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의 새로운 접근
언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공간에 따라 의사소통의 기능을 담당한다. 말 속에는 그 말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활과 의식이 담겨 있다. 말이 변화하는 모습을 탐구하는 일은 인간의 삶 자체를 탐구하는 것과 같은 원리를 갖는다.
국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일은 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삶과 의식을 탐구하는 일이 된다. 이 책은 국어 문법사, 어휘사, 국어 계통과 문자사 등을 대상으로 여러 학자들이 주제를 정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탐구한 성과를 모아놓은 책이다. 국어 문법사에서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 형태소 ‘-오-’를 비롯하여, 문법화론, 통사 구조의 변화 등을 다루고자 하였고, 어휘사에서는 흥미를 끌 만한 개별 어휘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선보이고자 하였다. 국어의 계통 문제나 차자 표기법, 문체의 문제 등은 학계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던 주제이기는 하지만, 이 또한 충실한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 목차 ]
제1부 국어 문법사 연구
[전정예] 선어말어미 ‘-오-’ 연구론
[정수현] ‘-오-’ 연구사
[백낙천] 언간에 나타난 의도형 접속어미의 형태론
[안주호] 현대국어 연결어미 {-면서}의 문법화 과정
[박형우] 15세기 ‘말다’ 부정문 연구
[허원욱] 중세국어 인용구조
[윤혜영]『명의록 언해』에 나타난 인용구조 연구 : ‘존현각 일기’를 중심으로
[박철주] 명사구내포문에서의 ‘-오-’와 동명사형어미의 기능에 대한 연구 : 대명률직해를 중심으로
[최대희] 17세기 국어의 ‘-ㄴ/ㄹ+것-’ 구조 연구
[박진호] 韓國語 文法史에서 助動詞 槪念의 定立을 위하여
[김정호] 20세기 초기 국어 청자 높임법의 변화에 대한 통계적 분석 : 대화 참여자의 성별 요인을 중심으로
제2부 국어 어휘사 연구
[박동근] 17세기 흉내말의 어휘 구조 연구
[고은숙]『관북유람일기(關北遊覽日記)』의 어휘 고찰
[황선엽] 쓸모 있는 가죽나무
[김양진]『언간의 연구』(1986/1991, 김일근) 소재 윤선도 언간 2편의 종합적 검토
[최중호] ‘고개’의 어원 연구
[최미현] 梔子의 명칭, '지지'와 '치'에 대하여
[고경민] 근대계몽기 한국어 학습서의 품사분류 체계와 기준 : 전통적인 품사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이소영]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휘 계 변화
제3부 국어 계통, 문자사 연구
[김슬옹] 삼국시대 언어의 동질설・이질설과 한국어 계통론 : 세 설의 상관 관계
[김유범] 고대 이집트의 히에로글리프를 통해 본 한국의 차자표기법 : 소리보조글자와 말음첨기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허재영] 문자 사용 방식에 따른 국어 문체 변천사
[ 지은이 ]
전정예 건국대학교
고경민 건국대학교
고은숙 동국대학교
김슬옹 동국대학교
김양진 고려대학교
김유범 고려대학교
김정호 건국대학교
박동근 건국대학교
박진호 서울대학교
박철주 서강대학교
박형우 한국교원대학교
백낙천 배재대학교
안주호 순천향대학교
윤혜영 건국대학교
이소영 건국대학교
정수현 건국대학교
최대희 건국대학교
최미현 동의대학교
최중호 동의대학교
허원욱 건국대학교
허재영 단국대학교
황선엽 성신여자대학교
[도서명] 새로운 국어사 연구론
[지은이] 전정예, 정수현, 백낙천, 안주호, 박형우, 허원욱, 윤혜영, 박철주, 최대희, 박진호, 김정호, 박동근, 고은숙, 황선엽, 김양진, 최중호, 최미현, 고경민, 이소영, 김슬옹, 김유범, 허재영
발행일 2010년 04월 15일
ISBN 978-89-5996-081-1 93710
값 30,000원 / 신국판 양장 / 548쪽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학의 이해와 연구 (0) | 2021.02.22 |
---|---|
국어 통사의미론의 몇 측면: 논항구조 접근 (0) | 2021.02.21 |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접속문과 내포문(김지홍 지음) (0) | 2021.02.18 |
훈민정음 창제와 연구사(Invention of Hunminjeongeum and the History of Studies on it) (0) | 2021.02.17 |
청년 김현과 한국문학(The Status of Young Kim Hyun in Korean Literature) (0)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