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동아시아

지식의 확산과 공유 [부록] 동아일보 소재 '구주 사상의 유래'(지식인문학총서: 지식사회화 1)

by 양정섭 2021. 1. 26.

"아는 것이 힘이다."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지식의 가치를 규명하다

 

지식의 사회화란 지식의 영향력을 의미한다.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단순 명제로부터 진실된 앎과 지식인의 태도, 지식과 권력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 이 총서이다. 이 총서는 지식 사회학의 관점에서 지식의 가치를 규명하고자 하는 지식 인문학 연구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
≪지식의 확산과 공유≫는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가 지향하는 지식 인문학 연구의 초석을 놓기 위한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이 책은 2부와 부록으로 구성하였는데, 제1부에서는 본 사업단의 아젠다에 관한 연구 책임자(허재영)의 ‘지식 인문학 연구의 의미’, 김세종 연구교수의 ‘지식의 영향력과 구성 요인’, 김태훈 연구교수의 ‘지식 공유에 대한 체계적 이해 시도’, 윤지원 연구교수의 ‘동아시아와 유학’ 등 시론적인 연구로 구성하였으며, 제2부에서는 지식의 사회화와 관련한 실제적인 연구 논문을 수록하고자 하였다. 민현식 교수의 ‘한중일 지식 교류사와 어문교육의 관련성’은 본 사업단의 제1회 국내 학술대회 기조 강연 원고이며, 강문식 교수의 ‘여말선초 성리학의 수용과 확산’, 황종원 교수의 ‘하린의 손문 지행관계론에 대한 옹호와 수정, 그리고 그 의미’, 김세종 연구교수의 ‘지식사회화의 단면 고찰’ 등은 지식의 영향력과 관련한 논문들이다. 
부록에 수록한 ≪동아일보≫ 소재 ‘구주사상의 유래’는 우리나라에 소개된 최초의 본격적인 서양 철학사와 관련한 글로 1920년대 84회에 걸쳐 이루어진 연재물이라는 점에서 지식의 사회적 영향력을 탐색하는 좋은 자료라고 판단되어, 총서 간행 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수록을 결정하였다. 
이번 사회화 총서 개발은 여러 가지 험난한 일이 많았다. 지식의 영향력에 대한 개념 정의나 지식 권력 연구 범위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고, 학문 분야별 지식의 영향력에 대한 의견 절충에도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 그렇지만 아무리 어렵고 힘든 일일지라도 첫 걸음을 떼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지식의 확산과 공유> 표지(지식인문학총서: 지식사회화 1)

 

목차

 

제1부 지식의 확산과 공유・사회화

지식의 사회사와 지식 인문학 연구의 의미 _ 허재영
1. 서론
2. 지식의 사회사와 지식사회학
3. 지식 현상과 지식 인문학
4. 지식 인문학 연구 대상과 방법
5. 결론

지식의 영향력과 구성 요인 _ 김세종
: 삼봉의 불교 비판과 심성론을 중심으로
1. 서론
2. 불교 비판의 의의와 목적
3. 삼봉 심성론의 구조
4. 삼봉 심성론의 특징: 심성론의 제도화
5. 결론

‘지식 공유’에 대한 체계적 이해 시도 _ 김태훈
: 동아시아 지식사 조망을 위한 이론적 고찰에 대한 제언
1. 머리말
2. 지식 유통・확산의 메커니즘
3. 지식의 공유와 구현: 학술 지식을 중심으로
4. 맺음말

동아시아와 유학(儒學) _ 윤지원
1. 유학 지식권력의 탄생
2. 근대 이후 유학의 변천
3. 동아시아와 유학(儒學)


제2부 지식사회화 연구의 실제

한중일 지식 교류사와 어문교육의 관련성 _ 민현식
: 문맹과 불통의 문제와 극복을 중심으로
1. 한중일 지식 교류의 생명력과 폐쇄의 파괴력
2. 지식 교류 정체(停滯)의 결과: 문맹과 불통의 심화
3. 중국 지식의 마지막 영향: 조선 최후의 언해본 ‘이언(易言)’
4. 지식 교류와 문체 갈등
5. 지식 교류와 국어학의 학문적 양상 변화
6. 문맹과 불통의 극복: 교회의 문맹퇴치 운동과 만민평등의 복음
7. 맺음말

여말선초 성리학의 수용과 확산 _ 강문식
: 연구사 정리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고려 말 성리학 수용의 토대
3. 성리학의 수용 경로와 성격
4. 성리학의 확산
5. 맺음말

하린의 손문 지행관계론에 대한 옹호와 수정, 그리고 그 의미 _ 황종원
1. 들어가며
2. 손문의 지난행이설에 대한 옹호
3. 손문의 지행관계론에 대한 수정
4. 옹호 및 수정의 신심학적 배경과 의미

지식사회화의 단면 고찰 _ 김세종
: 묵자 사상의 자각과 반성을 중심으로
1. 서론
2. 묵자의 천론
3. 묵자의 인간론: 인간 이해와 윤리론
4. 묵자의 사회론: 사상의 제도화
5. 결론


[부록] 구주사상(歐洲思想)의 유래(由來)

구주사상(歐洲思想)의 유래(由來) _ 김세종 해제, 허재영 주(註)
: ≪동아일보≫ 소재(1922.3.8~6.22, 총 84회 연재), ‘구주사상(歐洲思想)의 유래(由來)’

 

 

지은이

 

기획: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
김세종: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허재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부교수(일본연구소장, HK+ 사업 연구책임자)
김태훈: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윤지원: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민현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수
강문식: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황종원: 단국대학교 철학과 교수

 

 

도서정보

 

[도서명] 지식의 확산과 공유 [부록] ≪동아일보≫ 소재 ‘구주 사상의 유래
[기획]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
[지은이] 김세종, 허재영, 김태훈, 윤지원, 민현식, 강문식, 황종원
[총서명] 지식인문학총서(지식사회화1)
신국판(152×224) / 516쪽 / 값 35,000원
발행일 2019년 06월 05일
ISBN 978-89-5996-253-2 93000
분야: 총류> 지식, 학문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