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동아시아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by 양정섭 2020. 11. 17.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종합적인 평가 준거의 필요성


국어교육의 수준은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핵심적인 질문인 무엇을, 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제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어교육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을 측정하는 효과적인 방안 중의 하나가 바로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이다.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가 잘 이루어지면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도 높아지고, 국어교육의 질도 향상될 것이다.

그런데 아쉽게도 우리는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채 교육과정 개정이 거듭되어 왔음은 앞선 연구자들의 지적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일곱 차례에 걸쳐 개정되어 왔지만, 교육 외적인 요인에 의한 개정이 되었거나, 그 전 교육과정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데 그쳤을 뿐, 명확한 준거를 가지고 그 준거에 근거해 평가를 해 오지 않았다. 이런 문제는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도 그대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1997년 12월 30일 고시된 제7차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에 관한 평가를 실시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교육과정 질 관리 차원에서 교육과정 평가 연구를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총론의 ‘교육과정 평가와 질 관리’ 규정에서는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하여 국가 수준에서는 주기적으로 학생 학력 평가, 학교와 학교 교육기관 평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평가를 실시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반성에 터하여 학교교육과정평가편람(교육부, 1997), 초・중등 교육과정 평가 방안(김재춘 등, 1998) 등이 마련되어 기관과 학교에 대한 평가가 해마다 이루어지고 있고, 초・중등 교육과정 평가(박순경 등, 2001; 2002; 2003)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개별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체계적 평가의 필요성을 언급하는 연구도 거의 없으며, 개별 교과 교육과정 평가와 관련한 연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어과에 있어서도 교육과정 개발, 운영, 성과 등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평가 준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런 현실을 놓고 볼 때 국어과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우리 실정에 맞는 평가 준거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이 책에서는 기존의 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국어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하기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종합적인 평가 준거를 마련해 보이고자 한다. 그리고 그 준거들과 관련된 실제 평가의 보기들을 보일 것이다.

_<머리말> 중에서





[ 목차 ]


머리말


제1부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준거


제1장 뜻매김과 연구의 필요성 및 방법

1.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관련 용어의 뜻매김

2.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준거 연구의 필요성

3.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준거 연구 방법


제2장 선행 연구 분석 및 모형 구안

1. 교육과정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2. 교육과정 평가 준거 연구

3.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모형 구안


제3장 준거 설정을 위한 예비적 고찰

1. 국어과 교육과정 논리 및 평가 논리

2. 국어과 교육과정 관련 선행 연구 분석

3.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영역 상세화


제4장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의 준거

1.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단계 평가 준거

2. 국어과 교육과정 운영단계 평가 준거

3. 국어과 교육과정 성과단계 평가 준거


제5장 연구의 의의와 결론 및 제언

1.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준거 연구의 의의

2.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연구 결론

3.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제언


제2부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의 실제


제1장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유형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분석

3.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4. 분석 결과 및 제언


제2장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유형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분석

3.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4. 분석 결과 및 제언


제3장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유형 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3.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4. 분석결과 및 제언


제4장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유형 4: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1학년을 중심으로

1. 연구 목적

2.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3. 분석결과


제5장 7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연구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실행

3.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 지은이 ] 이창수(Lee, Chang-su)


경남 산청 시천에서 태어남.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

현재 창원외동초등학교 교사, 진주교육대학교 강사



[도서명]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지은이] 이창수

발행일 2010년 03월 10일

ISBN 978-89-8996-076-7 93370

값 19,000원 / 400쪽 / 신국판 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