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동아시아

국어의 담화표지(학술 11)

by 양정섭 2020. 11. 20.

담화표지 연구를 이끌다.


국어 개별 담화표지의 의미 기능과 문법화 과정 등을 논의한 글들로 구성


담화표지란 대화에서 특정한 역할을 해주는 것을 말한다. 담화표지에는 직접 말을 함으로써 특정한 역할을 드러내는 언어적 담화표지와 몸짓, 표정, 손짓, 억양 및 어조 등 말이 아닌 것으로 역할을 드러내는 언어 외적 담화표지가 있다. 대개 집중, 내용 구별, 내용 정리, 기억 등에 도움을 준다. 담화표지의 역할으로는 내용의 예고, 강조, 요약, 예시, 열거 등이 있다.


이 책은 국어 개별 담화표지의 의미 기능과 문법화 과정 등을 논의한 글들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담화표지 ‘좀’의 형성 과정과 그 의미 기능 및 ‘좀’ 구문의 통사적 기능에 대한 논의이며, 2장은 의문사 ‘뭐’가 담화표지로 쓰이게 되는 과정과 이의 담화적 기능을 살펴본 것이다. 3장과 4장에서는 각각 의문사 ‘어디’와 ‘왜’가 담화표지로 문법화되는 원리를 밝히고 이들의 담화적 기능을 고찰했다.

5장에서는 부정 응답어로 쓰이는 ‘아니’의 부정 원리에 기초하여, ‘아니’가 응답어로 쓰이지 않고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표지로 쓰일 때의 의미 기능을 구명했다. 부사와 명사로 쓰이는 ‘다’가 담화표지로서의 용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의 담화 기능 및 이 구문의 통사적 특성과 문법화에 대해 논의한 것이 6장이다. 7장에서는 ‘참’의 감탄사 및 담화표지로서의 의미 기능을 밝히고, 이들 각각의 의미 기능은 부사 ‘참’의 어휘 의미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문득 떠오른 생각을 표출하는 ‘참’과 감정 표출의 ‘참’은 별개의 감탄사라는 것도 밝혔다. 마지막 8장은 담화표지와는 조금 거리가 있으나 부정의문문에 대한 응답 방식을 계량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중립적/비중립적 동사 부정문과 계사 부정문을 서면 질문 매체와 동영상 질문 매체 방식으로 나누어, 각각의 부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이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통계적으로 밝혔다.


담화표지는 이에 대한 명칭도 다양하며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그 범주 대상에도 이질적인 것들이 혼재되어 연구되어 왔다. 이런 사실만으로도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의 길이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이 국어 담화표지의 연구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목차 ]


1장 담화표지 ‘좀’의 의미 기능

1. 문제의 제기

2. ‘좀’의 문법화와 의미 기능

2.1. ‘좀’의 담화표지적 기능

2.2. 기왕의 연구 및 문제점

2.3. ‘좀’의 문법화와 기본적 의미

2.4. 각 서법에서의 ‘좀’의 의미 기능

2.5. ‘좀’의 초점적 기능

2.6. ‘좀’이 독립적으로 쓰이는 경우

2.7. ‘좀’ 구문의 통사 현상

3. 결론


2장 ‘뭐’의 문법화와 담화 기능

1. 문제의 제기

2. 담화표지 ‘뭐’의 특징과 문법화

2.1. 담화표지 ‘뭐’

2.2. 담화표지 ‘뭐’ 구문의 특징

2.3. 담화표지 ‘뭐’의 문법화

3. ‘뭐’의 담화적 기능

3.1. 이해불가한 상황에 대한 의문 태도 표출

3.2. 머뭇거림 표시

3.3. 발화 내용의 불확실성 표시

3.4. 불쾌감 표출

3.5. 반어적 해석 기능

3.6. 평가절하의 태도 표출

3.7. 화자의 처지나 상황에 대해 불만표시

3.8. 상대의 제안/요구에 대한 부정적 태도 표출

3.9. 주어의 행위에 대한 비판적 태도 표출

3.10. 무관심이나 비관여적 태도 표출

3.11. 초점화 기능

3.12. 발화 내용 강조

3.13. 문제에 대한 안일한 인식 태도 표출

3.14. 상대에 대한 도전적 태도 표출

3.15. 발화 내용에 대한 비단정적 태도 표출

3.16. 이의 제기적인 심리 태도 표출

3.17. 부정의 기능

3.18. 발어사로서 막연한 심리 태도 표출과 부차적 기능

3. 결론


3장 담화표지 ‘어디’의 형성과 담화적 기능

1. 문제의 제기

2. 담화표지 ‘어디’의 형성과 담화적 기능

2.1. 담화표지 ‘어디’의 사용과 기능

2.2. ‘어디’의 담화적 기능

2.3. 담화표지 ‘어디’의 기본 의미와 담화 기능

3. 결론


4장 ‘왜’의 담화적 기능

1. 서론

2. 담화표지 ‘왜’의 형성 및 담화적 기능

2.1. ‘왜’의 세 가지 용법과 담화표지 ‘왜’의 형성

2.2. 담화표지 ‘왜’의 형성

2.3. ‘왜’의 담화적 기능

3. 결론


5장 간투사 ‘아니’의 의미 기능

1. 문제의 제기

2. 간투사 ‘아니’의 의미 기능

2.1. 부정소와 부정 응답 ‘아니’의 의미 기능

2.2. 부정 응답 ‘아니’의 부정 원리

2.3. 간투사 ‘아니’의 의미 기능 및 담화적 기능

3. 결론


6장 ‘다’의 담화표지적 기능과 통사적 특징 및 문법화

1. 서론

2. 담화표지 ‘다’의 의미 기능과 통사적 특징 및 문법화

2.1. ‘다’의 담화표지적 기능

2.2. ‘다’의 의미 기능

2.3. ‘다’ 구문의 통사 현상

2.4. ‘다’의 문법화

3. 결론


7장 ‘참’의 감탄사와 담화표지 의미 기능

1. 문제의 제기

2. ‘참’의 문법 범주와 의미적 관련성

3. 두 가지 감탄사 ‘참’과 그 의미

3.1. 감정/느낌 표현의 감탄사 ‘참(참1)’

3.2. 지각 작용 표출의 감탄사 ‘참(참2)’

4. 담화표지 ‘참’의 의미 기능

4.1. 느낌/감정 표현의 담화표지 ‘참(참3)’

4.2. ‘참3’의 담화표지적 기능

4.3. 감탄사 ‘참2’ 기원의 담화표지 ‘참(참4)’의 담화적 기능

5. 결론


8장 간투사 ‘응/아니’와 부정의문문에 대한 응답 방식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

1.3. 조사 대상 및 조사 내용

1.4. 질문지 문항 내용

1.5. 조사결과 분석 방법

2. 결과 분석

3. 결론


부록

참고문헌



[ 지은이 ] 구종남(具鐘南/ Koo, Jong-Nam)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박사(통사론)

논저: ≪국어의 부정극어≫, ≪보조용언의 의미와 문법≫ 외 다수



[도서명] 국어의 담화표지

[지은이] 구종남

신국판(152×224) / 276쪽 / 값 15,000원

발행일 2015년 12월 30일

ISBN 978-89-5996-491-8 93710

[분야] 언어 >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