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고1 때부터 한글운동을 해온 김슬옹 씨가
세 개의 박사학위를 받은 끝에
한글학 집대성!
한글운동계에서 전설적인 한글운동가로도 유명하지만 한글 관련 박사학위를 세 개를 받는 등 학술 업적도 뛰어나 세종문화상 학술 부문 대통령상(2021)을 받은 바 있는 한글학자 김슬옹 씨가 한글 이론을 집대성을 한글학을 한글 반포 577돌, 한글 창제 580돌을 앞두고 ≪한글학≫을 펴냈다. 108번째 저술(70권 공저)이기도 하다.
≪한글학≫은 모두 15장으로 구성되어 한글학의 개념부터 한글 명칭론, 한글 철학론, 한글 세계화론 등 한글 관련 모든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저자는 한글운동가로서 한글의 의미와 가치를 가장 객관적인 학문으로 이론적 근거를 규명하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고 한다.
저자는 또한 학문과 삶을 철저히 일치시켰던 세종, 헐버트, 주시경, 최현배의 뒤를 잇고자 이 책을 저술했다고 한다. 한글학의 뿌리는 세종이 펴낸 “훈민정음” 해례본인데 해례본 연구로 세 번째 박사학위를 연세대 국문과에서 받았고 이 책에서 헐버트를 한글 중시조로 조명하기도 했다. 특히 주시경의 뒤를 이은 최현배의 ≪한글갈≫(19442)이 이 책의 이정표 역할을 했음을 강조하고 책 앞에 이 책을 외솔 최현배 선생께 바친다는 헌사를 남겼다.
한글 운동과 한글 연구의 바탕을 세우다
한글운동가들에게는 한글운동의 이론 근거를,
한글학자들에게는 실용적 당위성을 제시해줄 것
이 책은 한글학의 필요성과 구성 원리를 세워서 한글학의 특성과 내용을 구성하여 한글학을 바로 세우는 데 있다. 이런 저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맥락 분석 원리에 따라 한글학을 15장으로 구성하고 분야별 특성과 내용을 규명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부터 3장까지는 한글학의 기본이 되는 개념과 특성, 내용구성 원리 등을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한글’ 특성 자체에 한글학의 필요성이 내재하여 있고 이를 통해 한글학의 개념과 ‘한글학’ 연구사를 규명하였다. 2장에서는 한글학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을 규명하고 맥락 중심 분석론에 따라 한글학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3장에서는 한글학의 가장 기본인 한글 명칭과 한글 관련 용어들의 정확한 개념과 유래, 구별 등을 논하였다.
4장과 5장, 6장에서는 한글의 기원인 훈민정음 창제 주체와 창제자의 문자에 담긴 철학과 한글 교육론을 분석하였다. 곧 4장에서는 세종 단독 창제를 부정하는 비친제설의 맥락을 분석하고 단독 창제 논의를 더욱 분명하게 논증하였다. 5장에서는 한글 철학론에서는 동양의 보편 철학이기도 한 음양오행론이 훈민정음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맥락 중심으로 규명하였다. 훈민정음 담긴 음양오행 철학은 사람 중심의 철학이었음을 밝혔다. 6장에서는 한글에 담긴 융합적 내용과 가치를 가르치는 한글 융합 교육론을 교수법 중심으로 밝혔다.
7장, 8장, 9장은 주로 실용적인 측면에서의 한글학 특성과 내용을 밝혔다. 7장의 한글 맵시(typography)은 한글 글꼴론과 한글 디자인론, 한글 서체론 등의 맥락과 주요 특성을 ‘꼴, 소리, 뜻, 실체’의 사분법을 통해 밝혔다. 8장에서는 한글문화의 개념, 가치와 더불어 확산 전략을 분석했다. 9장 한글 산업화론에서는 한글 산업화의 기반인 한글의 예술성과 서사성을 바탕으로 한글 산업의 효용성과 한글의 브랜드 가치 높이기, 디지털 중심의 한글 산업화 전략과 방안을 알아보았다.
