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한국학자료

(일본 문부성 찬) 고등소학독본 3

by 양정섭 2020. 12. 23.

일본의 고등소학교용 국어독본


한국 최초 근대 국어교과서 ≪국민소학독본≫의 저본


≪고등소학독본≫은 일본의 고등소학교용 국어독본이다. 고등소학(高等小學)은 1886년부터 1941년까지 설치된 교육기관으로 심상소학교(尋常小学校)를 졸업한 사람이 다녔던 학교 기관이다. 오늘날의 학제로 말하자면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에 해당된다.


≪고등소학독본≫의 내용은 국민, 역사, 이과, 지리, 기타로 나누어 다루었으며, 그중 역사는 일본고대, 일본중세, 일본근세, 일본근대와 같이 시대별로, 이과는 식물, 동물, 광물, 물리, 자연, 천문으로, 지리는 일본지리와 세계지리로, 기타는 수신, 언어, 설화, 가정, 서간, 잡류로 세분화할 수 있다.

각 권의 2~3단원은 한시나 운문을 다루고 있는데 교훈적이며 애국과 관련된 것이 많다. 이렇듯 ≪고등소학독본≫은 일본 국민이자 동시에 근대 세계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에 대한 기본 지식과 덕목을 종합적으로 다룬 내용 중심의 종합 독본인 것이다.

특히, 한국에서 최초의 근대적 국어교과서로 평가받는 ≪국민소학독본≫의 저본이 바로 ≪고등소학독본≫이었다는 점은 국어학적, 교육학적, 역사학적 관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일이다.


이 책은 일본 쓰쿠바대학(筑波大学) 소장본을 저본으로 하여 번역작업을 하였으며, 영인과 함께 출간함으로써 교육학, 국어학, 일본어학, 역사학 등 각 분야의 연구자에게 연구 편의를 제공하여 근대개화기 교육 및 역사, 교육사상의 실상을 밝히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근대 한일 교과서에 나타난 교육이념, 역사관, 세계관에 대해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검토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나아가 근대 한일 양국 간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 목차 ]


해제: 일본 문부성 ≪고등소학독본≫


(역주) 고등소학독본 권3

제 1과 친절에 대한 보답

제 2과 중세의 풍속 1

제 3과 중세의 풍속 2

제 4과 사자

제 5과 식물의 변화

제 6과 호겐의 난, 헤이지의 난

제 7과 고대의 전쟁 1

제 8과 고대의 전쟁 2

제 9과 태평곡

제10과 고래잡이

제11과 히로시마

제12과 시시가타니의 군 작전회의

제13과 공기

제14과 식물의 수면

제15과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의 거병

제16과 와타나베 기오의 이야기

제17과 물의 작용

제18과 와카야마

제19과 낙타

제20과 도기의 제조법

제21과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전 1

제22과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전 2

제23과 요리토모를 논하다

제24과 꽃의 형상

제25과 가고시마

제26과 새 이야기

제27과 병권이 무가로 가게 되다

제28과 가마쿠라시대 개설 1

제29과 가마쿠라시대 개설 2

제30과 과실 이야기

제31과 타조

제32과 늙은 농부의 말

제33과 잔가지

제34과 기관 및 식도

제35과 기구 이야기

제36과 나카쿠니가 칙사로서 고고노 쓰보네를 방문하다


(원전) 고등소학독본 권3



[ 옮긴이 ] 권희주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조교수.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

저역서 ≪일본대중문화의 이해≫(공저, 2015), ≪근대 국어 교과서를 읽는다≫(공저, 2014년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후쿠자와 유키치의 젠더론≫(공역, 2014), ≪근대 일본의 ‘조선 붐’≫(공저, 2013) 등.



[도서명] 고등소학독본 3

[옮긴이] 권희주

신국판 양장(152×224) / 226쪽 / 값 17,000원

발행일 2018년 7월 20일

ISBN 978-89-5996-577-9 94370

[분야] 인문> 교육> 근대교육