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경 선집ㆍ필사한 한문소설집
≪선현유음≫은 17세기 경 누군가가 선집ㆍ필사한 한문소설집으로, 17세기나 그 이전 작품인 <주생전(周生傳)>, <운영전(雲英傳)>, <최현전(崔灦傳)>, <강산변(江山辨)>, <상사동기(相思洞記)>, <왕경룡전(王慶龍傳)>, <최척전(崔陟傳)>, <최선전(崔仙傳)>, 총 8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선현유음≫처럼 8편이나 되는 작품이 한 권으로 묶인 한문소설집은 김일성대학 소장의 ≪화몽집≫뿐이다. ≪화몽집≫ 역시 17세기경 편찬된 것으로 9편(<피생명몽록>은 서두만 있기에 실질적으로는 8편이다)이 필사되어 있다.
≪선현유음≫의 발굴은 17세기 중엽 이후 한문소설의 전사(轉寫)와 유전(流傳)이라는 측면에서, 또 ‘소설집의 동기화’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귀중한 자료집이다.
흥미로운 점은 ≪선현유음≫ 편찬자의 필사 선집 의식이다. <최선전>과 <강산변>을 제외한 모든 작품이 애정전기소설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현전> 같은 경우는 이 소설집에만 필사된 유일 작품으로 중국에서 수입된 애정전기소설이 토착화한 소설이다. <최현전>에는 우리 국문소설에 보이는 설화가 다량 보인다. <최현전>은 분명 우리 애정전기소설의 서사문법을 흔들어 놓은 작품이다.
필사자가 다부진 소설 의식으로 ‘애정’과 ‘재미’라는 점을 예각화하여 선집 필사하였음을 유의한다면 조선 중기의 소설 의식이 예사롭지 않은 단계에 이르렀음을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반증이다. 이러한 객관적 사실로 미루어, ≪선현유음≫이 이미 17세기 우리 고소설사에서 자리매김이 오롯함을 알 수 있다.
17세기 무렵의 애정전기소설을 통해 조선 중기의 시대상을 엿보다
≪선현유음≫ 개정판은 독자와 연구자를 고려하여 상ㆍ하 두 권으로 나누었다. 상권은 ≪선현유음≫에 실린 한문소설들을 번역하여 실었다. 17세기의 한문소설 그 자체로의 재미와 필사자가 어떠한 내용의 소설들을 선별하여 필사하였는지, 그 의도를 파악해 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하권은 ≪선현유음≫ 영인(影印)과 수록된 작품 전체를 다룬 논문, 그리고 원문을 이본과 교감・주석하였다.
[ 목차 ]
≪선현유음≫ 개정판에 부쳐
주생전(周生傳)
운영전(雲英傳)
최현전(崔灦傳)
강산변(江山辨)
상사동기(相思洞記)
왕경룡전(王慶龍傳)
최척전(崔陟傳)
최선전(崔仙傳)
[ 간호윤 주해(註解)ㆍ역(譯) ]
순천향대학교(국어국문학과) 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국어교육학과) 졸
인하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학과) 졸
현재 서울교대, 인하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
≪한국 고소설비평 연구≫(경인문화사, 2002,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마두영전 연구≫(경인문화사, 2003)
≪억눌려 온 자들의 존재 증명: 고소설비평의 풍정≫(이회, 2003)
≪개를 키우지 마라: 연암소설산책/고소설비평시론≫(경인문화사, 2005)
≪기인기사≫(푸른역사, 2008)
≪고전서사의 문헌학적 탐구와 현대적 변용≫(박이정, 2008)
≪<주생전>ㆍ<위생전>의 자료와 해석≫(박이정, 2008)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김영사, 2010)
≪당신 연암: 11인의 시선으로 연암을 읽다≫(푸른역사, 2012)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조율, 2012, 문화관광부 우수교양도서)
≪그림과 소설이 만났을 때≫(새문사, 2014, 세종학술도서)
≪기인기사록≫ 하(보고사, 2014)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소설로 부르는 고려속요≫(새문사, 2016)
≪연암 박지원 소설집≫(새물결, 2016, 개정판)
≪송순기 문학 연구≫(보고사, 2016)
≪아! 18세기-나는 조선인이다≫(새물결, 2017, 근간)
≪(글·말) 이야기의 (그림) 이야기: 욕망의 시대, 신연활자본고소설책의도에 나타난 욕망을 찾아서≫(소명, 2017, 근간) 등 30여 권의 저서들이 있다.
[도서명] 선현유음 (상): 조선 후기 필사본 한문소설집
[주해ㆍ역] 간호윤
신국판(152×224) / 384쪽 / 값 25,000원
발행일 2017년 5월 5일
ISBN 978-89-5996-535-9 94810
[분야] 소설 > 한국소설 > 고전소설
'인문사회 > 한국-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시아 이주민 사회와 문화 적응(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총서 10) (0) | 2020.12.01 |
---|---|
선현유음 (하): 조선 후기 필사본 한문소설집 (0) | 2020.11.30 |
성남세고(城南世稿) (0) | 2020.11.25 |
조선후기 한글 유배일기 연구 (0) | 2020.11.23 |
국어의 담화표지(학술 11) (0) | 2020.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