10장 한글 역사론에서는 언문일치 중심의 국어사 시대 구분을 통해 실질적인 한글 역사를 규명했다. 근대 한글 역사를 새롭게 규명했다. 11장 한글 세계화론에서 저술 과정에서 새롭게 개발한 외국인용 한글 음절표 중심의 한글 교육 을 통한 한글 세계화 전략을 살펴보고, 15세기 훈민정음을 철저히 적용하고 확장하는 전략으로서의 세계화 방안을 세워 보았다.
마지막으로 12장, 13장에서는 정부 중심의 정책론과 민간 중심의 운동론을 살펴 실천과 실행 중심의 한글학 구성 내용을 따져 보았다. 12장 한글정책론에서는 국어기본법의 역사적 맥락을 훈민정음 정신과 조선어학회 정신으로 보고 이런 정신을 바탕으로 국어기본법을 강화하는 전략을 알아보았다. 13장 한글 운동론에서는 한글 운동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언어학적 타당성을 밝히고 한글 운동사를 통해 한글 운동이 한글을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지를 밝혔다.
14장에서는 헐버트가 왜 한글의 중시조인지를 처음으로 밝혔다. 헐버트의 한글, 한국어 연구가 국어사나 국어학사에서 매우 중차대함을 논증했다.
15장 결론에서는 모든 내용을 종합하여 한글학이 융합학으로서 어떤 가치가 있고 실용적 영향력이 있는지를 갈무리했다.
한글학은 단순한 개별 문자학을 넘어 일종의 융합학문으로서 독자적 학문 체계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글학은 한글의 융합적 가치를 드러내고 나누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는 한글학을 세움으로써 한글의 제대로 된 가치를 규명할 수 있다.
[ 책 속으로 ]
“한글은 점과 원과 선만으로 이루어진 간결한 기하학적인 문자이면서도 발음기관을 관찰하고 분석한 과학을 반영한 과학의 문자이다. 과학은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으로서의 과학, 자연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과학, 자연 현상 그 자체의 법칙을 탐구하는 수학・물리학・화학・생물학・지구 과학 따위, 이런 과학을 실생활에 응용하는 실용과학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런 다양한 과학의 속성과 실체가 실제 한글에 반영되어 있다.”(26~27쪽)
“한글 산업화의 기반은 역시 한글이라는 문자 특성에서 비롯된다. 곧 한글의 기하학적인 확장성과 그에 따른 미적 가치, 문자 미학, 문자 조형의 아름다움 그리고 문자를 통한 상상과 이야기의 생산성, 문자와 다른 요소와의 융합의 무한성, 사람 중심의 인문학적인 포용성 등이다. 실제 한글 산업화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한글의 예술성과 서사성이다.”(326쪽)
“‘한글학’이라는 학문을 세우기 위해 먼 길을, 오랜 시간을 달려왔다. 그러나 그 길은 홀로 이룩한 길이 아니었다. 한글(훈민정음, 언문)을 창제하고 반포한 이가 터 잡아 놓은 튼튼한 바탕길이 있었고, 최석정・신경준・유희・헐버트・주시경 등 선구자들이 만든 길이 있었다. 가장 어두운 일제강점기에 나온 최현배의 ≪한글갈≫은 든든한 이정표가 되었고, 한글에 대한 수많은 담론을 만들어 온 각종 저술들, 실제 한글을 사용해 온 이들의 소중한 역사는 튼실한 학문 탐구의 거름이 되었다.”(559쪽)
[ 출판사 서평 ]
이 책은 필자 김슬옹(세종국어문화원 원장)이 45년간 한글운동을 해오면서 현장에서 느끼고 경험하고 생각했던 것들을 체계화하고 이론으로 정리해 한글 운동과 한글 연구의 바탕을 세운 책이다. 한글운동가들에게는 한글운동의 이론 근거를, 한글학자들에게는 실용적 당위성을 제시해줄 것이다.
