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권력의 변천과 동아시아 인문학의 연구 성과를 보급하다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의 HK플러스 사업팀이 15세기를 기점으로 동아시아 지식 지형과 권력의 상관성을 키워드로 하여 한국 지식사를 규명하고자 한 의도는 한국 학문 발전사뿐만 아니라 한·중·일의 지식 교류사, 지식의 영향력, 지식 사회의 미래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갖추고,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소를 세계적인 지식 담론의 생산처로 발돋움하게 하는 데 있다.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에서 다루어야 할 지식 담론은 전근대의 한·중·일 지식 현상뿐만 아니라 본 대학의 위치한 경기 동남부를 중심으로 한 각 지역의 지역학, 이를 기반으로 한 국내 각 지방의 지역학 네트워크 구축, 인접 국가인 중국과 일본의 지역학 등을 포함한다.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의 총서는 학술 총서와 교양 총서(자료 총서 포함)로 구분되어 있다. 교양 총서는 ‘시민 강좌’, ‘해외 석학 초청 특강’, ‘학문 후속 세대를 위한 명사 초청 특강’ 등의 사회적 소통 성과를 바탕으로 본 사업단의 아젠다 연구 성과를 보급·확산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특히 이 총서는 본 사업단의 지역 인문학 센터인 ‘향기 인문학(鄕氣人文學) 센터’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아젠다를 심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에 발행하는 ≪동아시아 전통 지식 이론의 발전과 그 근대적 굴절≫은 본 사업단의 일반(공동) 연구원인 철학과 황종원 교수가 기획하여, 강좌 형태로 개발한 성과물이다. 황 교수는 2017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의 일반공동연구 ‘한국에 영향을 미친 중국 근대 지식과 사상’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그 결과를 본 사업단 발전의 초석으로 삼을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해 주었다. 이번 총서의 주요 콘텐츠 또한 공동연구의 성과물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강좌는 ‘묵가와 순자의 지식에 대한 적극적 긍정’(김세종), ‘장자와 지식 권력’(윤지원), ‘무위적 지혜와 유위적 지식의 종합’(송종서) 등 동아시아 전통 지식 이론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는 제1부, ‘위진현학의 지식과 지혜 이론’(이진용), ‘앎에 대한 불교 이야기’(김원명), ‘앎의 문제를 통해 본 주자의 불교 비판과 선진 유학 이론의 계승·발전’(연재흠), ‘양명학의 주자학적 지식론 비판 및 지행합일론’(조원일) 등의 불교 또는 유교 지식 이론의 상관 관계를 전달하고자 하는 제2부, ‘조선 실학자들의 지식 수용 및 주체적 변용’(이행훈), ‘동학의 서학 및 유학의 지식 체계 비판과 그 창조적 전환’(황종원),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의 인식-실천론 수용 및 그 중국적 변용’(조봉래) 등의 서구 근대 지식 이론과 전통 지식 이론의 길항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 제3부로 구성되었다. 또한 서구적 근대 지식의 유입과 전통 지식의 충돌·융합 등을 보여주는 근대 한국의 대표적인 종교 지식 담론의 하나인 ‘동서양 각국 종교 원류’(『황성신문』 1902년 8월 11일~8월 23일자 9회 연재 논설)를 부록에 수록하기로 하였다.
목차
묵자와 순자의 지식에 대한 적극적 긍정 _ 김세종
1. 서론
2. 묵자와 ≪묵자≫ 소개
3. 원문과 해설
4. 묵가 학파의 쇠퇴
5. 순자와 ≪순자≫ 소개
6. 원문과 해설
7. 결론
장자와 지식 권력 _ 윤지원
1. 들어가는 말
2. 현대사회와 지식 권력
3. 장자의 지식론
4. 나가는 말
무위적 지혜와 유위적 지식의 종합 _ 송종서
: ≪맹자≫, ≪중용≫, <역전>을 중심으로
1. 지식인의 등장
2.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모색한 춘추・전국시대
3. 자연의 논리와 노동의 논리
4. 무위자연의 논리를 ‘행(行)’하는 맹자의 새로운 노동 논리
5. ≪중용≫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협동노동의 통치이념
6. <역전>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협동노동의 자연과학
제2부 불교적 지식 이론의 유입 및 유교적 지식 이론과의 충돌, 융합
위진현학의 지식과 지혜 이론 _ 이진용
1. 위진현학의 등장, 새로운 학문과 지식 체계를 꿈꾸다
2. 위진현학에서 생각하는 세계와 존재에 대한 앎
3. 위진현학에서 생각하는 지식의 병폐와 그 문제점
4. 위진현학에서 생각하는 참된 지혜와 삶의 모습
앎에 대한 불교 이야기 _ 김원명
1. 들어가는 말: 지식이란 무엇이고, 지혜란 무엇인가?
