 초과제
2) 스펙터클의 강화

김인: 체현/체험과 행동분석법
1. 체현/체험의 연기
1) 탈(脫)심리주의
2) 사색과 관찰
2. 문학분석과 행동분석
1) 희곡과 인물
2) 감정과 성격
3. 무대연출: 시청각적 요소의 강화

리철홍: 공동연출로 연극을 풍성하게
1. 성격: 원형과 체험
2. 행동: 움직임의 근거 찾기
3. 구조: 리듬과 템포
4. 장치: 이미지에 기여

부록 1: 북한 연출가와 연출작품(1945~1965)
부록 2: <조선예술> 연극 관련 목록(1960년대까지)
부록 3: <문학신문> 연극 관련 목록(1960년대까지)
참고문헌


[ 지은이 김정수 ]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학 학사 이후,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대학로에서 작・연출로 활동했다. 이후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하면서,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에서 박사를 취득하고,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연세대학교 공연예술연구소 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평화와 문화아카데미 대표이다. 대학과 기관에서는 남북한 문화예술, 북한의 예술정치, 청소년 평화통일교육, 한반도 사회통합 등을 강의하고 있다. 
북한학 박사논문으로는 <북한 예술영화의 ‘행동’과 ‘감정’분석>(2018), 연극영화학 박사논문으로는 <한국연기에 있어서 화술표현의 변천양태 연구>(2007)가 있다. 최근 연구에는 <해방기 북한의 사실주의 연극론 연구>(드라마연구, 2023), <21세기 북한 연극 읽기>(한국예술연구소, 2018), <김정은 시대 예술영화에 나타난 일상정치>(문화정책논총, 2018) 등이 있으며, 단독 저서에는 ≪권력이행기 북한의 예술정치≫(2022), ≪화술로 읽는 우리연극: 태동에서 실험까지≫(2019), ≪북한 연극을 읽다: 김일성에서 김정은 시대까지≫(2019), 공동 저서에는 ≪동아시아의 무대와 연출≫(2024), ≪동아시아의 연극과 영화: 계승과 도전≫(2022), ≪동아시아의 여성과 무대≫(2021), ≪북한여성, 변화를 이끌다≫(2021), ≪교류와 소통의 남북문화예술 그리고 춤≫(2020), ≪21세기 북한의 예술≫(2020), ≪남과 북, 평화와 공존≫(2020) 등이 있다.


[도서명] 북한 연출가들의 연극제작법
[부제명]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지은이] 김정수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464쪽 / 값 28,000원
발행일 2025년 04월 10일
ISBN 979-11-93985-52-6 93680
분야: 예술 > 연극


#조선 #북한 #연출가 #연극 #연극제작법 #주영섭 #라웅 #고기선 #안영일 #김덕인 #한백남 #리서향 #김순익 #정리일 #김인 #리철홍 #스타니슬라브스키
#도서추천 #희망도서 #도서관 #북카페
#좋아요 #댓글 #공유 많이 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