이 책은 인문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첫째, 학문 분야에서 그동안 축적해 온 한글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담론을 학문 체계를 통해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이다. 한글은 500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하고 있지만, 주류 문자로서 제 기능을 온전히 발휘해 온 역사는 짧다. 따라서 한글에 대한 각종 연구와 학문적 탐구에 본 저서가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용 분야에서 이번 연구 결과가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한글은 현재 한류 열풍을 타고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어와 더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특히 한글의 예술적・융합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글 산업을 더욱 발전시키는 학문적, 실제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신적, 문화적 측면에서 이번 연구 성과가 한글과 한글학의 보편적 가치와 내용을 더욱 확산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한글에 담겨 있는 보편적 과학, 철학 가치뿐만 아니라 인문적 가치는 한국의 자존감을 넘어 인류애의 보편적 가치의 자존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글학은 단순한 개별 문자학을 넘어 일종의 융합학문으로서 독자적 학문 체계로 구성될 수 있다. 한글학은 융합학 관점에서 다양한 학문 담론으로 풍성해져야 한다. 이 책이 그런 학문 담론을 조성하는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 차례 ]
책을 내면서
1장 한글학의 개념, 필요성 그리고 주요 특성
1. ‘한글학’은 왜 필요한가?
2. ‘한글’ 특성으로 본 한글학의 필요성
3. 한글학의 개념
4. ‘한글학’의 기원과 연구사
5. 한글학의 정립을 위하여
2장 한글학의 특성과 내용 구성 원리
1. ‘한글학’의 학문 체계를 위하여
2. ‘한글’의 역사적 배경
3. 한글학의 특성
4. 맥락 중심 분석론과 내용 구성 원리
5. ‘한글학’의 세움
3장 한글 명칭론과 한글 관련 용어론
1. ‘한글’ 명칭의 역사와 맥락
2. 연구사
3. ‘한글’ 작명과 의미
4. 한글 관련 명칭들
5. 한글 낱글자 명칭론
6. ‘국어・한국어’ 관련 용어론
7. 우리 말글 구별
8. ‘한글’ 관련 명칭과 개념 정립
4장 한글 창제 주체론
1. 한글은 누가 창제했는가?
2. 연구사
3. 비친제설 계열과 그 의미
4. 세종 단독 친제설과 근거
5. 협찬설에 대한 반증: 조선시대 양반들의 한문 보편주의와 절대주의
6. 한글 창제 주체와 역사적 진실
5장 한글 철학론
1. 훈민정음과 음양오행 철학
2. 연구사
3.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타난 음양오행론의 배경
4. 삼재음양오행론에 대한 기본 의미
5. 초성의 음양오행 방위의 의미
6. 중성자 오행방위와 수 지정의 의미
7. 동양 보편철학으로 바라본 훈민정음 해례본
6장 한글 융합교육론
1. 한글 융합교육의 필요성
2. 융합교육의 배경과 융합교육의 주요 속성
3. “한글 홍보대사로 날아보자” 교수-학습 과정안(수업안)
4. 한글 홍보대사로서의 역량 키우기
7장 한글 맵시론
1. 한글 맵시 연구의 중요성
2. 연구사
3. 한글 글꼴 역사
4. 한글 글꼴론
5. 한글 서체론
6. 한글 디자인론
7. 한글 통합 맵시론
8. 한글 맵시의 나눔과 확산
8장 한글문화론
1. ‘한글문화’라는 용광로
2. 한글문화의 개념
3. 한글문화의 가치
4. 한글문화 가치 확산 전략
5. ‘한글문화’의 융합적 가치
9장 한글 산업화론
1. 한류 시대 한글 산업화의 길
2. 한글산업 연구사
3. 한글산업 분류
4. 한글 산업화의 기반: 한글의 예술성과 서사성
5. 한글산업의 효용성과 한글의 브랜드 가치 높이기
6. 디지털 중심의 한글 산업화 전략과 방안
7. 한글 산업화는 한글 브랜드 극대화 전략
10장 한글 역사론: 언문일치에 따른 시대 구분론
