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41

국어 통사의미론의 몇 측면: 논항구조 접근 논항구조의 시각에서 국어의 명사구와 동사구, 이것들을 이끌어가는 기능범주들, 그리고 문장의 확장에 관여하는 접속구문을 다루었으며, 핵어로서 어휘의 의미표상과 어휘의 논항구조 변동을 논의하였다. 우리말에 대한 연구는 광복이 되면서 모든 대학에 관련 학과가 개설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일관되게 전체적으로 보는 관점들이 뚜렷이 세워져서 학문적 논의의 영역 속으로 본격적으로 들어오지도 않았고, 또한 세세한 영역으로 자세히 들어가면 미진한 구석들이 아주 많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앞으로도 서로 다른 관점들을 지닌 연구 업적들이 많이 쌓이고 서로 간에 경합이 벌어져야 한다. 이는 자생적 학문으로서의 국어학 흐름과 1970년대부터 들어온 학문적 엄격성을 갖춘 언어학 흐름이 서로 조화롭게 맞물려 곳곳에 적용되고.. 2021. 2. 21.
담화와 지식: 사회 인지적인 접근(Discourse and Knowledge: A Sociocognitive Approach) 담화와 지식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를 위한 새로운 출발점 담화와 지식이라는 두 개념 관계를 연구한 첫 번째 책으로 인식론적 담화 분석이라는 새로운 분야 소개 이 책은 인식론, 언어학, 담화 분석, 인지심리학, 사회심리학, 사회과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들과 학자들에게 필수적인 읽을거리 이 책은 담화가 지식을 전승하고 널리 퍼뜨리며 재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통해 뒷받침하고 있다. 책의 뒷부분에 실린 방대한 연구 문헌들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다양한 갈래의 연구들을 살피고 검토하면서 담화와 지식의 관계를 다루는 기존의 논의들이 세 가지 요소, 즉 인지와 사회, 문화를 연결하여 살피고 있지 않음을 비판한다. 특히 지식은 믿음의 문제이며.. 2021. 2. 16.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 담화 분석에서 몇 가지 핵심 논제(거시언어학 10) 텍스트, 담화, 상황 맥락, 앞뒤-문맥, 숨겨진 의도 등에 관해서 자세히 서술 페어클럽 교수의 를 맹렬히 비판한 도서 (그 비판을 수용한 페어클럽 교수는 과 을 출간하게 된다. 은 페어클럽 교수 업적에 대한 결정판이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문으로 짜여 있다. 제Ⅰ부는 제1장에서 제5장까지로, 담화 분석에서 필수적이라고 판단하는 저자의 주요 개념으로서 등에 관해서 자세히 서술해 주고 있다. 특히 몇 차례에 걸친 페어클럽 교수와의 논쟁을 통해서 이전에 막연히 써 오던 개념들이 이 책에서는 명확히 정의되면서 쓰이고 있다. 이를 순수한 담화 분석 또는 텍스트 분석으로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제Ⅱ부는 제6장에서부터 제10장까지로서, 저자가 수립해 놓은 시각에서 다른 접근법들을 비판하는 일들을 진행함으로써 결과적.. 2021. 2. 15.
북한사회: 전체는 하나를 위하여,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The Society:One for all, All for one)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고 배웠다. 심지어 꿈에도 소원은 통일이라고 배웠다. 돌이켜 보니, 통일이 뭔지도 모르고 노래만 불렀던 것은 아닌가 싶다. 통일은 북한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북한에 관해 아는 것이 없다. 북한을 모르는데 남과 북이 하나가 되면 함께 행복하게 잘살 수가 있을까? 북한이 어떤 나라인지 궁금해서 북한 홈페이지에 들어갔다. 불법 사이트라서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만 나올 뿐이다. 북한에서 만든 책이나 영화를 보려고 했는데, 서울에 딱 하나 있다. 통일부 북한자료센터를 찾는 것은 굉장한 인내를 갖고 찾아야 한다. 심지어 통일교육원은 우리 정부에서 운영하는 것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참으로 구석진 곳에 있다. 북한과 통일을 하는 것이 당연하다.. 2021. 2. 9.
