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동아시아

훈민정음 창제와 연구사(Invention of Hunminjeongeum and the History of Studies on it)

by 양정섭 2021. 2. 17.

국어학총서, 그 세 번째는 훈민정음이다!!

 

훈민정음에 대한 무수한 논의와 연구의 脈을 짚다

 

우리의 고유문자인 훈민정음(한글)과 이를 해설한 <훈민정음>에 대한 논의와 검토는 아직도 여러 면으로 수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이러한 논의의 하나로 씌어진 것이 아니다. 국어학을 전공하였거나 훈민정음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젊은 학도들을 위하여 오늘날까지 학계에서 논의되어 온 사항들에 관한 핵심만을 추려내어 훈민정음 연구의 맥을 짚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책을 통해 훈민정음 창제, 한글로 쓰인 문헌과 외국어 어음 표기에 활용된 한글 사용의 확대, 한글 창제 이후 개화기까지의 한글에 대한 연구와 변천, 개화기 이후의 훈민정음 정리 등 훈민정음 연구와 변천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이다.

 

 

훈민정음에 관한 사건을 재해석하다

 

우리는 '훈민정음은 1443년 세종대왕에 의해 창제되었다'고 알고 있다. 좀 더 덧붙이자면, 세종의 든든한 지원군인 집현전 학자들을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 후, 사대주 문신들 사이에서 환영받지 못했다는 것 또한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오히려 훈민정음의 창제 전후로 가장 크게 반발한 것은 집현전 학자들이었다. 이러한 정황을 '정인지 서문'과 '최만리 상소문'을 통해 정리하여 해석하였다.

그 후 약 60년이 지난, 1504년 연산군을 비방하는 '언문 익명서' 투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연산군은 한글 사용을 금하여 한글의 발달을 크게 탄압하였다. 때문에 연산군은 여러 악행에 더하여 한글 사용의 확대를 방해한 죄인으로까지 낙인 찍혀 왔다. 과연 연산군의 한글 탄압의 진실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한글에 관련된 연구뿐 아니라, 역사적 사건에 대한 재해석까지 함께 이 책에서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방대한 연구 자료를 싣다

 

한국어, 특히 음운사 연구에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저자는 그 명성만큼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 책을 엮었다. <월인석보(月印釋譜)>의 첫머리에 실려 새 글자의 사용법에 대한 지침서의 역할을 하였던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전문을 비롯하여 한글로 쓰인 여러 문헌을 영인하여 실었다. 한글은 음소문자라는 특징을 살려 그 시대에도 이웃나라 말(중국어, 만주어, 일본어, 몽골어 등)의 어음표기에 활용되었다. 그에 따른 자료도 이 책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와 연구사(강신항 지음, 경진출판 발행)

 

 

[ 목차 ]

 

1장 훈민정음(한글) 창제

1. 민족 고유문자와 '한글'

2. 문자로서의 '한글'의 성격과 <해례본>

3. 한글 창제 목적

4. 한글 창제 과정

5. 중국음운학의 흐름과 한글

6. 조선 초기 사상계 동향과 <성리대전>의 영향

 

2장 <훈민정음해례본>을 통해서 본 한글

1. 예의편

2. 해례편

3. 훈민정음 창제와 <동국정운>

 

3장 한글 사용의 확대

1. 한글로 쓰인 문헌

2. 외국어 어음 표기에 활용된 한글

 

4장 한글 창제 이후의 한글에 대한 연구와 변천

1. 한글과 연산군

2. <훈몽자회> 범례의 언문자모

3. 실학적 학풍 시대의 한글과 국어 연구

 

5장 개화기의 훈민정음 연구

1. 개화기의 국어·국문 애용열과 연구

2. 개화기 학자들의 연구 업적

 

6장 개화기 이후의 훈민정음 정리

1. 개화기 이후의 국어·국문정리

2. 국문정리운동과 조선어학회

 

 

[지은이 강신항]

 

1930년 5월 8일 충남 아산 출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석사·박사

1964~1995 성균관대학교 교수

1995~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국어학회 회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회장, 사단법인 한국어문회 이사장 등 역임

대북과 동경에서 연구(1970.01~1971.09)

대북국립정치대학, 낙양외국어대학, 북경중앙민족대학에서 한국어학 강의

저서로 <국어학사>, <사성통해연구>, <훈민정음연구>, <계림유사 <고려방언>연구>, <조선관역어연구>, <현대국어어휘사용의 양상>, 

<한국의 운서> 등이 있으며, 대표논문으로 <한국한자음에 끼친 한역불경의 영향> 등 100여 편이 있다.

2008 대한민국학술원상 등을 수상하였다.

 

 

[도서명] 훈민정음 창제와 연구사(Invention of Hunminjeongeum and the History of Studies on it)

[지은이] 강신항

발행일 2010년 01월 30일

ISBN 978-89-5996-072-9 93710

 

신국판(양장) / 264쪽 / 1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