1. 한글 역사 정립을 위한 국어사 시대 구분의 필요성
2. 국어사, 국어문법사, 국어생활사의 상관 관계
3. 언어의 근대성과 언문일치체
4. 생활사 중심의 국어사와 한글 역사
11장 한글 세계화론
1. 한글 세계화를 위한 한글 전략
2. 한글(훈민정음) 세계화에 대한 쟁점들
3. 현대 한글을 기반으로 하는 한글 세계화
4. 15세기 훈민정음을 기반으로 하는 한글 세계화 전략과 실제
5. 한글음절표는 한글 세계화의 틀
12장 한글정책론
1. 한글정책과 국어기본법
2. 연구사
3. 훈민정음 해례본 정신으로 본 국어기본법의 의미
4. 조선어학회 정신으로 본 국어기본법의 의미
5. 국어기본법 내용 담론과 과제
6. 국어기본법은 세종과 훈민정음 정신을 가꾸는 법
13장 한글운동론
1. 한글운동의 개념과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사
3. 한글운동의 자리매김
4. 한글운동사
5. 한글운동은 한글 가치를 나누는 한글진흥운동
14장 한글 중시조론: 헐버트, <The Korean Language>(1889)의 한국어사・한국어학사적 의미
1. 헐버트 재평가 필요성
2. ‘한글’에 대한 헐버트(1889) 평가와 의미
3. ‘한국말’에 대한 헐버트(1889) 평가와 의미
4. 헐버트(1889)의 한국어사와 연구사적 의미
5. 외국인 헐버트가 한글 중시조가 된 역사적 맥락 새기기
15장 ‘한글학’의 세움과 나눔
1장 한글학의 개념과 필요성, 주요 특성
2장 한글학의 특성과 내용 구성원리
3장 한글 명칭론과 한글 관련 용어론
4장 한글 창제 주체론
5장 한글 철학론
6장 한글 융합교육론
7장 한글 맵시론
8장 한글문화론
9장 한글 산업화론
10장 한글 역사론
11장 한글 세계화론
12장 한글정책론
13장 한글운동론
14장 한글중시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 지은이 김슬옹 ]
1977년 철도고 1학년 때 최현배 선생의 ≪우리말 존중의 근본 뜻≫, ≪한글갈≫을 읽고 한글운동가와 한글학자의 길을 걷기 위해 연세대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학사, 석사, 박사를 마쳤고 38회 외솔상을 받았다.
현재 세종국어문화원 원장, 한글닷컴연구소 소장으로 봉사하며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객원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한글운동 공로로 문화체육부장관상(2013), 한글학 공로와 박사학위 세 개 받은 학술 연구 업적 공로로 세종문화상 대통령상(2022)을 받았다. 세계 한류문화에 이바지 한 공로로 대한민국 한류대상(2019), 세계한류문화공헌대상(2022) 등을, 시각장애인 소리책 제작 봉사로 연세봉사상과 국가대표 33인상을, 20여 년간의 독서논술운동으로 독서문화출판진흥대상을 받았다.
연세대 재학시절(1984) ‘동아리’라는 말을 전국에 최초로 보급하였으며, 간송미술문화재단 요청으로 ≪훈민정음≫ 해례본 원본을 최초로 직접 보고 해설하였으며 한글, 우리말 관련 108권을 저술하였고(공저 70권) 14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대중 칼럼 천여 편을 발표하였다.
교보 코칭센터 조사 가장 듣고 싶은 강사 1위에 선정되었고, 강사 신분으로 대학강의 평가 1위상을 2회 받았다.
[도서명] 한글학
[부제명] 한글 창제 580주년 기념
[지은이] 김슬옹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692쪽 / 값 45,000원
발행일 2023년 10월 09일
ISBN 979-11-92542-68-3 93710
분야: 인문 > 국어국문학 > 국어학
#한글학 #세종대왕 #문자학 #훈민정음 #언문 #융합학문 #한글철학론 #한글문화론 #한글교육론 #한글맵시론 #한글산업화론 #한글역사론 #한글정책론 #한글운동론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 밀주지리인물문한지 (5) | 2024.03.15 |
---|---|
역주해 논개 삼장사 시문 총집__제2차 진주성전투 430주년, 절개를 논하다 (1) | 2024.02.13 |
키워드로 여는 현대 중국(김창경 공봉진 이강인 김태욱 지음) (0) | 2023.07.31 |
현대시의 형태와 구조(학술19) (0) | 2023.05.15 |
일본 여성작가선__고대부터 근대까지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