2. 앎의 구조: 진나 3분설(三分說)과 현장 4분설(四分說)
3. 부분적인 앎과 전체적인 앎: 코끼리와 장님의 비유
4. 어리석음과 그로 인한 삶: 무명(無明)과 연기(緣起)
5. 마음의 종교: 유식사상
6. 맺는 말: 선가(禪家)에서 ‘달과 손가락 비유’를 통해 본 앎
앎의 문제를 통해 본 주자의 불교 비판과 선진 유학 이론의 계승・발전 _ 연재흠
1. 시대적 배경
2. 앎의 대상
3. 앎의 방식
4. 결론
양명학의 주자학적 지식론 비판 및 지행합일론 _ 조원일
1. 송명리학의 발생
2. 주자학의 형성
3. 양명학의 성립과 발전
4. 양명학의 주자학 비판 및 지행합일론
제3부 서구적 근대 지식 이론의 유입 및 전통 지식 이론과의 충돌, 융합
조선 실학자들의 지식 수용 및 주체적 변용 _ 이행훈
1. ‘실학’ 개념과 조선후기 실학
2. 서학 수용과 주체적 적용
3. 중국 중심의 천하관과 중화주의 해체
4. 개방적・실용적 학문관
5. 사회제도 개혁론과 정치사상
동학의 서학 및 유학의 지식 체계 비판과 그 창조적 전환 _ 황종원
1. 동학, 서구의 지식 체계를 비판하며 등장하다
2. 동학이 유학의 지식 체계에서 비판하고 계승한 것
3. 동학이 말하는 우주자연에 대해 안다는 것
4. 동학에서 말하는 인간 삶에서 알아야 할 것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인식 _ 조봉래
: 천론 수용 및 그 중국적 변용
1. 지(知)와 행(行)의 관계에 대한 오랜 논쟁과 마르크스주의적 해결
2. 초기 마르크스주의 수용의 과정과 특징
3. 모택동 사상과 <실천론>을 통해 본 인식과 실천
4. 개혁개방 이후의 인식과 실천
[부록] 동서양(東西洋) 각국(各國) 종교 원류(宗敎源流)
동서양(東西洋) 각국(各國) 종교 원류(宗敎源流) _ 김경남・허재영 번역
: ≪황성신문≫ 논설(1902.8.11~8.23)
지은이
기획: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
<집필진>
김세종: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윤지원: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송종서: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강사
이진용: 연세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김원명: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연재흠: 공군사관학교 교수
조원일: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이행훈: 한림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황종원: 단국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조봉래: 인천대학교 철학과 교수
<자료 번역>
김경남: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허재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부교수(일본연구소장・HK+ 사업 연구책임자)
도서정보
[도서명] 동아시아 전통 지식 이론의 발전과 그 근대적 굴절
[기획]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
[지은이] 김세종, 허재영, 김태훈, 윤지원, 민현식, 강문식, 황종원
[총서명] 지식인문학교양총서(시민강좌1)
신국판(152×224) / 372쪽 / 값 21,000원
발행일 2019년 06월 05일
ISBN 978-89-5996-254-9 03000
분야: 총류> 지식, 학문 분야/ 인문>교양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술로 읽는 우리 연극: 태동에서 실험까지 (0) | 2021.01.29 |
---|---|
동아시아 지식 인문학의 지평을 탐색하다(지식인문학교양총서: 석학에게듣는다 1) (0) | 2021.01.28 |
지식의 확산과 공유 [부록] 동아일보 소재 '구주 사상의 유래'(지식인문학총서: 지식사회화 1) (0) | 2021.01.26 |
광흥사 월인석보 권7·권8 (0) | 2021.01.26 |
한국에 영향을 미친 중국 근대 지식과 사상 (0) | 202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