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찬 읍지 ≪밀주지리인물문한지≫ 최초 완역
≪국역 밀주지리인물문한지≫는 밀양의 지리, 인물, 시문을 담은 조선시대 사찬 읍지인 ≪밀주지리인물문한지≫를 ‘최초’로 ‘완역’한 역서이다. 이 책은 독자들이 밀양에 대한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였다.
첫째, 읍지의 내용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먼저 번역문을 제시한 뒤 원문과 원전도 함께 수록하였다. 원전은 종서(縱書) 체제로 되어 있으나, 번역문와 원문은 편의상 횡서(橫書) 체제로 편집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그리고 소자쌍행(小字雙行)으로 된 작은 글씨는 편의상 ‘≪ ≫’로 표기하여 원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번역문은 현대어를 원칙으로 하였고, 해석에 도움이 되고자 어려운 용어나 전고는 각주를 붙였다. 셋째, 본문에 소개된 시문은 원출전을 찾아 밝혔고, 혹 원전에 오자(誤字)가 있는 경우는 일일이 고쳐 표기하였다. 넷째, 지명 중 이칭이 있거나 해당 지역에 널리 쓰이는 이름이 있는 경우는 괄호 속에 덧붙였다.
이상은 ≪국역 밀주지리인물문한지≫의 독자들이 밀양의 지리와 인물, 전통과 역사를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이 책의 장점이라 하겠다.
≪국역 밀주지리인물문한지≫는 지리편과 인물편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주지리>는 12개 면의 연혁과 지리 정보를 담고 있다.
부내면은 읍치 공간으로 고을의 설치와 연혁, 군명, 성씨, 토산, 읍성, 장군정, 아사, 객사, 사창, 관청, 대동청, 군기청, 부사, 안일반, 서역소, 노형소, 무봉산, 영남루, 능파당, 침류당, 공진관, 요선관, 납청당, 연훈당, 전월당, 신당, 옥, 연당, 향사당, 성황사, 사마소, 여제단, 사직단, 누교, 율수, 사문교, 운례수, 마암, 용두산, 우도, 기우연, 향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내면은 수남리, 가리산, 가곡, 이창원, 용성리, 승벌, 죽담, 장선, 전천, 월영, 춘복, 죽산, 구대, 교동, 수북리, 남정원, 북정리, 북정원, 송정리, 사랑촌, 삽포리, 병구, 조화현, 남산, 영현, 전삽포, 억석암, 후삽포, 송악, 대동, 분제곡, 풍류동, 지동, 용척, 감천리, 평촌, 월산, 용가역리, 저대리, 운전, 오례리 등을 수록했다.
부북면은 덕곡리, 적항리, 대항리, 화악산, 봉천사, 위량을 수록했다.
상동면은 평릉리, 가실, 신원, 구칠, 뇌암, 금곡원, 유천관, 분정, 고답리, 박연정, 사지, 조방장대, 마전암, 오곡 등을 수록했다.
중동면은 촌화리, 천화령, 구연, 벌원, 희곡, 실혜산, 석골사, 석동, 대암, 고예, 재악산, 영정사, 안영암, 금강암, 탁영당, 반야암, 사촌리, 단장리, 금곡리, 남가곡, 엄광사, 양덕, 다원, 와야, 등연, 자씨산 등을 수록했다.
하동면은 금음물리, 광탄, 박근내연, 종병탄, 만어산, 만어사, 삼랑, 무흘역리, 율동리, 안태리, 부암, 작원 등을 수록했다.
부남면은 운례리, 고곡, 이동음, 조화원, 금동역리, 무량원, 호현, 마산원, 팔량적원, 백족리, 조음리, 구법, 수산현, 덕민정, 남수정, 수산진, 백산리, 멱례리, 용진, 해양강, 해양원, 정남정, 파서막, 양동역리 등을 수록했다.
상서면은 이궁대, 고강정, 금포, 석만, 대고지, 구령리, 신촌, 하양곡리, 신곡, 시영곡, 종남산, 대곡리, 반월리, 상양곡, 적동리, 조곡, 고사을지, 인교, 성덕원, 둔지리, 손예갑, 임유정 등을 수록했다.
하서면은 조야산리, 수안역리, 적촌, 운정, 우령산, 마의례, 신화, 사야현, 판곡, 내진리, 곡량동, 죽리, 지사적, 근개리 ,소고율, 안마곡, 호법현 등을 수록했다.
청도군 지역은 풍각현, 현북면, 현남면, 현동면의 지리와 방리, 마을의 특징을 수록했다.
그리고 <밀주 인물>은 고려 초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밀양을 빛난 명신, 향현, 효자, 효부, 열녀, 충렬, 명장, 명현, 사환, 밀양부사 등을 수록했다.
