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상식, 혹은 교훈을 전달하는데 주력
구국과 계몽
<<신찬초등소학(新纂初等小學)>>은 1909년(융희 3)에 현채(玄采, 1886~ 1925)가 지은 사찬(私撰) 국어교과서다. 번역가이자 역사가였던 현채는 <<신찬초등소학>>에 앞서 초등학교 교과서 <<유년필독(幼年必讀)>>(1907)을 집필하였으며, 이 책은 당시 초등학교 학생뿐만 아니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널리 읽혔다. 그러나 애국심과 민족사상 고취를 근간으로 삼았던 <<유년필독>>은 1909년 5월 일제에 의해 발표된 ‘출판법’에 의하여 강제 압수 및 발매금지 당한다. 그 후 <<유년필독>>을 대신할 교과서로서 <<신찬초등소학>>이 출간되었다. 출판법이 발효된 직후인 1909년에 간행된 이 책은 ‘교과용도서검정규정’을 통과하였으며, 한일강제병합 이후인 1913년까지 재간, 삼간되면서 일제강점기 국어교과서로 계속 사용되었다.
<<신찬초등소학>>은 국한문 혼용체의 인쇄본으로서 6권 6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권1은 41과, 권2는 38과, 권3은 40과, 권4는 38과, 권5는 40과, 권6은 38과로 편성되었다. 전체적으로 삽화와 부도를 많이 사용하여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하였다. 다른 국어교과서와 비교하여 편집 면에서 특이한 점은 각 단원마다 본문 위쪽에 신출한자를 제시하고, 권말에 본문에서 다룬 한자의 일람표를 게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자일람표를 통하여 나타난 한자의 사용실태는, 권1에서 43자, 권2에서 302자, 권3에서 374자, 권4에서 393자, 권5에서 446자, 권6에서 412자 등 모두 1,570자로 되어 있다. 체재는 다른 국어교과서와 대동소이하나, 구두점을 동그라미로 표시하고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있으며, 존대어미를 사용한 문체로 일관하고 있다. 철자법은 정연하여 1909년대의 철자법을 검토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신찬초등소학>>의 내용은 기초 지식이나 일반 상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권1은 특별한 제목 없이 자모(字母)와 철자의 보기를 들고, 낱말 익히기 형식의 단어나 짧은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2~6은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설명하거나 우화(寓話) 형식의 비유를 통하여 기본적인 상식, 혹은 교훈을 전달하는데 주력한다. 이것은 크게, 실생활에 필요한 ‘실용지식’과 인간으로서 갖추어야할 ‘기본 도리’, 그리고 ‘조선의 지리와 역사’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 목차-신찬초등소학 (상)]
해설: 구국과 계몽
신찬초등소학 권1
자모 철자 1
제1과 제2과 제3과
제4과 제5과 제6과
제7과 제8과 제9과
제10과 제11과 제12과
제13과 제14과 제15과
제16과 제17과 제18과
제19과 제20과 제21과
제22과 제23과 제24과
제25과 제26과 제27과
제28과 제29과 제30과
제31과 제32과 제33과
제34과 제35과 제36과
제37과 제38과 제39과
제40과 제41과
신찬초등소학 권2
제1과 학교
제2과 정성의 마음
제3과 동서남북(東西南北)
제4과 소
제5과 세는 법 문답 1
제6과 세는 법 문답 2
제7과 연못
제8과 개미
제9과 닭
제10과 입
제11과 담배 피우는 아이
제12과 무지개
제13과 참새
제14과 필(筆)
