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문범≫과 박태원의 문장론, 그리고 문장 의식
박태원의 ≪중등문범≫은, 본 근대독본총서에 포함된 정인승의 ≪한글독본≫과 함께 정음사 ≪부독본총서≫ 중의 한 권으로 1946년에 간행되었다. 정음사 ≪부독본총서≫는 “교재난을 타개키 위하여(최영해, <사축동잡록>, ≪근대서지≫ 9호, 근대서지학회, 2014.6, 148쪽)” 기획된 것으로, 전체 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방기 국어 교과서의 부족과 급조 사태를 감안하였을 때, ‘부독본’이긴 하지만 ‘교과서의 보조 수단’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을 것이다.
해방 이후 중등 교과용 도서를 목적으로 간행된 ≪중등문범≫(1946)과 ≪중등작문≫(1948)이 박태원 문장론의 집성이라 할 수 있다. ≪중등문범≫이 작품의 구절들만을 따서 묶은 문범집이라면, ≪중등작문≫은 작문에 대한 박태원의 생각이 ≪문장강화≫처럼 강화(講話: 강의하듯 쉽게 풀어서 한 이야기)의 형태로 기술된 책이다. 문장 짓기의 방법을 설명하고 그에 대한 인용문을 나열하는 식이다. ≪중등작문≫은 그간 박태원 연보에서 존재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으나, 최근 ≪근대서지≫ 9호(2014 상반기)에 영인되어 실렸다. ≪중등문범≫과 ≪중등작문≫은 상호 보완적인 텍스트로서, 함께 살피는 것이 박태원의 문장 의식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다.
문범으로 뽑은 글들을 바탕으로 박태원의 의도를 짐작해 보자면, 사계절의 변화와 그에 따른 자연의 묘사 등을 감정의 섬세함뿐 아니라, 그러한 감정을 바탕으로 작성되는 문장의 섬세함을 담보할 수 있는 유효한 도구로 인식하였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장들을 제대로 읽고 감상한 사람은 ≪중등작문≫에서 언급한 “진실”에 위배되지 않은 글을 짓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박태원의 ≪중등문범≫은 그동안 접근이 쉽지 않았던 박태원의 문장론, 문장 의식을 추출할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 목차 ]
일러두기
총서를 내며: 독본이라는 근대의 창(窓)
해제: ≪중등문범≫과 박태원의 문장론, 문장 의식
第一部
第一章
四月 | 장덕조, “사월의 하늘”에서
서울의 봄 | 현진건, “적도”에서
봄밤 | 모윤숙, “봄밤”
第二章
初夏風景 | 박태원
新綠 | 정현웅
바다 | 노천명
소내기 | 이기영, “민촌”에서
第三章
故鄕의 가을 | 채만식, “삽화”에서
秋果三題 | 정현웅
박・고추 | 홍우백
落葉 | 이효석, “낙엽을 태우면서”에서
第四章
눈 내리는 밤 | 정비석, “거리에 오는 눈”에서
滿洲 벌판에 눈 나릴 때 | 박계주, “황혼에 피는 육화”에서
第五章
淸凉里 | 김기림
麻浦 | 백석, “마포”에서
近郊 | 최영주
第六章
毘廬峰을 오른다 | 박노갑, “비로봉”에서
道峰 | 이병기, “도봉산행”에서
三防峽 | 박종화, “경원선 기행”에서
東海岸 | 노자영, “동해안”에서
第七章
물 | 이태준
바다 | 이태준, “바다”에서
山 | 홍우백
第八章
田園의 樂 | 문일평, “전원의 낙”
懷鄕 | 이원조, “회향”에서
田園生活 | 채만식, “집”에서
落鄕 | 안회남, “낙향기”에서
第九章
芭蕉 | 이태준, “파초”에서
菊花 | 조용만, “애국기”에서
나팔꽃 | 김동석
水仙 | 이태준
第十章
鳶 | 김동석
蜻蛉 | 김동석
어린 時節 | 김환태, “나의 이니스프리이”에서
第十一章
불 | 염상섭, “불똥”에서
큰물 | 채만식, “집”에서
第十二章
