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종합 및 기타29

글쓰기 윤리와 자료 사용: 학문 목적 쓰기 교육 “글쓰기 윤리 실천, ‘자료 사용 능력’이 전제되어야 가능” 이 책은 표절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에서 출발하지 않고, 언어 교육 안에서 글쓰기 윤리를 어떻게 가르치고 적용해야 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책에서는 글쓰기 윤리 인식의 고취만으로 올바른 글쓰기 윤리의 실천을 담보할 수 없다는 입장에서 ‘자료 사용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수많은 자료 가운데 학술적 가치 유무를 가려 적절한 것을 선정하고, 자료의 내용을 자신의 글에 바르게 통합하면서 그 출처를 형식에 맞게 남길 줄 아는 ‘자료 사용 능력’이야말로 학문적 쓰기 능력을 위한 근간이 된다.이 책은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안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글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이지만 일반 대학(원)생 대상의 작문 교수 및 학습에서.. 2020. 10. 14.
미디어 언어의 텍스트화용론(학술04) 미디어 텍스트 분석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언어와 영상과의 관계, 그리고 미디어 텍스트 내부의 관계 및 미디어 텍스트들 간의 상호 관계 자세히 다뤄 우리는 다양한 기술 혁신을 통해 끊임없이 언어와의 새로운 만남, 더 정확히 말하면 ‘멀티미디어’ 텍스트의 생산이 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말하자면, 사회와 문화의 변화로 텍스트 종류들이 바뀌면서 견고함을 잃어버리기도 하는, 테마나 담론도 배타성을 잃어버리고 다른 것들과 다종다양하게 뒤섞일 수 있는, 미디어로 전달된 텍스트 종류들이 부단한 현대화와 상호 경쟁의 압력을 받는, 사회 구조가 바뀌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형태나 텍스트 종류들이 생성되는, 문자 텍스트와 구두 텍스트의 엄격한 구분이 어렵고 다양한 전이형태들이 양산되는 그런 시대이.. 2020.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