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훈민정음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영화 <나랏말싸미> 그 후)
저자는 수필작가이자 현직 고등학교 교장이다. 2019년 영화 <나랏말싸미>를 보고 의문이 폭발하여, 단번에 수십 권의 책을 사고, 인터넷을 뒤지고 밤잠을 설쳐가며 훈민정음에 파고들었다고 한다. 또한 <조선왕조실록 사이트>에 들어가 관련 자료를 내려 받아 틈나는 대로 읽었다고 한다. 세종 25(1443)년 12월 30일 기사에 딱 한 번 창제 사실이 나온다. 앞뒤가 잘려 나간 채 달랑 57자의 한자가 전부다. 왜 그랬을까? 그 중요한 새로운 문자의 창제 사실을 그렇게 간단하게 알렸을까?
저자는 훈민정음을 공부하면서 놀랄 만한 사실을 발견하게 됐다. 훈민정음 비밀코드 15가지다. 예를 들어, 그 유명한 ‘나랏말싸미 중국에 달아….’로 시작하는 <세종어제서문>은 정확히 108자다. 이것은 약과다. 이외에도 알 수 없는 코드가 널려 있다. 이는 다빈치 코드가 아니라 한글 코드다. 누가 이를 심어놓았을까? 이 책은 그가 바로 신미대사일 것으로 확신한다.
훈민정음 비밀코드 15가지
1. ≪훈민정음≫ 언해본 세종어제서문 글자 수 108자: 세조 5(1459)년에 간행된 ≪월인석보≫ 권1 첫머리에 있음.
2. ≪훈민정음≫ 해례본의 정음편(서문+예의) 한자 갈래 수 108자: 세종 28(1446)년에 간행된 ≪훈민정음≫ 간송본의 정음편
3. ≪월인석보≫ 권1의 종이 장수 108장(張): 훈민정음 언해 15장, 팔상도 7장(낙장 1장), 석보상절 서 6장, 어제 월인석보 서 26장, 불패(패기) 1장, 본문 52장
4. ≪훈민정음≫ 해례본의 종이 장수 33장(張): 불교의 우주관 33천과 일치(저녁예불 시 33번 범종 울림)
5. 훈민정음 창제 문자 수 28자(자음 17자, 모음 11자): 불교의 우주관 28천과 일치(새벽예불 시 28번 범종 울림)
6. 훈민정음 창제 중성(모음) 기본자 3자: 주역의 3재에서 따왔다고 하나, 3은 불교의 신성수임
7. ≪훈민정음≫ 해례본 정음해례편의 ‘결왈(訣曰)’ 칠언고시 형식: 정음해례(용자례 제외)에 등장하는 칠언고시는 ‘게송’으로 불경만의 고유한 형식임.
8. 문종실록에서 신미와 정음청의 일 언급: 문종실록 4권, 문종 즉위(1450)년 10월 20일 무술 2번째 기사에서 문종이 직접 신미와 정음청을 연결하여 언급함.
9. 세종이 신미에게 내린 26자 칭호 중 우국이세(祐國利世): ‘나라를 돕고, 세상을 이롭게 했다’라는 뜻으로 신미가 훈민정음 창제에 관여했음을 암시함. 사헌부의 상소 중 “참으로 이 일이 부득이한 데서 나왔는지를 알지 못하겠습니다.”(문종 즉위년 7월 16일 기사)라고 언급함.
10.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의 신미에 대한 지극한 공경: 세종실록 116권, 세종 29(1447)년 6월 5일 병인 2번째 기사에 “수양대군 이유와 안평대군 이용이 심히 믿고 좋아하여, 신미를 높은 자리에 앉게 하고 무릎 꿇어 앞에서 절하여 예절을 다하여 공양하고….”란 기록이 있음.
11. 범어 등 외국어에 능통한 언어학의 대가로서 세종과 소통: 신미의 둘째 동생이자 집현전 학사를 지낸 김수온의 ≪식우집≫ 권2 <복천사기>에 세종이 신미를 불러 만났다는 기록이 있음.
12. 훈민정음 대중화와 보급을 위한 불경 언해 사업 주관: 간경도감에서 불경 원전 31종 500권, 불경 언해본 9종 35권 간행.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도 신미가 도운 것으로 봄.
