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교육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교수 방법을 집대성하다
이 책은 글쓰기 교육에서 필요한 글쓰기 이론을 소개하고, 이러한 이론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수업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글쓰기 교육에서 필자, 독자, 과제 환경, 사회·문화적 맥락 등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면서 교수 방법 또한 그 대상과 교육 현장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기획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책은 쓰기 교육의 결과물인 텍스트 분석을 통한 교수법 개발을 넘어 필자와 독자의 인지적 추론 과정과 배경지식, 글쓰기 장르별 특징, 디지털 매체 환경 등을 쓰기 교육의 주요 요소로 적극 고려하고자 했다. 또한 대학생, 중·고등학생, 외국인 유학생 등 여러 필자 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제안한다.
이 책은 총 5부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교수 방법 및 전략의 다양한 분야를 교수 방법의 항목이자 이 책의 목차로 설정하였다. 제1부 <쓰기 교수법의 원리와 지도>에서는 글쓰기 교수법의 기본 원리 및 전략을 다루었다. 쓰기 교육의 방향 및 교수법의 특징을 설명하며, 초보 교수자를 위한 수업 전략과 한국어 교육의 쓰기 수업 원리를 소개한다. 제2부 <장르 중심의 쓰기 지도>에서는 다양한 글쓰기 장르를 지도하기 위한 수업 방법을 제안한다. 논증적 글쓰기, 서평 쓰기, 자기 탐색 글쓰기, 자기소개서 쓰기 등과 같이 장르별 쓰기 지도 방안과 더불어 장르 지식의 전이를 위한 WAW 교수법을 소개한다. 제3부 <수업 전략과 활동 중심의 쓰기 지도>에서는 쓰기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전략과 활동을 다루었다. 주제 구성력 신장을 위한 교육 전략, 어휘 및 문장 교수 방법, 교수 학습과 연계한 상호주관적 평가 방법 등과 같이 구체적인 수업 전략을 소개하고, 글쓰기 워크숍, 독서 토론, 교차적 쓰기·말하기 활동, 듣기·쓰기 통합의 딕토콤프(dicto-comp) 등과 같은 수업 활동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4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쓰기 지도>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법을 다루었다. 사진, 광고, 블로그, 영화 등 다양한 유형의 매체를 활용한 쓰기 지도 방안과 더불어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온라인 시스템을 통한 피드백,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동료 피드백 등과 같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쓰기 교육 및 평가 방법을 소개한다.
이 책은 교육 현장의 변화를 꾀하는 교수자, 혹은 글쓰기 교육을 시작한 신입 교수자에게 최신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실용적인 지식과 교수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독자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수업 모형 및 교수요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책은 글쓰기 이론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교수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서술되었다.
이 책에는 실제 글쓰기 연구 및 교육 현장에서 다년간 경험을 쌓은 전문 글쓰기 연구자 및 교수자의 노하우가 담겨 있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실제 글쓰기 교육 현장의 생생한 흐름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동시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요목, 과제 및 활동, 분석 도구, 평가표, 읽기 자료 등에 관한 정보를 얻게 될 것이다.
[ 목차 ]
제1부 쓰기 교수법의 원리와 지도
쓰기 교수법과 교수・학습 전략__정희모
초보 글쓰기 교수자를 위한 수업 준비 원리와 전략__김성숙
한국어 쓰기 수업 원리와 실제__강승혜
제2부 장르 중심의 쓰기 지도
논증적 글쓰기 교육 방법__유상희
서평 쓰기 교수 방법__백혜선
자기 탐색을 위한 글쓰기 교수 방법__김현정
취업 목적 장르의 정체성과 자기소개서 및 면접 교육의 설계__나은미
쓰기 지식의 과목 간 전이를 위한 수업 방법: ‘글쓰기에 대한 글쓰기(Writing About Writing)’ 접근법을 기반으로__이원지
제3부 수업 전략과 활동 중심의 쓰기 지도
글쓰기 학습자들의 주제 구성력 신장을 위한 교육 전략__김미란
글쓰기 워크숍의 이론과 실제__김주환
비판적/창의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독서토론 지도 방법__이승윤
글쓰기 교육에서의 어휘, 문장 교수법__김남미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 학습과 연계한 상호주관적 평가 방법__이윤빈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지도 방법: 교차적 쓰기・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__김보연
한국어 유학생의 학업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듣기・쓰기 통합의 딕토콤프(dicto-comp)를 중심으로__민정호
제4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쓰기 지도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 향상을 위한 쓰기 교육 방법__공성수
플립 러닝을 활용한 글쓰기 교수 방법__엄성원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수 방법__황영미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교수 방법__지현배
디지털 플랫폼의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교수 방법__주민재
[ 지은이 소개 ]
정희모(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김성숙(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교수)
강승혜(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유상희(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백혜선(순천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김현정(순천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나은미(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대학 교수)
이원지(연세대학교 박사과정)
김미란(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김주환(안동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이승윤(인천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수)
김남미(홍익대학교 교양과 교수)
이윤빈(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 문화창의학부 교수)
김보연(연세대학교 박사과정)
민정호(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공성수(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엄성원(차의과학대학교 의료홍보미디어학과 교수)
황영미(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 교양교육연구소 소장)
지현배(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교수)
주민재(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교수)
[도서명] 글쓰기 교육과 교수 방법
[지은이] 정희모 김성숙 강승혜 유상희 백혜선 김현정 나은미 이원지 김미란 김주환 이승윤 김남미 이윤빈 김보연 민정호 공성수 엄성원 황영미 지현배 주민재
[펴낸곳] 경진출판
변형 크라운판(170×240) / 608쪽 / 값 28,000원
발행일 2020년 06월 20일
ISBN 978-89-5996-741-4 93370
분야: 언어학>한국어, 한국어>교재, 교육학>교수방법

'교재 > 글쓰기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표현 교육의 이론과 실제(김성숙 지음) (0) | 2022.05.30 |
---|---|
한국어 쓰기 교육의 이론과 적용 (0) | 2021.09.03 |
글쓰기 교육의 이론적 탐색 (0) | 2021.02.08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0) | 2020.11.26 |
한국어 쓰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0) | 2020.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