[ 출판사 서평 ]
밀양의 천년 역사와 문화는 조선시대 편찬된 밀양지를 근간으로 서술되어야 한다. 전 근대 밀양지는 15세기의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밀양도호부>, 경상도속찬지리지가 있고, 17세기에는 신익전의 ≪밀양지≫가 찬술되어 밀양 인문지리의 윤곽을 알 수 있다. 또 18세기에도 전통적인 읍지 체재를 갖춘 ≪밀양읍지≫, ≪밀양부읍지≫ 등이 지속적으로 편찬되어 밀양의 변화된 정보를 추가했다.
≪국역 밀주지리인물문한지≫는 편찬자는 알 수 없는 사찬으로 관찬 읍지의 성격을 지리, 인물, 시문의 세 항목으로 분류해 기존 읍지 체제와 성격을 달리 하고 있다. ≪국역 밀주지리인물문한지≫는 서명이 동일한 읍지가 여럿 존재하는데 문자 출입이 다소 있고, 대부분 19세기 때 필사가 이루어졌다. 관찬 읍지의 주요 내용을 취사선택해 수록하면서도 하위행정구역의 인물과 시문을 보완한 점에서 특색이 있다. 관찬과 다른 읍지의 성격인 관계로 ‘밀주구지’라는 이름으로 통용되었다. 밀양의 연혁과 문화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데 관찬 읍지와 함께 필수적으로 참고해야 할 읍지가 바로 ≪국역 밀주지리인물문한지≫인 셈이다.
[ 차례 ]
일러두기
역자 서문
≪밀주지리인물문한지≫의 해제
(국역) 밀주지리인물문한지(密州地理人物文翰誌)
밀주 지리
|부내면(府內面)|
|부내면(府內面)| 방리(坊里)
|부북면(府北面)| 방리(坊里)
|상동면(上東面)| 방리(坊里)
|중동면(中東面)| 방리(坊里)
|하동면(下東面)| 방리(坊里)
|부남면(府南面)| 방리(坊里)
|상서면(上西面)| 방리(坊里)
|하서면(下西面)| 방리(坊里)
|풍각현(豐角縣)| 방리(坊里)
|현북면(縣北面)| 방리(坊里)
|현남면(縣南面)| 방리(坊里)
|현동면(縣東面)| 방리(坊里)
밀주 인물
|명신(名臣)|
|향현(鄕賢)|
|효자(孝子)|
|효부(孝婦)|
|열녀(烈女)|
|충렬(忠烈)|
|명장(名將)|
|명현(名賢)|
|사환(仕宦)|
|관안(官案)|
(원문) 밀주지리인물문한지(密州地理人物文翰誌)
密州地理
|府內面|
|府內面| 坊里
|府北面| 坊里
|上東面| 坊里
|中東面| 坊里
|下東面| 坊里
|府南面| 坊里
|上西面| 坊里
|下西面| 坊里
|豊角縣| 坊里
|縣北面| 坊里
|縣南面| 坊里
|縣東面| 坊里
密州人物
|名臣|
|鄕賢|
|孝子|
|孝婦|
|烈女|
|忠烈|
|名將|
|名賢|
|仕宦|
|官案|
(원전) 밀주지리인물문한지(密州地理人物文翰誌)
[ 국역・주해 권정원 ]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조교수. 부산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BK21 계약교수, 점필재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이덕무의 명청문학에 대한 관심의 추이 양상>, <이덕무의 경릉파 인식과 수용>, <조선신보 한문기사의 계몽적 역할과 의미> 등이 있고, 역서로는 ≪책에 미친 바보≫, ≪완역 소년한반도≫(공역), ≪국역 조선신보≫(공역), ≪완역 대조선독립협회회보≫(공역) 등이 있다.
[도서명] 국역 밀주지리인물문한지집
[국역・주해] 권정원
[해제・감수] 하강진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400쪽 / 값 25,000원
발행일 2024년 02월 25일
ISBN 979-11-92542-79-9 93090
분야: 인문 > 한국학
#밀주 #밀양 #행정구역변천 #지명변화 #방리 #지리 #인물 #문한 #지역사 #향토사학자 #문화유산해설사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시인의 선시(禪詩)_최일의 지음 (1) | 2024.06.04 |
---|---|
표점 번역 삼국사기__김부식 지음_정인갑 표점 번역 (1) | 2024.04.26 |
역주해 논개 삼장사 시문 총집__제2차 진주성전투 430주년, 절개를 논하다 (1) | 2024.02.13 |
한글학(김슬옹 지음)_한글의 모든 것을 담은 한글학 총론 (0) | 2023.10.04 |
키워드로 여는 현대 중국(김창경 공봉진 이강인 김태욱 지음)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