현대 국어 의미론의 이해 학부 학생들을 위한 현대 국어의 의미 현상과 의미 이론 1980년대 이후로 의미에 대한 연구의 범위가 어휘라는 좁은 틀을 벗어나서 문장과 담화 차원으로 확대됨으로써, 국어의 의미 연구에 새로운 장이 펼쳐졌다. 지은이는 의미 연구의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현대 국어 의미론의 이해≫의 제목으로 ‘어휘 의미론, 문장 의미론, 화용론’의 내용을 다루었다 이 책은 국어 의미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학부 학생들도 현대 국어의 의미 현상과 의미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책에서는 우선 ≪고등학교 문법≫(2010)과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2018)에 수록된 ‘의미’ 단원의 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했다. 지은이는 이 책의 내용 체제를 크게 네 부분으로 짰다. 제1부는 국어 의미론에 .. 2021. 2. 2.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의 언어와 문화 지식 인문학과 다문화 교육의 융합을 위해 이 책은 다문화 가정을 위해 지식 인문학, 그 가운데 언어와 문화에 중점을 둔 교재이다. 총 10과로 구성된 이 교재는 한국의 ‘명절, 휴일과 기념일’, ‘테마가 있는 여행’, ‘건강과 식생활’, ‘주거와 삶’, ‘여가 생활’, ‘초대와 방문’, ‘언어와 생활’, ‘전통 예술’, ‘속담’, ‘한국인의 정서’ 등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다문화 가정의 생활 적응을 위한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이야기하기, 문화 두루 알기, 문화 엿보기, 문화 즐기기 등의 체계를 갖추어, 본 연구소의 지식 인문학 연구 성과와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지식을 녹여내고 있다.다문화 교육은 단지 언어 교육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식 담론이 다문화 교육에 접맥되어야 하는 이유는.. 2021. 1. 20.
계몽의 수단: 민족어와 국어(한국 근현대 학문 형성과 계몽운동의 가치 07) 국문의 필요성과 가치 인식 근대 의식의 성장 과정에서 출현한 ‘국문 사상’은 국문의 필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고 국문을 바르게 사용해야 한다는 논리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 근대 계몽기의 국문론은 현실 언어와 일치하는 국문 통일,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는 국문자 사용, 지식 보급과 문명 발전을 위한 국문 사용의 필요성 등을 주제로 삼고 있다. 근대정신으로서 언문일치운동 근대정신으로서 언문일치운동은 근대 지식 형성과 보급의 필요에 따른 것이다. 근대 지식의 형성 과정과 보급 과정에서 가장 먼저 등장한 문제는 역술(譯述), 곧 번역과 편술이었다. 역술은 외국어로 된 서적을 직수입하고, 그 언어로 그 문헌을 읽지 않는 이상, 반드시 거쳐야 할 작업 가운데 하나였다. 이러한 역술 서적의 출현은 시대상의 차이 또는 .. 2021. 1. 12.
(2판) 언어의 심층과 언어교육(학술 01) 담화교육은 언어에 대한 자각과 언어사용에 대한 자각을 전제로 한다. 언어교육을 밑에서 떠받쳐 주고 있는 학문 분야는 순수 언어학을 비롯하여, 언어 철학·언어심리학·작은 사회학이다. 언어교육은 담화를 대상으로 한 ‘담화교육’이 되어야 한다. 언어교육에서는 의사소통 중심 언어교육(CLT)라고 불려오다가, 최근 과제 중심 언어교육(TBLT)이란 이름도 자주 쓰인다. 언어 철학의 한 갈래로 ‘내재주의’에 대하여 공부하여 발표했던 것을 제1장으로 실었다. 주로 너움 촴스끼 교수의 생각들을 다뤘지만, 그는 언어 사용에 대한 언급을 거의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상언어 철학자 폴 그롸이스와 심리학자 허어벗 클락의 생각을 더해 놓았다. 제2장의 자각(awareness)에 대한 글은 도구로서의 언어와 그 도구를 사용하는 .. 2021. 1. 11.
언어산출 과정에 대한 학제적 접근(거시언어학 7: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형식으로서의 말소리 탄생 인간의 언어에 대한 연구에서는 진화론상으로 현생 인류(크로마뇽인)의 출현과 더불어 인간의 말소리(자음과 모음으로 나뉨)가 생겨났다고 보는 쪽이 일반적이다. 대략 5만 년 전후에 인간 목청이 비로소 성대 하강과 더불어 만들어진다. 목젖과 바짝 붙어 있던 후두개는 숨길과 식도를 분리해 주는 기능을 하였다. 그런데 후두개가 밑으로 목의 중간 위치로 내려감으로써 입(구강)을 통과한 뒤에 숨길과 식도가 하나의 길로 통합된다. 이 통합은 인간에게 목구멍의 울림통(후두강)을 만들어 준다. 이것이 형식과 내용의 결합을 다루는 기호학에서, 이른바 ‘형식으로서의 말소리(sound as a form)’가 탄생하는 순간이다. 그렇지만 이처럼 성대(울대막)가 하강하여 말소리가 탄생하기 전에 이미 상당히.. 2021.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