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재/글쓰기교육

한국어 쓰기 교육의 이론과 적용

by 양정섭 2021. 9. 3.

쓰기 교육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한국어 교수자들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쓰기를 교수할 때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방법들을 제안한 안내서

쓰기는 필자가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주어진 사회・문화적 상황 맥락 안에서 의미를 재구성하여 적합한 문자 언어의 형태로 표현하는 일련의 의사소통적 행위이다. 쓰기는 매우 복잡한 절차로 수행되는데, 특히 쓰기의 주체인 필자에게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바탕으로 의미를 생성하고 조직하여 재구성하는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과 함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언어적 표현 능력이 요구된다. 
한국어를 목표어로 학습하는 학습자들은 일상생활과 학업, 사회생활을 위해 주어진 주제를 확인하여 자신의 기존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의미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의 지식이나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이 속한 담화 공동체의 환경과 맥락 안에서 재구성한 내용 정보를 정확한 문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자들은 쓰기를 구성하는 객관적인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이나 그것을 수용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에 충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한국적 사고방식이나 관습,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서 사회‧문화적 상황 맥락을 고려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쓰기에 대한 고민을 호소하게 된다. 이러한 고민은 학습자만의 것이 아니라 한국어 교수자들의 고민이기도 하다. 
이 책은 쓰기 교육에 대해 늘 고민하는 한국어 교수자들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쓰기를 교수할 때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방법들을 제안한 안내서이다. 
쓰기 교수 방법을 적용하기 전에 1부에서는 쓰기 이론의 흐름을 통해 쓰기 관점을 이해하고 관점에 따른 구성요소와 쓰기 지식을 파악한다. 그리고 쓰기 이론의 관점을 통합하고 쓰기 핵심 구성요소를 체계화하고, 그 구성요소와 필요한 지식을 연계한 통합적 쓰기 이론을 제시한다. 2부에서는 다양한 쓰기 이론을 적용한 구체적인 쓰기 교수 방법을 제안한다. 모델텍스트와 협력 활동을 적용한 한국어 쓰기, 형태 초점 접근법의 문법 교수를 활용한 한국어 통제 작문, 복합형태 ‘기 위해(서)/위한, 을/를 위해(서)/위한’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문어체 연결어미 ‘(으)나, (으)며’ 활용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쓰기, 시각적 입력강화 기반의 우연적 표지 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플립러닝 기반의 한국어 듣기 학습연계글쓰기(WTL) 등을 다양한 교수 방법을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 방법 적용과 함께 ‘쓰기 전—쓰기—쓰기 후’의 단계별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적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구성하였다.

 

한국어 쓰기 교육의 이론과 적용(임진숙 지음, 경진출판 발행)



[ 차례 ]

책을 내면서

제1부 쓰기 교육의 이론

제1장 쓰기 이론의 흐름
1. 개념
2. 쓰기 관점의 흐름

제2장 쓰기 관점의 통합
1. 쓰기 관점 통합의 지향
2. 관점에 따른 구성요소

제3장 쓰기 구성요소 통합과 연결망
1. 쓰기 구성요소 통합
2. 쓰기 구성요소의 연결망

제4장 쓰기 구성요소와 지식의 연계

제5장 쓰기 지식 내용
1. 의사소통적 지식
2. 주제・내용적 지식
3. 구조적 지식
4. 표현적 지식

제2부 쓰기 교육의 적용

제1장 모델텍스트와 협력활동을 적용한 한국어 쓰기
1. 필요성
2. 모델텍스트의 활용
3. 협력활동
4. 수업에서의 적용
5. 적용상의 유의점

제2장 형태 초점 접근법의 문법 교수를 활용한 한국어 통제 작문
1. 필요성
2. 통제 작문
3. 형태 초점 교수법
4. 수업에서의 적용
5. 적용상의 유의점

제3장 복합형태 ‘기 위해(서)/위한, 을/를 위해(서)/위한’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1. 필요성
2. 제시 현황
3. 의미와 용법 분석
4.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결과물 분석
5. 수업에서의 적용
6. 적용상의 유의점

제4장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문어체 연결어미 ‘(으)나, (으)며’의 활용
1. 필요성
2. 기존 연구와 한국어 교재의 제시 현황
3.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모범 답안의 제시 양상
4. 통사적 정보
5. 수업에서의 적용
6. 수업 적용의 유의점

제5장 시각적 입력강화 기반의 우연적 표지 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1. 필요성
2. 시각적 입력강화
3. 우연적 표지 학습
4. 텍스트 표지 사용 양상
5. 수업에서의 적용
6. 적용상의 유의점

제6장 플립러닝 기반의 한국어 듣기 학습연계글쓰기(WTL)
1. 필요성
2. 한국어교육에서 플립러닝
3. 학습연계글쓰기(WTL)
4. 수업에서의 적용
5. 적용상의 유의점

참고문헌


[ 지은이 임진숙 ]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공저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수법≫, ≪표준 한국어 1~6≫ 등이 있다. 쓰기 논문 다수와 <한국어 교육에서 부정 의미 ‘말다’ 반복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에서 이유 표현 ‘(으)로 인하여’, ‘(으)로 말미암아’ 연구: 조사・불완전 용언 활용형 결합의 복합 형태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 명사 후치 표현에 대한 연구: 동사적 구성을 중심으로>, <종결기능 연결어미 ‘(으)ㄴ/는데’의 연구: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복합 형태 ‘에 대해(서)’, ‘에 대한’의 연구>의 문법 연구와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시사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플립러닝과 PBL의 절충교수법을 중심으로>, <FonF와 PBL의 절충적 문법 수업 사례 연구> 등의 수업 사례 연구 등이 있다.


[도서명] 한국어 쓰기 교육의 이론과 적용
[지은이] 임진숙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184쪽 / 값 10,000원
발행일 2021년 09월 10일
ISBN 978-89-5996-825-1 93710
분야: 인문>어학>한국어, 대학교재

#한국어쓰기교육의이론과적용 #한국어 #쓰기 #쓰기교육 #교육 #교수방법 #안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