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광복은 이루어졌나?
일제강점기 일본어를 배우는 것이 권리라고?
우리는 무엇을 해 왔나?
근대계몽기 이후 교과서를 수집하고 연구해 온 허재영(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가 이번에 통감시대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를 다수 복원하였다(도서출판 경진에서 발행).
통감시대는 일제강점기 직전의 시대로 이미 국권을 상실한 시대였다. 허 교수에 따르면 이 시기에는 ‘교과용도서 검정 규정’이 처음 발포되었고, 이에 따라 광범위하게 교과서 조사 사업이 이루어졌다. 이 조사 사업은 정치・사회・교육적인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그 가운데 정치적인 분야에서는 반일 정신을 말살하는 데 중점을 두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자주’나 ‘독립’이라는 문구만 들어가도 교과서 검정을 통과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의 내용이 전면적으로 수정되기도 하였다.
통감시대 이후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진행된 교과서 통제 정책은 광복 이후의 식민지적 사고방식이 존속되는 근간이 되었다.
허 교수는 끊임없이 묻고 있다. ‘진정한 광복은 이루어진 것인가?’, 또한 ‘식민적 사고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충분한 노력을 해 왔나?’ 그는 또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일부 일본인 학자들이,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조선인에게 일본어를 배울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하는데, 어이없는 일이다. 아마도 우리가 교육사, 특히 교과서 변천사 연구를 충분히 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허 교수에 따르면 통감시대의 교과서는 대략 430종 정도가 유통되었다고 한다. 이번에 복원한 교과서는 역사・지지・이과・산술・박물 교과의 10여 종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것들이다. 허 교수는 이번 복원 작업으로 그 동안 충분히 연구되지 못했던 통감시대의 교과서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감시대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 다수 복원!!!!
기초 자료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 교과서의 역사는 1895년 근대식 학제가 도입된 이후로부터 시작된다. 1895년학부 편찬의 <<국민소학독본>>, <<소학독본>> 이래, 통감시대의 교과용 도서 검정 규정 발포(1908), 일제강점기(1910~1945), 건국과도기(1945~1955), 교육과정기(1955년 제1차 교육과정 공포~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과서 변천사 연구를 위해서는 기초 자료 정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근대계몽기(1895~1910)의 교과서 연구는 기초 자료의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근대계몽기 교과서 변천사]
ㄱ. 제1기 : 근대식 학제 도입에 따른 교과서 개발기-학부 편찬의 교과서 출현-개인 저술의 비교적 자유로운 교과서 저술
ㄴ. 제2기 : 통감시대 학정 잠식기의 교과서-일본인의 학부 간여 및 교과서 편찬 간섭-학부 편찬 교과서를 일본에서 발행함(국어독본, 수신서 등)-교과용 도서 검정 규정 발포와 교과서 검정 조사 사업 실행-일본문 교과서 편찬 발행(일어독본, 이과서)-검정 규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의 내용 변질-기존의 교과서 가운데 국권회복이나 민지 계발과 무관한 교과서만 인정-기존의 교과서 가운데 국권회복이나 민지 계발 등이 들어 있을 경우 불인정 도서로 규정
이러한 흐름에서 통감시대의 ‘국어독본’, ‘수신서’, ‘일어독본’ 등은 1910년 강제 병합 직후 조선총독부에 의해 정정본이 발행된다. 이 판본은 외형상의 독립 상태에서 서술된 ‘한국 관련 역사’나 ‘지리’ 등의 단원을 삭제하고, 병합의 결과를 반영하지 못한 부분을 수정한 것으로, 대부분 통감시대의 교과서의 내용과 일치한다.
이 점에서 근대계몽기 교과서 변천사를 연구하고자 할 때, 기초 자료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고려하여 이번 자료집에서는 기존의 발굴・보급된 교과서 자료 목록을 제시하고, 아직까지 발굴・보급되지 않은 교과서를 묶고자 하였다.
[ 목차 ]
통감시대 교과서 자료 1: 역사
初等大東厯史
初等本國厯史(全)
통감시대 교과서 자료 2: 지지 1
大韓地誌 1
大韓地誌 2
初等本國地理(二)
통감시대 교과서 자료 3: 지지 2
大韓新地誌(乾)
大韓新地誌(坤)
통감시대 교과서 자료 4: 지지 3
中等萬國地誌(一)
中等萬國地誌(二)
中等萬國地誌(三)
통감시대 교과서 자료 5: 이과
高等小學理科書(一)
高等小學理科書(二)
高等小學理科書(三)
高等小學理科書(四)
통감시대 교과서 자료 6: 산술 1
算學通編
통감시대 교과서 자료 7: 산술 2
精選算學
통감시대 교과서 자료 8: 박물
新撰小博物學
[ 엮은이 ] 허재영
•건국대학교 졸업, 문학박사
•국어문법사를 전공하였으며, 국어 교육사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건국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경원대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호서대학교 겸임 교수, 건국대학교 강의 교수를 지냈음
•현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 조교수
•논저로는 <<부정문의 통시적 연구>>(2002, 역락), <<국어과 교육의 이해와 탐색>>(2006, 박이정),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이해와 탐색>>(2007, 보고사), <<국어의 변화와 국어사 탐색>>(2008, 소통), <<우리말 연구와 문법 교육의 역사>>(2008, 보고사),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2009, 도서출판 경진), <<통감시대 어문교육과 교과서 침탈의 역사>>(2010, 도서출판 경진)... 그 밖의 국어사 및 국어과 교육 관련 논문이 다수 있음
[총서명] 통감시대 교과서 자료(전 8권)
[도서명] (1: 역사), (2~4: 지지), (5: 이과), (6~7: 산술), (8: 박물)
[엮은이] 허재영
발행일 2011년 08월 10일
ISBN 978-89-5996-113-9 94370(전 8권)978-89-5996-114-6; 978-89-5996-115-3; 978-89-5996-116-0; 978-89-5996-117-7; 978-89-5996-118-4; 978-89-5996-119-1; 978-89-5996-120-7; 978-89-5996-121-4
신국판 양장 / 통권 2,778쪽(1권: 182쪽; 2권: 318쪽; 3권: 386쪽; 4권: 672쪽; 5권: 330쪽; 6권: 408쪽; 7권: 330쪽; 8권: 152쪽)
정가: 통권 380,000원
'인문사회 > 한국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문부성 撰) 고등소학독본 7(박효경 성윤아 권희주 이현진 옮김)_2022년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0) | 2022.01.20 |
---|---|
쉽게 읽는 월인석보 10(月印千江之曲 第十 ․ 釋譜詳節 第十) (0) | 2021.03.25 |
쉽게 읽는 석보상절 19 (0) | 2021.03.05 |
쉽게 읽는 석보상절 6 (0) | 2021.03.05 |
쉽게 읽는 석보상절 13 (0) | 202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