13. 훈민정음 창제 후 세종의 두 번에 걸친 청주 초수 행궁 행차: 안질 치료와 새로운 문자 시험 목적도 있었으나, 복천사의 신미를 만나기 위해 갔다고 봄.
14. 신미가 예종에게 올린 한글 상소: 예종실록 6권, 예종 1(1469)년 6월 27일 기묘 5번째 기사에서 신미가 언문(한글)으로 상소를 올림. 대신들은 한결같이 한문으로 올린 점에 비추어보아 매우 이례적임.
15. 세조의 속리산 복천사 방문과 오대산 상원사 중창 지원: 신미를 만나기 위해 속리산 복천사를 방문하고, 오대산 상원사 중창과 관련하여 물자를 전폭적으로 지원함.
한글 창제의 진실에 대하여 화두를 던지다
이 책은 이러한 의문을 가감 없이 썼다. 교양서적이지만 어느 정도 합리적 의심으로 다가간 연구 보고서다. 한글 창제의 진실에 대하여 화두를 던진다. 특히 신미대사와 관련된 실록 기사를 낱낱이 해부하여 실었다. 이러한 시도는 모름지기 최초일 것이다. 저자는 신미의 조선왕조실록 기사를 접하면서 눈물을 흘렸다고 고백한다. 역대 왕들은 신미를 왕사급으로 대우하는데, 대소신료들은 승냥이처럼 그를 물어뜯는다. 기사가 온통 비난과 질시로 가득하다. 도대체 왜 그랬을까? 단지 억불숭유의 시대였기 때문에? 그렇다면 신미는 한낱 승려로서 천민 신분이었는데, 역대 왕들의 존숭을 받으며 어떻게 실록에 당당히 등장할 수 있었을까?
이 책의 내용은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영화 <나랏말싸미> 그 후’다. 영화를 보고 충격을 받은 후 저자 나름의 의문을 SNS에 올린 글을 다시 풀어썼다. 현장에 직접 가보기도 하고, 지인들과 함께 토론한 내용도 담았다.
2부는 ‘훈민정음을 공부하다’이다. 이런 의문을 바탕으로 ≪훈민정음≫ 해례본을 공부하고 알게 된 내용을 글로 썼다. 여기서 백미는 단연 ‘훈민정음 비밀코드’다. 이곳에서 코드를 다 설명하지는 못했다. 비밀코드는 여러 곳에서 밤하늘의 별처럼 반짝반짝 나타난다.
3부는 ‘훈민정음에서 신미를 보다’이다. 이 글은 연구 논문이다. 공부하다 보니 공모 논문을 썼는데, 이것이 지역 학술지 ≪충북학≫ 21집에 실렸다.
4부는 ‘조선왕조실록에서 훈민정음과 신미를 보다’이다.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훈민정음 10건, 신미대사 69건의 기사(신미대사 이름으로 139번 등장함)를 샅샅이 뒤져서 하나하나 해설을 붙였다. 그리고 가감 없이 상상과 추론을 더했다.
우국이세(祐國利世: 나라를 돕고 세상을 이롭게 했다)
(한글 탄생 비밀 이야기)
세종은 죽기 전, 신미를 침실로 불러 법사를 부탁하고 극진한 예절을 다하여 대우한다. 26자나 되는 긴 법호(禪敎宗都摠攝密傳正法悲智雙運祐國利世圓融無礙慧覺尊者)를 내린 것도 이때다. 칭호 중에 ‘우국이세(祐國利世)’는 뜨거운 감자다. ‘나라를 돕고 세상을 이롭게 했다.’는 뜻인데, 신미가 무엇을 어떻게 했기에 이러한 칭호를 내렸을까? 문종 즉위년 7월 16일 기사에 우국이세와 관련하여 “참으로 이 일이 부득이한 데에서 나왔는지를 알지 못하겠습니다.”라는 사헌부의 상소문이 나온다. 여기서 이 일이란 우국이세 칭호를 말한다. 정말 놀랄 일이다. 신하들의 끈질긴 반대 상소를 임금이 받아들이지 않자, 결국 이런 말을 해 버린다. 아니, ‘부득이한 데에서’라니! 이 말 역시 비밀코드다. 과연 훈민정음의 탄생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이 책은 신미를 통하여 나름대로 답을 제시하고 있다. 영화보다도 더 맥락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를 들이대면서 이 책은 훈민정음 탄생에 대한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 목차 ]
책머리에
훈민정음 비밀코드 15가지
1부 영화 <나랏말싸미> 그 후
신미는 어디에?