入院한 날 | 최정희, “병실기”에서
주검 | 이태준
貧村 | 염상섭, “불똥”에서
가난 | 최학송, “탈출기”에서
第二部
1. 봄 | 안회남 김유정 이기영 박태원
| 박태원 채만식 이태준 박태원
2. 여름 | 채만식 안회남 이기영
| 이기영 박태원
3. 가을 | 이효석
| 박태원 이태준 이효석 이태준 장덕조
4. 겨울 | 최태응 이기영 최학송 안회남
| 박태원
5. 해・달・별・하늘・구름 | 채만식 이태준 이효석 이기영
| 엄흥섭 최정희 이태준 이기영 이태준 이효석 이기영
| 채만식 이태준
6. 새벽・아침・낮・저녁・밤 | 엄흥섭 이익상 김유정 박노갑 이태준
| 김유정 채만식 김유정 박태원 김유정 이기영 전영택
| 전영택 최정희 이기영 이태준
7. 비・우뢰・바람・눈・서리・얼음 | 정지용 이태준 박태원 이기영
| 이기영 최정희 이기영 안회남 채만식 박태원 김남천 박태원
| 박태원 엄흥섭 김남천 이효석 이태준
| 채만식 엄흥섭 김남천
8. 바다・배・섬・港口・江 | 이태준 정지용 석인해
| 석인해 전무길
| 박태원 이효석 이태준 이효석
| 최명익 이효석
9. 거리・길・公園・山・들 | 정지용 박태원 이익상 이효석
| 박태원 최정희 박태원 이태준
| 김동인 이효석 이태준 이효석 채만식
| 이상 이기영
10. 집・村落 | 최정희 안회남 최정희 박태원
| 박태원 이선희 이효석 엄흥섭
| 채만식 최태응 이선희
11. 汽車 | 안회남
| 박노갑 이효석 채만식 최정희 이익상
| 박태원
12. 散策・遊山・登山 | 최정희 김동인
| 박태원 최명익 이효석 이병기
| 이효석 이기영 이효석
13. 장마・가물・큰물・불 | 이태준 박태원
| 박태원 김유정 김남천 박태원 이상 채만식 이기영
| 박태원 염상섭 최정희
14. 生活・勤勞・가난・病 | 최학송 채만식
| 이기영 이효석 김유정 염상섭
| 최학송 박태원 최명익
| 강경애 박노갑 이태준
[ 엮은이 ] 구자황(具滋晃)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주요 논저로 <독본을 통해 본 근대적 텍스트의 형성과 변화>, <최남선의 ≪시문독본≫ 연구>, <근대 독본의 성격과 위상>(2, 3), <일제강점기 제도권 문학교육>, <근대 독본문화사 연구 서설>, ≪이문구 문학의 전통과 근대≫, ≪근대 국어교과서를 읽는다≫(공저) 등이 있다.
[ 엮은이 ] 문혜윤(文惠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현재 고려대학교 강사
주요 논저로 <문예독본류와 한글 문체의 형성>, <조선어/한국어 문장론과 문학의 위상>, <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강화(講話)’로서의 ≪문장≫>, <한자/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문학어의 근대≫, ≪근대 국어교과서를 읽는다≫(공저) 등이 있다.
[도서명] 중등문범(朴泰遠 編)
[총서명] 근대독본총서 9
[엮은이] 구자황 문혜윤
신국판(152×224) / 268쪽 / 값 19,000원
발행일 2015년 07월 10일
ISBN 978-89-5996-468-0 94700/ 978-89-5996-135-1 94700(세트)
'인문사회 > 한국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태준 著) 문장강화(일제강점기 글쓰기론 자료 2) (0) | 2020.11.05 |
---|---|
신문장강화(申瑛澈 著)(근대독본총서 10) (0) | 2020.11.02 |
한글독본(鄭寅承 編)(근대독본총서 8) (0) | 2020.10.26 |
(李明世 著) 신체미문 시문편지투(新體美文 時文편지투):::근대독본총서 7 (2) | 2020.10.26 |
조선어작문학습서(朝鮮語作文學習書, 朴璣爀 著):::근대독본총서 6 (0) | 202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