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세국어27

쉽게 읽는 월인석보 8 불교와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 이 책은 ≪월인천강지곡≫ 권8과 ≪석보상절≫ 권8의 내용을 주해하였다. 이 책은 세조(世祖)가 1459년에 부왕인 세종(世宗)과 소헌왕후(昭憲王后), 그리고 아들인 의경세자(懿敬世子)를 추모하기 위하여 1549년에 편찬하였다. 세종 때에 간행된 ≪석보상절≫ 권8의 내용과 이에 해당하는 ≪월인천강지곡≫의 내용을 합쳐서 편찬한 책이다. ≪월인석보≫ 권8은 세조 때에 간행된 책으로, 7권과 8권이 합본된 상태로 2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1459년(세조 5) 목판본으로 처음 간행되었는데, 현재 동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초간본은 1983년 5월 7일에 보물 제745-2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중종, 명종, 선조 대에 걸쳐 중간본(重刊本)이 간행되었다. ≪.. 2020. 12. 30.
쉽게 읽는 월인석보 4 불교와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 이 책은 ≪월인천강지곡≫ 권4와 ≪석보상절≫ 권4의 내용을 주해하였다. 이 책은 세조(世祖)가 1459년에 부왕인 세종(世宗)과 소헌왕후(昭憲王后), 그리고 아들인 의경세자(懿敬世子)를 추모하기 위하여 1549년에 편찬하였다. 세종 때에 간행된 ≪석보상절≫ 권4의 내용과 이에 해당하는 ≪월인천강지곡≫의 내용을 합쳐서 편찬한 책이다. ≪월인석보 제사≫(月印釋譜 第四)는 현재 ‘청주 고인쇄 박물관’에 소장 중인 복각본이다. 이 책은 ≪월인석보≫의 일반적인 구성에 따라서 ≪월인천강지곡≫의 기육십칠(其六十七)에서 기구십삼(其九十三)까지의 운문을 먼저 싣고, 이에 대응되는 ≪석보상절≫의 산문을 합쳐서 실었다. 전체적인 장수는 총 6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6.. 2020. 12. 29.
쉽게 읽는 월인석보 2 불교와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 는 조선의 제7대 왕인 세조(世祖)가 부왕인 세종(世宗)과 소헌왕후(昭憲王后), 그리고 아들인 의경세자(懿敬世子)를 추모하기 위하여 1549년에 편찬하였다.에는 석가모니의 행적과 석가모니와 관련된 인물에 관한 여러 일화가 소개되어 있어서, 이 책은 불교를 연구하는 이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어 학자들이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에도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한문으로 작성한 석가모니의 연보(年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어의 문장 구조에 어긋나지 않아서 매우 자연스럽게 번역되어 있다. 따라서 는 훈민정음으로 지은 초기의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당대에 간행된 그 어떤 문헌보다도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편찬된 문헌이.. 2020. 12. 29.
쉽게 읽는 월인석보 1 불교와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 는 조선의 제7대 왕인 세조(世祖)가 부왕인 세종(世宗)과 소헌왕후(昭憲王后), 그리고 아들인 의경세자(懿敬世子)를 추모하기 위하여 1549년에 편찬하였다.에는 석가모니의 행적과 석가모니와 관련된 인물에 관한 여러 일화가 소개되어 있어서, 이 책은 불교를 연구하는 이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어 학자들이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에도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한문으로 작성한 석가모니의 연보(年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어의 문장 구조에 어긋나지 않아서 매우 자연스럽게 번역되어 있다. 따라서 는 훈민정음으로 지은 초기의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당대에 간행된 그 어떤 문헌보다도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편찬된 문헌이.. 2020. 12. 28.
쉽게 읽는 월인석보 서 불교와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 는 조선의 제7대 왕인 세조(世祖)가 부왕인 세종(世宗)과 소헌왕후(昭憲王后), 그리고 아들인 의경세자(懿敬世子)를 추모하기 위하여 1549년에 편찬하였다.에는 석가모니의 행적과 석가모니와 관련된 인물에 관한 여러 일화가 소개되어 있어서, 이 책은 불교를 연구하는 이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어 학자들이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에도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한문으로 작성한 석가모니의 연보(年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어의 문장 구조에 어긋나지 않아서 매우 자연스럽게 번역되어 있다. 따라서 는 훈민정음으로 지은 초기의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당대에 간행된 그 어떤 문헌보다도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편찬된 문헌이.. 2020. 12. 28.
제2판(수정) 학교 문법의 이해 2-차차 표기ㆍ중세 국어ㆍ근대 국어ㆍ어문 규정- 교사 임용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교사,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학교 문법에 대한 입문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의 교육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고, 학교 문법의 배경이 되는 문법 이론의 내용을 소개하다 ‘학교 문법(學校文法)’은 국어를 규범대로 바로 쓰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가르치는 문법을 이른다. 곧, 학교 문법은 초등학교와 중ㆍ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에 기반하여 문법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 문법 교육의 체제와 내용이다. ≪학교 문법의 이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의 교육 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학교 문법의 배경이 되는 문법 이론의 내용을 소개하는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은 학교 문법을 교육하고 있는 현직 국어과 교사와 중등학교 .. 2020. 12. 21.
(제3판) 중세국어 문법의 이해 중세 국어의 문법 이론에 대한 이해도 평가를 위한 문제집 이 책은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과의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중세 국어의 문법 이론’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한 문제집이다. 이 책에서는 의 ‘국어의 옛 모습’ 단원에 기술된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국어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시험’의 제1차 시험의 수준과 형식에 맞추어서, 총 389개의 5지 선다형의 문제를 개발하여 수록하였다.이 책의 내용은 크게 제3부로 구성하였다. 제1부인 ‘문제’에서는 먼저 중세 국어의 문법 범주별로 5지 선다형의 기본 문제를 18개 단원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고, 이어서 종합 문제를 2개 단원으로 구성하여서 제시하였다. 제2부인 ‘풀이’에서는 제1부의 문제의 정답과 근거를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제3부인 ‘주해.. 2020. 10. 19.
중세 국어 입문: 이론과 강독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중세 국어의 텍스트 소개 중세 국어 입문자들을 위해 기획하다 ≪중세 국어 입문≫은 중세 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세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 내용을 기술한 교재이다. 곧, 이 책은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중세 국어의 텍스트를 소개하여, 중세 국어의 입문자들에게 중세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이는 책이다. 이 책은 ‘이론편’과 ‘강독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의 이론편에서는 15세기의 국어를 중심으로 ‘문자론,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의 이론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2부에서는 15, 16세기에 발간된 대표적인 한글 문헌을 선정하여, 이들 문헌에 실린 텍스트의 문장을 현대어로 번역하고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였다... 2020. 9. 5.
근대 국어 강독 17, 18, 19세기 간행된 문헌의 언어 현상(훈민정음과 표기법,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론, 의미론) 두루 살펴 ≪근대 국어 강독≫은 근대 국어의 시기에 간행된 문헌의 텍스트를 강독함으로써, 학습자들이 근대 국어를 문헌을 통하여 확인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책이다. 이에 따라서 이 책에서는 17, 18, 19세기에 간행된 문헌에서 국어사적으로 중요한 텍스트를 선정하여 수록하였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하여 17세기의 국어로부터 19세기 말의 국어에 이르기까지 국어가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에 대한 통시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책에 실린 근대 국어 문헌의 텍스트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7세기의 문헌으로 ≪동국신속삼강행.. 2020.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