제15과 그림이야기 1
제16과 그림이야기 2
제17과 농공상(農工商)
제18과 말
제19과 새벽[曉]
제20과 잠자리
제21과 시(時)
제22과 사시(四時)
제23과 제비집
제24과 파리[蠅]와 나방[飛蛾]의 이야기
제25과 작은 양
제26과 조선(朝鮮)
제27과 위생
제28과 의복 1
제29과 의복 2
제30과 벼
제31과 고생[苦]은 기쁨[樂]의 씨앗
제32과 까마귀와 여우의 이야기
제33과 부엉이가 비둘기에게 웃음을 보았소
제34과 호랑이와 거울
제35과 조충(曺冲)이 코끼리의 중량을 알게 함
제36과 운동
제37과 물건을 정리할 일
제38과 자모(慈母)의 마음
신찬초등소학 권3
제1과 개학
제2과 욕심[貪心]이 있는 개
제3과 나무를 지켜서 토끼를 기다리다
제4과 화목한 식구[家券] 1
제5과 화목한 식구[家券] 2
제6과 매화
제7과 부모의 뜻을 아는 아이
제8과 포도밭 1
제9과 포도밭 2
제10과 무식한 해(害)
제11과 학문에 뜻을 둔 아이
제12과 누에[蚕]
제13과 뽕나무[桑]
제14과 식물(食物)
제15과 쥐의 이야기
제16과 부모의 교훈을 들음
제17과 소금
제18과 매미
제19과 나무의 이치
제20과 기름
제21과 시계를 보는 법 1
제22과 시계를 보는 법 2
제23과 시계를 보는 법 3
제24과 태양
제25과 해저
제26과 인성의 지혜
제27과 장유(張維)
제28과 지남침(指南針)
제29과 한양 1
제30과 한양 2
제31과 한강
제32과 탐욕은 그 몸을 망침
제33과 산울림 1
제34과 산울림 2
제35과 형제서신
제36과 소야도풍(小野道豊)
제37과 친구[朋友]를 가리는 자
제38과 예(禮)와 신(信)과 인(仁)
제39과 여우
제40과 까마귀[烏]가 대합조개[蛤]를 먹는 지혜
신찬초등소학 원전
[ 목차-신찬초등소학 (하)]
신찬초등소학 권4
제1과 면과 씨아와 물레
제2과 민물조개와 도요새의 서로 다툼
제3과 아이의 도리
제4과 7요일
제5과 새(鳥)됨을 원하는 문답
제6과 개국기원절(開國紀元節)
제7과 학문을 부지런히 함
제8과 영조조(英祖朝)께서 요[褥]를 되돌려 준 일
제9과 서책(書冊)을 빌림
제10과 서책을 빌리는 서찰
제11과 돼지[豕]
제12과 이시백이 꽃을 바치지 아니한 일
제13과 저울[秤]
제14과 무역
제15과 호랑이와 여우의 대화
제16과 소용돌이 물[渦水]
제17과 달팽이[蝸]
제18과 게으른 사람[懶惰] 1
제19과 게으른 사람[懶惰] 2
제20과 개가 도적을 잡다
제21과 워싱턴[華盛頓]
제22과 건원절(乾元節)
제23과 기차와 정차장(停車場)
제24과 삼십도(三十道)
제25과 배
제26과 군함
제27과 사마광(司馬光)
제28과 고대조선(古代朝鮮)
제29과 국화
제30과 일 년의 월일(月日)
제31과 공업
제32과 기러기
제33과 천연계(天然界)의 이용
제34과 비둘기
제35과 경찰(警察)
제36과 지구
제37과 삼한(三韓)
제38과 금(金)을 사양한 일
신찬초등소학 권5
제1과 신라, 고구려, 백제 삼국의 기원
제2과 고양이
제3과 새우와 게
제4과 구항(九港)과 삼시(三市)
제5과 눈
제6과 기후
제7과 대나무[竹]
제8과 공자(孔子)
제9과 맹자(孟子)
제10과 술과 담배[酒와 煙草]
제11과 충직하고 성실한 개[忠實한 犬]
제12과 통상(通商)
제13과 유교(儒敎)
제14과 불교
제15과 금강산(金剛山)
제16과 을지문덕(乙支文德)
제17과 공기
제18과 삼국(三國)의 쇠망(衰亡) 1
제19과 삼국(三國)의 쇠망(衰亡) 2
제20과 금속(金屬)
제21과 양만춘(楊萬春)
제22과 공원
제23과 석탄과 석유
제24과 서희(徐熙) 1
제25과 서희(徐熙) 2
제26과 몬데스규의 음덕(陰德) 1
제27과 몬데스규의 음덕(陰德) 2
제28과 우리들의 세계
제29과 동서양의 여러 나라[東西洋諸國] 1
제30과 동서양의 여러 나라[東西洋諸國] 2
제31과 거미[踟蛛]의 거미줄[經綸]
제32과 물의 변화 1: 얼음, 수증기, 구름, 안개, 비
제33과 물의 변화 2: 우레, 싸라기눈, 눈, 이슬, 서리
제34과 말을 드리고 오이를 얻음
제35과 인삼
