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21

훈민정음 비밀코드와 신미대사(최시선 지음) 과연 훈민정음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영화 그 후) 저자는 수필작가이자 현직 고등학교 교장이다. 2019년 영화 를 보고 의문이 폭발하여, 단번에 수십 권의 책을 사고, 인터넷을 뒤지고 밤잠을 설쳐가며 훈민정음에 파고들었다고 한다. 또한 에 들어가 관련 자료를 내려 받아 틈나는 대로 읽었다고 한다. 세종 25(1443)년 12월 30일 기사에 딱 한 번 창제 사실이 나온다. 앞뒤가 잘려 나간 채 달랑 57자의 한자가 전부다. 왜 그랬을까? 그 중요한 새로운 문자의 창제 사실을 그렇게 간단하게 알렸을까? 저자는 훈민정음을 공부하면서 놀랄 만한 사실을 발견하게 됐다. 훈민정음 비밀코드 15가지다. 예를 들어, 그 유명한 ‘나랏말싸미 중국에 달아….’로 시작하는 은 정확히 108자다. 이것은 약과다. 이외에도.. 2020. 11. 5.
인문학과 글쓰기 역량: 감성·창의·소통·직무 인문학은 우리의 삶 그 자체이자이를 각가지 방법으로 가공한 것들이기에흔하고 고귀하며 아름답다. 인문학은 세상에 편만하다. 인문학은 사람들이 주고받는 일상의 대화에서도 꽃을 피운다. 집과 건물같이 사람들이 생활하기 위해 지은, 인간을 위한 장소에도 인문학은 깊이 스며있다. 공동의 삶을 위한 인위적인 노력의 산물인 도시에서도 인문학의 원리들을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다. 첨단 기술을 이용한 의사소통도 어디까지나 사람과 사람 간의 만남이기에, 의사소통에 관한 교육과 연구를 포함하는 인문학에 해당한다. 아름다운 노래의 가사가 인문학이고, 미술 작품에서도 작가의 인문학을 감상할 수 있다. 온전히 인문학을 즐길 수 있는 영화관, 연극・뮤지컬 공연장도 즐비하게 많아졌다. 문학 책, TV 드라마, 영화관의 영화는 예로 .. 2020. 10. 26.
바로잡기 우리말 101가지 [ 한글 세계화운동 ] 한글은 560여년 전에 창제되었지만 그 후 오랫동안 한문을 숭상한 사상 때문에 널리 쓰이지 못 하다가 1870년대에 기독교에서 성경 번역에 한글을 전용하고, 1896년에는 독립신문의 한 부분에서 한글을 전용하기에 이르렀다. 일제시대에는 우리말·글 말살정책에 항거하여 우리말·글 지키기 운동으로 조선어학회 사건 등의 고난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제 한글은 세계 속에 자부심을 가지고 우뚝 서 있다. 미국·호주의 대학에서는 오래 전부터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지정해 강의하고 있으며, 문자가 없는 소수민족의 공식 표기법으로 제정하고자 하는 ‘한글 세계화운동’이 추진되고 있다. 2009년 8월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은 자신들의 말을 표기할 문자로 한글을 공식 채택했으며 이외에도 태국의 라후.. 2020.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