훈민정음 마당
영화 <나랏말싸미>
명대사에 꽂히다!
역사 왜곡 논란
도대체 무얼까?
속리산 복천암
복천암 월성 스님
수암화상 부도
그 책,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 창제는 왜 비밀에 부쳤을까?
2부 훈민정음을 공부하다
광화문광장에 가다!
훈민정음 OX 28 퀴즈
훈민정음 비밀코드
수레바퀴 인문여행
세조길
조선왕조실록 사이트
모음 11자는 신미가 만들었다고?
신미는 훈민정음 T/F팀의 전문적 실무자!
국립한글박물관에 신미는 없었다!
복간본 ≪훈민정음≫을 가슴에 품다!
한글날에 한글을 생각한다
조선왕조실록을 카페에 올리다
김수온의 ≪식우집≫을 찾다
이단으로 몰린 불교
소설 ≪직지≫ 속의 신미대사
≪월인석보≫ 권1의 장수가 108장이라고?
연구 논문을 쓰다
3부 훈민정음에서 신미를 보다
훈민정음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훈민정음, 무엇이 쟁점인가?
언어학의 대가로서 세종과 소통
혜각존자 법호와 뜬금없는 ‘병인년’ 언급
혜각존자 법호에 대한 격렬한 반대 상소
세종의 두터운 신뢰와 극진한 예우
역대 왕들의 끊임없는 예우
불교 법수와 칠언고시 표현
불경 언해 사업 주관
임금이 만든 훈민정음에 반대하는 신하들
세종의 건강 악화와 초수 행궁 행차
모음 11자, 신미대사 추가 주장
실록 편찬의 진실과 불가의 구전설
한글 창제의 진실은 밝혀져야 한다
4부 조선왕조실록에서 훈민정음과 신미를 보다
들어가며
훈민정음 관련 기사
신미대사 관련 기사
세종대의 신미대사(1~10)
문종・단종대의 신미대사(11~38)
세조・예종대의 신미대사(39~50)
성종・연산군대의 신미대사(51~69)
도움받은 책들
[ 지은이 최시선 ]
충북대와 한국교원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그동안 중ㆍ고등학교 교사, 장학사와 교감을 거쳐 지금은 충북 진천 광혜원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 중이다.
2006년 문단에 데뷔하여, 한국문인협회ㆍ충북수필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청주문인협회 부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중부매일신문에 10년간 수필을 연재하고 있으며, 틈나는 대로 SNS에 글을 올리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청소년을 위한 명상 이야기≫, ≪학교로 간 붓다≫, ≪소똥 줍는 아이들≫, ≪내가 묻고, 붓다가 답하다≫(개정증보판), 수필집 ≪삶을 일깨우는 풍경소리≫ 등이 있다.
2019년 한 해가 다 갈 무렵, 영화 <나랏말싸미>를 본 후 훈민정음이 너무 궁금해 8주간이나 청주에서 서울을 오가며, ≪훈민정음≫ 해례본 강독 교육을 마쳤다. 현재는 다음 카페 ‘한글 창제와 신미대사 연구회’를 운영하고 있다.
[도서명] 훈민정음 비밀코드와 신미대사: 맥락적 근거로 파고든 한글 탄생 비밀 이야기
[지은이] 최시선
[펴낸곳] 경진출판
신국판(152×224) / 332쪽 / 값 17,000원
발행일 2020년 08월 15일
ISBN 978-89-5996-745-2 03710
분야: 인문>교양, 인문>언어>훈민정음
'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G2시대, 중국과 미국을 이끈 지도자들(공봉진 김혜진 지음) (0) | 2021.06.02 |
---|---|
어른아이학개론 (1) | 2021.05.28 |
(개정판) 소통 불통 먹통 (2) | 2021.05.27 |
인문학과 글쓰기 역량: 감성·창의·소통·직무 (0) | 2020.10.26 |
바로잡기 우리말 101가지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