제36과 강감찬(姜邯贊)
제37과 세계의 인종
제38과 다섯 기후대[五帶]의 춥고 따뜻함[寒暖]과 생물 1
제39과 다섯 기후대[五帶]의 춥고 따뜻함[寒暖]과 생물 2
제40과 수목(樹木)의 이익
신찬초등소학 권6
제1과 기구(氣球)
제2과 문학의 진보와 쇠퇴
제3과 신체의 얼개[結構]와 골육(骨肉)
제4과 평양(平壤)
제5과 과일 동산에서 일하는 동자(童子)
제6과 고려의 말년(末年)
제7과 평방(平方)과 입방(立方)
제8과 여관
제9과 여행(行旅)과 도서관
제10과 회(繪)와 도(圖)의 같지 않음
제11과 서책(書冊)을 읽는 법
제12과 황희(黃喜)와 허조(許稠)
제13과 이준경(李浚慶)과 이원익(李元翼)
제14과 친속(親屬)
제15과 지세(地勢)와 경계(境界)와 산해(山海) 및 연해안(沿海岸)
제16과 교통의 기관(機關)
제17과 곰을 만남
제18과 굳게 정함[堅定]
제19과 조세(租稅)
제20과 사회
제21과 일본
제22과 예수[耶蘇]
제23과 사동(使僮)을 택함
제24과 청나라[淸國]
제25과 덕(德)으로써 원한[怨]을 갚음
제26과 시간을 정성 다해 지킬 일
제27과 늙은 농부의 저녁 이야기[夕話]
제28과 박물관
제29과 가정의 책임이 부인에게 있음
제30과 그림자를 다툼
제31과 산 속의 쥐가 은혜[德]를 갚음
제32과 직업
제33과 아편연(鴉片煙)
제34과 이병찬(李秉纘)이 하인의 산업을 일으키게 함 1
제35과 이병찬(李秉纘)이 하인의 산업을 일으키게 함 2
제36과 김수팽(金壽彭)
제37과 김수팽의 모친
제38과 친구의 편지
신찬초등소학 원전
[ 편역자 ] 박민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주요 논저로 <근대시에 나타난 일본체험 양상>, <서정주 이야기시의 서사전략>, <<현대시와 상상력의 동일성>>, <<행복한 시읽기>>, <<매혹의 언어>>, <<현대시 산책>>, <<시인, 영화관에 가다>> 등이 있다.
[ 편역자 ] 최석재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주요 논저로 <개화기 시대 이후 단문화의 과정>, <현대국어 대우법의 화계 구분에 대한 고찰>, <결합형 어미의 양상 연구>, <<국어 대우법 체계의 정보화 연구>>,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공저) 등이 있다.
[도서명] 신찬초등소학 상·하(현채 저작 겸 발행)
[총서명]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2
[편역자] 박민영 최석재
발행일 2012년 09월 28일
(상) 978-89-5996-169-6 93370
(하) 978-89-5996-170-2 93370
신국판 양장 / 388쪽(상)・484쪽(하) / 값 29,000원(상)・36,000원(하)
'인문사회 > 한국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초등소학(정인호 편술 겸 발행,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0) (0) | 2020.08.28 |
---|---|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상/하, 학부 편찬,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1) (0) | 2020.08.27 |
여자독본(남숭산인 장지연 편,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3) (0) | 2020.08.24 |
부유독습(강화석 저,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14) (0) | 2020.08.21 |
소학독본・유몽휘편(학부 편집국 편찬, 한국개화기 국어교과서 2) (0) | 2018.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